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기죽지 마라, 청춘들은 가진 것이 많다
‘남 일에 신경 쓰지 말고 앞만 보고 간다, 일단 이기고 보자, 작심 3일이면 3일마다 작심하라, 재능을 따라가면 성공은 뒤따라올 것이다.’‘인생 일타강사 전한길의 50가지 행복론’<네 인생 우습지 않다>의 소제목들이다. 제목만 읽어도 주먹을 불끈 쥐게 만드는 이 책은 마치 전한길 저자가 옆에서 들려주는 것처럼 생생하다. 자신의 우여곡절 인생과 학원에서 경험한 여러 사례가 어우러져 독자들을 정신 바짝 차리게 만든다.저자는 힘든 현실 때문에 극단적 선택을 하는 청춘들이 너무 안타까워 ‘냉정하고 객관적인 조언과 때로 따뜻하고 진심 어린 격려가 진정 그들을 위하는 일이 아닐까’하는 생각에서 이 책을 냈다며 ‘기죽지 마라, 청춘들은 가진 것이 많다’고 일깨웠다.저자는 수능 강사로 돈을 많이 벌어 32세에 8층짜리 건물 학원 이사장이 됐다. 하지만 학원 운영이 힘들어지면서 25억 원의 빚을 졌다. 개인 파산 신청 대신 돈을 다 갚기로 결심하고 공무원 한국사 강사로 나섰다. 빚을 다 갚기까지 10년 동안 신용불량자로 살면서 많은 고생을 했다.숨이 붙어 있는 한 나의 시간은 온다누구보다 힘든 과정을 거쳐온 저자는 ‘절대로 자신을 타락시키지 말라’고 당부하며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이 바로 자기 자신이다. 나 역시 바닥까지 가보지 않았는가. 젊음이 있었기에 견딜 수 있었고 숨이 붙어 있는 한 나의 시간은 온다. 부디 좌절하지 말고 비극적으로 생각하지도 마라. 너는 될 거니까’라고 절절하게 격려한다.빚을 다 갚고 연간 매출 100억 원 이상, 연간 소득세 15억 원 납부, 국민건강보험료 5000만원 이상 납부하게 된 비결은 ‘숨이 붙어 있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무의식을 이해하고 '전체의 나'를 파악하라
가끔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을 하거나 통제하기 버거운 감정을 마주하는 순간 ‘내가 왜 이러지?’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장정은 저자는 그 질문에 <누구에게나 숨겨진 마음이 있다>라는 제목으로 답한다.서울대 종교학과와 장로회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 드류 대학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는 미국 NAAP에서 공인정신분석가로 인증받은 인물이다. 현재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를 비롯한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누구에게나 숨겨진 마음이 있다>에는 내담자들의 허락을 받고 각색과 수정 작업을 거친 다양한 사례가 담겨 있다. 아울러 내담자들을 대하면서 겪은 저자의 ‘역전이’ 고충도 소개한다. 독자들이 읽으면서 자신을 대입시켜 생각해볼 여지가 많다는 점이 이 책의 강점이다.저자는 서문에서 “사실 우리는 ‘나’로 살아가면서도 ‘나’에 대해 알아볼 기회가 별로 없다. 자신을 잘 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필요를 못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나를 바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내가 생각하는 나’는 전체의 내가 아닐 수 있다”고 전제했다.‘전체의 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인식하지 못하지만, 개인의 감정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숨겨진 영역, 즉 무의식을 알아야 가능하다. 무의식을 알면 ‘별것 아닌 일에 내가 왜 이렇게 화를 내지?’ ‘왜 이 일을 계속 미루고 있지?’에 대한 의문이 풀린다는 것이다. 무의식을 이해해 나 자신을 잘 아는 것은 정체성을 바로 세우는 일과도 관련이 있다.정신분석은 전이에 대한 학문자존감도 의식적 노력만으로 높아지지 않는다. 저자
-
교양 기타
