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서울 찾은 '합스부르크 600년 전시회'
1273년부터 1918년까지 유럽을 호령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소장품을 만날 수 있는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특별전이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시작됐다. 한국과 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해 국립중앙박물관, 빈미술사박물관, 한국경제신문사가 기획한 이번 전시회에는 디에고 벨라스케스, 파울 루벤스, 얀 브뤼헐 등 인상파 등장 이전 유럽 회화를 이끈 화가들의 명작과 공예품, 갑옷 ...
-
디지털 이코노미
플랫폼은 사회 인프라…문제 해결 통해 성장해야
플랫폼 시대다. 혹자는 농업 사회에서 산업화 사회를 지나 다음은 플랫폼 시대라고 진단한다. 사실 일반인이 디지털 시대가 도래했음을 느끼는 지점도 플랫폼이다. 로봇을 만나고 메타버스를 경험하는 것은 아직 일부의 일이지만, 플랫폼은 일상생활 곳곳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랫폼 경제와 전통 경제 플랫폼 경제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와 네트워크 중심의 비즈니스로 구성된, 플랫폼 중심의 경제체제를 의미한다. 제조업 기반의 전통 ...
-
키워드 시사경제
집 지어도 사는 사람이 없다…부동산 시장 '꽁꽁'
“요즘 같은 거래 절벽은 처음 봤습니다. ‘급급매’를 놓고 가격을 흥정하던 수요자마저 매수 의사를 거둬들였어요.” 서울 상계동의 한 아파트단지에서 만난 30년차 공인중개사 김모 대표의 설명은 꽁꽁 얼어붙은 주택시장 상황을 잘 보여준다. 김 대표는 “갈수록 시장이 나빠지는데 금리까지 오르니 누가 집을 사겠느냐”고 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8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량은 38...
-
경제 기타
AI가 여는 새로운 세상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주 커버스토리에서 인공지능(AI)의 세계를 들여다봤습니다. AI는 날이 갈수록 진화하고 활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한 AI를 살펴보고, AI의 원리와 발전 방향을 얘기하며 독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일부 부유층만 타던 자동차를 대중화한 포드의 창업자 헨리 포드의 일대기를 소개했습니다. ‘주말엔 뭐하지’ 코너에선 어린이도서관 ...
-
과학과 놀자
우주공간 전자기 성질 따라 빛의 속도 변화
어떤 물체가 전기적 성질을 띨 때 우리는 보통 “정전기를 띤다”고 말한다. 과학에선 정전기라는 표현보다 전하(Charge)라는 말을 더 자주 사용한다. 금속이 아닌 얇은 물체의 양면에 금속판을 밀착시켜 놓고 두 금속판에 직류 전원을 연결해 양전하(+)와 음전하(-)가 각각 모이면 양전하를 띤 금속판에서 음전하를 띤 금속판 방향으로 얇은 물체 내부에 전기장이 생긴다. 이 전기장의 세기는 사용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패전 후 조선은 청나라 속방으로 전락…백성 50만명 이상 포로로 끌려가
이웃한 국가 간은 협력과 우호관계일 때도 있지만 경쟁과 갈등, 불가피한 충돌도 발생한다. 때로는 우리의 선택이나 상대의 의사와 무관하게 국제질서 때문에 충돌하기도 한다. 일부 배신자를 제외하고, 국가 간 충돌에서 패배한 국가의 백성에게는 포로, 노예, 죽음의 길이 기다린다. 조선은 국제정세를 파악하는 능력을 상실했고, 국가의 존재 이유와 역할을 망각한 성리학자들의 나라였다. 광해군의 정책과 같이 동아시아의 역학관계를 외교적으로 이용하면 청나라...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스토리텔링의 바이블 <시학> 완전 정복하기
“말을 할 때 스토리텔링을 생각하라. 과제도 스토리텔링을 넣어서 써라. 우리 모임의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보자.” 일상에서 흔히 듣는 말이다. 스토리텔링은 ‘스토리(story)+텔링(telling)’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이야기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를 말한다. 대학에서 ...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의 도전과 헌신 되새긴 'KH 유산'
“당신의 도전으로 용기를 얻었습니다. 회장님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 새로운 내일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 25일 삼성 사내 인트라넷에 꾸려진 ‘이건희 회장 2주기 온라인 추모관’의 대표 글이다. 이 회장이 별세한 지 2년이 됐다. ‘인간 중시’와 ‘기술 중시’를 앞세워 삼성을 초일류 기업으로 만든 이 회장의 리더십을 기리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