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생산비용과 비용함수

○기회비용=경제학은 선택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므로 경제학에서 다루는 비용은 회계비용이 아니라 기회비용이라는 설명을 한 바 있다. 따라서 경제학에서 기업과 생산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나오는 비용의 개념도 회계비용이 아니라 기회비용이라는 것을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생산 과정에서 언급되는 비용을 회계비용으로 잘못 생각하고 내용을 보면 이해가 안 되는 설명이 많기 때문이다.
생산자가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판단은 회계비용만으로는 할 수 없다. 생산자가 다른 것을 생산하면 얻을 수 있는 이윤이 있었는데도 지금 이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므로 포기한 것의 가치인 암묵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자의 선택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아래 [표]처럼 총수입에서 회계비용만 차감한 회계적 이윤은 경제적 이윤에 비해 높다. 비용은 그대로인데 총수입이 줄어 경제적 이윤이 0 이하로 감소해도 회계적 이윤은 양수일 수 있다. 따라서 생산자는 회계적 이윤이 발생한다는 이유로 무조건 생산해서는 안 되며, 경제적 이윤이 0이라도 회계비용에 더해 암묵적 비용까지 벌고 있으므로 생산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다시 한번 더 강조하지만 경제학에서 다루는 비용의 개념은 기회비용이며 이윤은 경제적 이윤이다.
![[경제학 원론 산책] 이윤 극대화하려면 비용 최소화 선행돼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584571.1.jpg)
생산 과정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했으므로 비용함수 역시 단기비용함수와 장기비용함수로 구분된다. 단기비용함수는 고정생산요소로 인해 생산되는 양과 무관하게 고정비용이 존재하지만, 장기에서는 모든 투입요소가 가변생산요소이므로 장기비용함수는 고정비용이 없고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도 증가하는 가변비용만 있다.
○한계비용과 평균비용=한계비용은 상품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며, 평균비용은 상품 한 단위당 생산비용으로, 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눠 측정할 수 있다.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무관하게 들어가는 비용이므로 한계비용은 고정비용의 유무와 상관없지만 평균비용의 경우 총비용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가변비용에 대해 가변평균비용을 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비용에 대한 고정평균비용도 구할 수 있어서 세 종류의 평균비용이 있을 수 있다.
![[경제학 원론 산책] 이윤 극대화하려면 비용 최소화 선행돼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577471.1.jpg)
한계비용과 총평균비용이 같아질 수 있는데, 한계비용은 체증하는 상태이므로 두 비용이 같아지고 난 뒤에 평균비용은 한계비용보다 천천히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두 비용이 일치할 때 총평균비용은 최저가 된다. 오른쪽 [그림]은 여러 비용곡선의 대략적인 모양이다. 개별 상품들이 생산될 때 비용곡선의 모양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전체적인 형태와 개별 비용곡선의 관계는 그림과 같다. √ 기억해주세요한계비용은 상품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며, 평균비용은 상품 한 단위당 생산비용으로, 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눠 측정할 수 있다.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무관하게 들어가는 비용이므로 한계비용은 고정비용의 유무와 상관없지만 평균비용의 경우 총비용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가변비용에 대해 가변평균비용을 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비용에 대한 고정평균비용도 구할 수 있어서 세 종류의 평균비용이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