마음 맞는 사람과는 천 잔도 부족하고… [고두현의 아침 시편]
무제작자 미상술은 지기를 만나면천 잔도 부족하고말은 뜻이 안 맞으면반 마디도 많다네.酒逢知己千杯少話不投機半句多.“살다 보면 어떤 걸 외우지 못해 문제가 되는 것보다 애초에 잘못된 걸 기억하고 있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더 많아요.”한시에 조예가 깊은 한 시인의 말입니다. 무슨 일인가 했더니, 젊은 시절에 듣고 너무 좋아서 오랫동안 애송해온 시구 얘기더군요. “술자리서 지기 만나면 천 잔도 부족하고/ 의기가 맞지 않는다면 반 마디 말도 많네(酒逢知己千杯少 意氣不和半句多)”라는 멋진 구절이 구양수(歐陽修, 1007~1072)의 시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는 것입니다.구양수 전집에는 이런 내용 없어“30여 년이 흐른 뒤 우연히 출처를 찾아보았더니 세상에나! <구양수 시문집>은 물론 <사고전서(四庫全書)> 어디에도 없어요. 인터넷이 되지 않던 시절이라 검색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기억으로만 여러 자리에서 인용하곤 했는데 원문이 보이지 않다니….”온갖 방법을 동원해 찾아본 결과 구양수의 시 ‘봄날 서호에서 사법조에게 부치는 노래(春日西湖寄謝法曹韻)’에 후세 사람이 덧붙인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내용인즉, 시 중간의 “저기 호숫가에 한 동이 술이 있으니/ 만 리 밖 하늘 끝 사람을 떠올리노라(遙知湖上一樽酒 能憶天涯萬里人)”라는 구절을 한 번 더 반복하면서 그 앞에다 “술은 지기를 만나면 천 잔도 부족하고/ 말은 뜻이 안 맞으면 반 마디도 많다네(酒逢知己千杯少 話不投機半句多)”라는 구절을 집어넣었다는 것이지요.이 구절에 ‘후인수개판(後人修改版)’이라는 주석이 붙어 있는데, <구양수
-
교양 기타
만리장성 쌓은 벽돌공들은 어디 갔나 [고두현의 아침 시편]
어느 책 읽는 노동자의 의문 베르톨트 브레히트성문이 일곱 개인 테베를 누가 건설했던가?책에는 왕들의 이름만 적혀 있다.왕들이 바윗덩어리들을 날랐을까?그리고 여러 번 파괴되었던 바빌론-누가 일으켜 세웠을까? 건축노동자들은황금빛 도시 리마의 어떤 집에 살았을까?만리장성을 다 쌓은 날 저녁, 벽돌공들은어디로 갔을까?(… 중략 …)젊은 알렉산더는 인도를 정복했다.그가 혼자서 해냈을까?시저는 갈리아를 토벌했다.취사병 한 명은 데리고 있지 않았을까?스페인의 필립왕은 그의 함대가 침몰하자울었다. 그 말고는 아무도 울지 않았을까?프리드리히 2세는 7년 전쟁서 이겼다. 그 말고또 누군가 승리하지 않았을까?역사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승리가 나온다.승리의 만찬은 누가 차렸을까?십 년마다 한 명씩 위대한 인물이 나타난다.그 비용은 누가 지불했을까?이렇게 많은 사실들,이렇게 많은 의문들.* 베르톨트 브레히트(1898~1956) : 독일 극작가이자 시인.베르톨트 브레히트는 극작가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시인으로도 유명합니다. ‘살아남은 자의 슬픔’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등의 기막힌 시를 많이 썼지요.직설적인 진술과 절묘한 반전으로 현실의 모순을 비판한 ‘20세기 최고 독일 시인’으로 꼽힙니다. 주로 기존 가치관에 대한 비판과 자유 의식, 인간에 대한 사랑,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는 평화주의를 노래했죠.히틀러 집권 후 15년 넘게 망명제지 공장집 아들로 태어나 소년 시절부터 시를 쓴 브레히트는 뮌헨대 의과에 들어가 짧은 군 복무를 마친 뒤에 의학을 버리고 시와 연극에 매진했습니다.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혁명의 불길 속에서 소용돌이치는 복수와 희생
