-
사진으로 보는 세상
영국 의회 청문회에 나온 인공지능 로봇 '에이다'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로봇 ‘에이다’가 영국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했다고 영국 주요 매체들이 지난 11일 보도했다. 외형상 인간 여성과 닮은 에이다는 이날 TV로 생중계된 영국 상원 통신·디지털위원회 청문회에서 발명자인 에이든 멜러와 함께 나와 의원들의 질문에 답했다. 이 청문회는 새로운 기술들이 예술·창작 분야 산업에 미칠 영향을 토의하는 자리였다. 에이다는 데버라 불 상원의원에게서 &ldq...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19세기 유럽 최대 지배가문…1차 세계대전 때 해체
합스부르크 가문은 19세기까지 유럽 최대 지배가문이었다. 1848년 프란츠 요제프 황제가 재위했을 때 그는 오스트리아 영지(저지와 상부 오스트리아 공작령과 스티리아 공작령, 카르니오라와 카린티아, 티롤 백작령, 포랄베르크, 고리치아, 그라디스카, 이스트리아 변경백령과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시)와 헝가리 국왕령(헝가리 왕국, 트란실바니아 대공국,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헝가리 군사 접경구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보헤미아 왕령(보헤미아 왕...
-
경제 기타
금리 오르면 채권값 떨어지는 원리 이해해야
계약은 법률 행위의 일종으로서, 당사자에게 일정한 청구권과 이행 의무를 발생시킨다. 청구권을 내용으로 하는 권리가 채권이고, 그에 따라 이행을 해야 할 의무가 채무이다. - 2019학년도 수능 국어 16~20번 지문 中 - 수능은 기본적으로 특정 개념을 몰라도 풀 수 있게 출제됩니다. 하지만 그 개념에 대한 설명이 그다지 친절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나온다면 시험장에서의 심리적 압박이 훨씬 덜하겠죠. 또 이전 시험에서 나...
-
경제 기타
생산은 고정생산요소 유무 따라 장·단기로 구분
생산은 희소한 자원을 투입해 상품이라는 결과물을 얻어내는 과정을 말한다. 질이 좋은 결과물을 많이 생산해낼수록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높아질 것이다.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에 질 좋은 상품을 많이 만드는 데는 제약이 따르지만, 기술을 발전시키면 그런 제약들을 극복할 수 있다. 그래서 기술은 자원 못지않게 중요한 생산요소다. 지난주에는 기업이라는 생산 주체에 대해 살펴봤는데, 이번 주에는 생산자의 실제 생산활동과 과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생산요...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시대, 서비스업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
잘사는 국가일수록 서비스업 비중이 크다. 197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는 역사적으로 모든 나라는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비중이 커진다는 점을 밝혀냈다. 고용 비중은 물론 가구별 소비도 소득이 높은 국가일수록 서비스업에 집중됐다. 소득이 높을수록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지는 현상을 ‘쿠즈네츠 현상’이라고 한다. 노동생산성과 서비스 혁신 경제학자 니컬러스 칼도어는 산업 구조는 농업...
-
과학과 놀자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원소를 원자량 순서로 배열해 주기율표 창안
과학은 크게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뉜다. 만물의 작동 원리를 다루는 물리학, 물질의 변화를 다루는 화학, 생명체의 특성을 다루는 생명과학, 대기 해양 별 등 자연 현상을 다루는 지구과학. 이처럼 대상이 다르다 보니, 각 과목을 대표하는 이미지도 다르다. 물리학이 F=ma 같은 식으로 대표된다면, 생명과학은 DNA의 이중나선, 지구과학은 별이나 지질 사진으로 대표될 것이다. 그렇다면 화학의 대표적 이미지는 뭘까. 아마도 주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실수와 오해가 친구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
이혼하고 직장에서 쫓겨나 우울증을 겪는 엄마와 사는 열여섯 살 조쉬, 친구 알렉스의 생일잔치에 초대받지 못해 비참하고 기분이 나쁘다. 게다가 알렉스가 리키와 얼굴을 맞대고 찍은 사진이 반 친구 모두가 보는 프렌드북에 올라왔다. 조쉬는 자신이 좋아하는 리키가 여전히 알렉스의 연애 상대인지 궁금하다. 하지만 알렉스가 프렌드북 친구를 끊어버려 볼 수가 없다. 궁금함을 참지 못한 조쉬가 알렉스의 프렌드북에 접속해 여러 차례 시도한 끝에 비밀번호를 알...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서인 정권의 '향명배금' 정책 고집…국제질서 변화 못읽어 정묘·병자호란 자초
‘호란’은 오랑캐(胡)가 일으킨 ‘난’이라는 뜻이다. 오랑캐는 여진족 계열인 올랑개(兀郞介) 부족을 가리키는 용어지만, 성리학자들은 야만인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조선과 청나라(여진족) 사이에 발생한 전쟁은 1627년부터 1637년 초까지 10년간 이어졌고, 1단계 정묘호란(1627년)과 2단계 병자호란(1636~1637년)으로 구성됐다. 전쟁의 배경과 과정, 결과가 한족인 명나라와 여진족(만주)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