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이윤 극대화하려면 비용 최소화 선행돼야
생산자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비용을 최소화하지 않고서는 이윤이 극대화되지 않으므로 생산자는 생산비용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니 생산비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이미 배운 경제학에서의 비용 개념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생산비용과 비용함수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기회비용= 경제학은 선택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므로 경제학에서 다루는 비용은 회계비용이 ...
-
디지털 이코노미
기술 혁신이 인류에게 경제·시간적 여유를 준다고?
케인스는 2030년이 되면 노동시간이 하루평균 3시간이면 충분할 것으로 예측했다. 1930년대 시각에서 100년 뒤 세상에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자본의 축적 그리고 생산력 제고가 인류의 경제적 능력을 엄청나게 늘릴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케인스의 예측이 남은 8년간 성사되기란 매우 어려워 보인다. 케인스는 미래를 예언한 에세이집 <우리 후손의 경제적 가능성>에서 100년 뒤 세상에서의 고민은 충분히 발전한 과학기술이 제공한...
-
숫자로 읽는 세상
"기업 승계, 부의 대물림 아닌 스케일업 발판"
“승계 완료 기업의 경영 성과를 비승계 기업과 비교한 결과, 종업원 증가가 뚜렷해지는 등 기업가정신이 회복되는 모습이 확연했습니다.”(박성민 IBK기업은행경제연구소 팀장) 18일 중소기업중앙회와 기업은행, 홈앤쇼핑이 공동 주관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해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2 장수기업 희망포럼’에서는 기업 승계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구체적 연구 결과가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기업 승계를 &ls...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약물 중독' 뇌 과학자의 당부, 절대 선 넘지 말라
요즘 마약 관련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우리나라는 이미 2016년 유엔이 정한 마약청정국 지위를 잃어버렸다. 검찰에서 ‘마약범죄 특별수사팀’을 설치해 강력하게 대처한다니 우리나라가 다시 마약청정국이 되길 소망한다. <중독에 빠진 뇌 과학자>의 저자 주디스 그리셀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행동신경과학자이자 미국 벅넬대 심리학과 교수다. <중독에 빠진 뇌 과학자>는 취재하거나 통계를 모아 쓴 게 아니라 20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위상 드높인 'K방산'…폴란드 수출 K2 전차 출고식
현대로템은 19일 창원 공장에서 폴란드로 수출하는 K2 전차의 첫 출고를 기념하는 ‘K2 전차 폴란드 갭필러 출고식’을 열었다. 최근 차세대 전차 도입 계획을 발표한 폴란드는 노후한 구형 전차를 신속히 대체하기 위해 한국에서 생산되는 K2 전차 180대를 우선 인도받기로 했다. 이날 초도 출고되는 K2 전차는 총 10대다. 나머지 물량은 2025년까지 폴란드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폴란드 현지에 도착한 K2 전차는 ...
-
경제 기타
코픽스금리에 은행별 가산금리 더해서 정해요
은행권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18일부터 최대 0.44%포인트 오른다.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1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면서다. 연 7% 턱밑까지 오른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이 올해 안에 연 8%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저금리 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내집마련에 나선 서민은 물론 전세대출을 많이 받은 20~30대의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임진왜란 참사 후에도 반성·개혁없이 당파싸움만…외교·군사적 대비도 없이 청과 대립하다 굴욕
명나라에서는 1627년 산시지역을 시작으로 대규모 농민 봉기가 일어나 확산했다. 병자호란 전후 명나라 중심부는 대부분 농민군에 의해 장악되고 정부는 통제 능력을 상실했다. 1636년에 2대 황타이지(皇太極)’는 ‘대청’을 선포하고, 천자를 칭하면서 중국 통일을 목표로 명나라를 외곽 포위해 동서남북으로 팽창했다. 청나라의 배후지라는 지정학적 위치, 적극적인 친명(向明) 세력으로의 변신은 조선을 필수적 공격 대상으로...
-
과학과 놀자
세상의 근원, 더이상 쪼갤 수 없는 작은 알갱이 '원소'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선생님들의 과학 이야기 (8) 지금 여러분이 보고 있는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 액정을 잘게 부수면 어떻게 될까요? 부서진 액정을 더 잘게 가루로 만들면 무엇이 남을까요? 상상하기 어렵지만 궁금하지 않나요? 마지막에 남는 아주 작은 알갱이가 스마트폰 액정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겠죠. 물질을 이루는 근원적인 요소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선 물, 불, 흙, 공기가 세상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