가장 많이 팔린 소설, 가장 아름답고 숭고한 역사소설, 대중문화에 가장 영향을 끼친 소설. 찰스 디킨스가 1859년에 발표한 <두 도시 이야기>를 수식하는 문장들이다. 찰스 디킨스 자신이 “내가 썼던 작품 중 최고의 이야기”라고 한 <두 도시 이야기>는 지금까지 2억 부 이상 판매되었다.우선 영국 작가가 프랑스대혁명 시기의 런던과 파리를 무대로 삼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독서를 시작해야 한다. 1789년 프랑스대혁명은 1830년 7월 혁명과 1848년 2월 혁명으로 이어지면서 정치권력이 왕족과 귀족에서 자본가계급으로 옮겨지는, 역사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기를 불러왔다.혁명 초기에는 언제나 그렇듯 혼란스럽기 그지없었다. 그 상황을 찰스 디킨스는 “최고의 시간이면서 최악의 시간이었다. 지혜의 시대였지만 어리석음의 시대이기도 했다”고 묘사했다. 바스티유 감옥이 습격당하고 국왕 루이 16세가 단두대에서 처형되던 시기에 프랑스의 많은 귀족이 영국으로 피신 가고 재산을 반출시킨 일이 소설의 주요 골격이다.루시를 사랑하는 두 남자귀족의 모함으로 18년간 바스티유 감옥에 갇혀 있던 프랑스인 의사 마네트 박사와 아름다운 딸 루시. 겨우 석방된 두 사람이 영국으로 향할 때 텔슨은행의 직원인 영국인 자비스 로리가 동행한다. 로리는 마네트 일가의 후견인으로 끝까지 마네트 박사와 루시를 돕는다. 루시를 사랑하는 두 명의 남자, 프랑스인 찰스 다네이와 영국 변호사 시드니 카턴, 이들은 언뜻 보면 쌍둥이로 착각할 만큼 닮았고 이것이 소설 속 중요한 장치가 된다.이들 다섯 사람은 프랑스에서 같은 배를 타고 영국으로 향한다. 영국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찰스
-
교양 기타
50년간 벼슬하며 존경받은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면앙정가(仰亭歌)송순인간 세상 떠나와도 내 몸이 겨를 없다.이것도 보려 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바람도 쐬려 하고 달도 맞으려 하니밤일랑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까.아침이 부족하니 저녁이라 싫겠는가.오늘이 부족하니 내일이라 넉넉하랴.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번거로운 마음에 버릴 일이 아주 없다.쉴 사이 없거든 길이나 전하리라.다만 푸른 지팡이만 다 무디어 가는구나.(생략)* 송순(宋純, 1493~1582) : 조선 중기 문신.송순(宋純)의 ‘면앙정가’는 그가 41세에 관직에서 잠시 물러나 고향 전남 담양에 내려와서 지은 가사(歌辭)입니다. ‘면앙정(仰亭)’은 그가 지은 정자 이름이자 호(號)이기도 하지요.이 작품은 “반복·점층·대구법 등으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리고 경치 또한 실감나게 묘사한 절창”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첫 부분의 서사(序詞)에서는 면앙정이 있는 제월봉의 모습을 묘사했고, 두 번째 부분인 본사(本詞)에서는 면앙정에서 바라본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했죠.사립문은 누가 닫고 떨어진 꽃은…본사의 앞부분에서 시선을 먼 곳으로 점차 이동하며 근·원경, 뒷부분에선 면앙정의 사계 풍경을 그렸습니다. 마지막 결사(結詞) 부분은 “이렇게 지내는 것도 모두 역군은(亦君恩, 역시 임금의 은혜)이샷다”라며 유학자로서의 충절을 표하고 있군요.위에 인용한 부분은 ‘면앙정가’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입니다. 우리말의 묘미를 절묘하게 살려냈다는 평을 듣지요. 속세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났지만 자연을 향유하느라 한가로울 겨를이 없다는 대목이 시인의 내면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재일교포의 처절한 삶, 사랑으로 이겨내다
