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인도네시아에서 전하는 생글통신 (上)
믿지만 강요하지 않은 인도네시아의 부드러운 종교문화 "라 일라하 일랄라후 무함마둔 라수 룰라" 날마다 이곳 인도네시아의 거리에서는 이 신묘한 소리가 울려 퍼진다. 사람들은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성지 메카가 있는 곳을 향해 기도를 드린다. 13억 무슬림이 동시에 한곳을 향해 몸을 숙여 예배한다는 것은 종교를 가진 사람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멋진 일이다 더불어 그들의 두터운 신앙심을 읽을 수 있다. 이처럼 매일 정해진 시간에 드리는 예배...
-
경제 기타
대한민국이여, 커밍아웃 하라
대중가수 싸이의 노래 챔피언의 한 소절이다. "진정 즐길 줄 아는 여러분이 이 나라의 챔피언입니다. 모두의 축제,서로 편 가르지 않는 것이 숙제." 이 가사는 대한민국 정치가 추구해야 할 방향과 일치하여 선거 때마다 이용되곤 했다. 선관위의 광고에서는 '투표의 즐거움을 누리다' '국민의 축제'라는 말을 표방하고 있지만,실상은 그렇지 않다. 대통령파니 친박연대니 정당 내 편가르기,후보자들의 비리문제,영·호남 간 지역주의 등의 문제가 여전...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실패 아닌 성공의 역사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좌편향을 바로잡기 위해 2005년 1월 발족한 교과서포럼(대표 이영훈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이 마침내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출간했다. '대한민국이 잘못 태어난 국가라고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배우고 있다'며 바른 역사교과서 만들기에 들어간 지 3년 만의 결실이다. 새로 나온 대안 교과서는 과도한 민족주의 통일사관을 벗어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를 존중하는 입장을 취했다. 소련 붕괴 이후 새로 공개된 ...
-
경제 기타
올해 수능 국사과목에 '근·현대사' 포함
성적에 표준 점수·백분위·등급 모두 표기…"난이도 지난해와 비슷" 2009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수능등급제 폐지에 따라 성적표에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 세 가지 성적이 모두 표기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와 달리 수능의 변별력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또 사회탐구 국사과목에 한국 근·현대사가 포함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7일 발표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세부시행 계획에 따르면 올해 수능 성적은 표준점수 등 다양하게 표기된다...
-
경제 기타
국민 1인당 부채 1527만원
⊙ 국민 1인당 부채 1527만원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빚이 작년 말 현재 1527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인당 금융자산은 3523만원으로 빚보다 2배 이상 많았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7년 자금순환 동향(잠정)'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현재 개인부채 잔액은 총 739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0.4% 증가했다. 이를 작년 12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4845만6000명)로 나누면 1인당 빚은 15...
-
경제 기타
4.9 총선 때 왜 번거롭게 투표용지 두 장씩 받으면서 굳이 비례대표를 뽑지?
당신이 4월9일 치러지는 18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장에 들어섰다고 가정하자. 투표장에서는 당신의 신분을 확인하고 투표용지 두 장을 내어 줄 것이다. 한 장에는 지역구에 출마한 후보들의 이름이 나열돼 있고, 다른 한 장에는 이번 총선에서 후보자를 낸 정당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준비가 되었는가? 천으로 사방을 가린 기표소에서 당신은 지지하는 후보와 정당 옆에 각각 기표도장을 찍고 투표함에 넣는다. 후보의 이름이 적힌 투표용지는 모아져 ...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건국으로 근대 민족국가 첫 발
교과서 포럼이 편찬한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기파랑간)는 기존 역사교과서들이 간과하고 있는 문제들을 자유주의와 시장경제 관점에서 명쾌하게 서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건국 과정과 식민지 시기, 19세기 말 개화파의 역할 등 근·현대의 역사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서울대 이영훈(경제학), 박효종(윤리교육) 교수 등 이 교과서의 저자들은 "그동안 기존 역사교과서들이 우리가 피땀 흘려 살아 온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이 책을 펴내게 됐...
-
커버스토리
"이승만-건국, 박정희-성장 이끌었다"
군사독재 등 한쪽만 평가하는 것은 위험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건국자이자 수호자." "박정희는 한국 경제의 고성장을 이끈 주역." 한국 근현대사 속 대표적 두 통치자에 대한 대안교과서의 평가다. 대안교과서는 이들을 근현대화 과정에서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의 초석을 다진 선구자로 보았다. 대안교과서는 또 두 인물을 국민국가 건설과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끈 대한민국 정치,경제 발전의 일등공신으로 꼽았다. 하지만 이들은 정권의 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