일본을 ‘멀고도 가까운 나라’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를 식민 지배한 일본은 역사를 왜곡하고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등 갖가지 사안으로 우리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나라다. 그런가 하면 일본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찾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K팝과 K드라마에 심취한 일본 젊은이들이 한국을 많이 찾는 것도 근래의 새로운 풍경이다.1910년 한일합방 이후 많은 조선인이 일본으로 건너가거나 끌려갔다. 1945년 일본이 우리 땅에서 떠났지만, 공산 정권이 들어선 북한이나 혼란을 겪다가 전쟁이 터진 남한으로 돌아오는 일은 쉽지 않았다.<파친코>는 1910년부터 1989년까지 4대에 걸친 재일 한국인의 삶을 담은 소설이다. 두 권으로 구성된 이 소설에 재일교포들이 일본에서 겪은 고난과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민진 작가는 7세 때 미국으로 이민 가서 예일대 역사학과와 조지타운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기업 변호사로 일했다. B형간염으로 건강이 나빠지면서 변호사를 그만두고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첫 장편소설 <백만장자들을 위한 공짜 음식>이 11개국 언어로 번역되고 여러 상을 받았다.세계적 화제작으로 떠오르다두 번째 장편소설 <파친코>는 대학교 3학년 때인 1989년에 구상해 쓰고 고치기를 거듭했다. 2007년 일본계 미국인 남편이 도쿄로 발령 나 일본에서 지내며 조선계 일본인 수십 명을 인터뷰한 뒤 다시 썼다. 2017년에 <파친코>가 출간되자 75개 이상의 주요 해외 매체가 ‘올해의 책’에 이름을 올리면서 세계적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2022년 애플TV에서 드라마로 만들어 또다시 화제가 되었다.4대에 걸친 삶의 여정을 담은 만큼 <파친코> 1, 2권을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 건국은 '기적'
요즘 건국 대통령 이승만에 대한 관심이 과거보다 많이 높아졌다. 지난 2월 1일 개봉한 <건국전쟁>은 다큐멘터리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관객 120만 명을 기록했다. 이승만 대통령에 관한 책도 예전보다 훨씬 다양해진 가운데 <이승만 시간을 달린 지도자> 1, 2권이 출간됐다. 이 책이 이전에 나온 서적들과 다른 점은 이승만 대통령의 어느 한 부분이 아닌 전 생애를 다루었다는 데 있다.지난 4월 30일 출간한 1권은 ‘성장부터 해방까지’(1875~1945), 2권은 ‘미군정과의 대립과 UN’(1945~1948)을 기록했다. 2025년 발간 예정인 3권은 ‘건국의 시간과 죽음’(1948~1965)을 담게 된다.<이승만 시간을 달린 지도자>를 쓴 류석춘 저자는 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2010년부터 5년간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를 “대한민국의 발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가장 먼저 돋보였고, 어느 날 박정희 뒤에 우뚝 서 있는 이승만이라는 더 큰 봉우리가 시야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14년간 이승만 연구를 위해 수많은 기록을 찾아 헤맸고, 그 결과를 <이승만 시간을 달린 지도자>에 담았다.이승만은 조선시대였던 1875년에 태어나 서당에서 공부하며 과거 시험을 준비했다. 1894년 갑오개혁에 따라 과거제가 폐지되자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했다. 배재학당에서 3년간 신학문을 배우면서 신문 창간을 주도하고 국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급기야 고종 폐위 음모에 가담한 죄로 1899년부터 5년 7개월간 감옥 생활을 했다. 기독교로 개종한 그는 감옥에서 많은 책을 읽고 글을 썼다. 1904년 29세에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미국 유학을 떠나 조지워싱턴대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