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대국유감(對菊有感) 1

인정이 어찌하여 무정한 물건 같은지
요즘엔 닥치는 일마다 불평이 늘어간다.
우연히 동쪽 울 바라보니 부끄럽기만 하네.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

* 이색(李穡, 1328~1396): 고려 말 문신.

국화는 여러 꽃과 함께 피는 봄이 아니라 가을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꽃입니다. 그래서 국화를 ‘오상고절(傲霜孤節, 서릿발 날리는 혹한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이라고 하지요. 일찍부터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중국에서 유독 국화를 좋아한 사람은 도연명(陶淵明)이었죠. 북송의 주돈이(周敦)도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菊花之隱逸者也)”라며 “진나라 도연명이 국화를 사랑했는데 이후 그런 사람이 드물다”고 할 정도였고요.

도연명은 한때 관직을 맡기도 했지만 “내 어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향리의 어린 것들에게 허리를 굽히랴” 하며 벼슬을 버리고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부르면서 전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유명한 시 ‘음주(飮酒) 5’도 그때 쓴 것입니다.

“사람 사는 곳에 오두막을 지었지만/ 문 앞에 수레와 말소리 들리지 않네./ 묻노니 어찌하여 그럴 수 있는가/ 마음이 멀어지면 사는 곳도 절로 외딴곳이 된다네./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멀거니 남산을 바라보네./ 산 기운은 해 저물어 아름답고/ 날던 새들 짝지어 돌아오네./ 이 가운데 참뜻이 있어/ 말하려다 말을 잊고 말았네(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 此中有眞意, 欲辯已忘言).”

고려 시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대국유감(對菊有感) 1’이라는 시에서 도연명과 자신을 비교하며 아직도 세상일에 휘둘리는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있습니다.마지막 한 구절에 속마음 다 담겨그는 여말선초의 격변기를 온몸으로 관통하며 고뇌의 밤을 보냈습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반역 행위로 판단했기에 용납할 수 없었으나 막을 힘이 없었지요. 결국 신군부 세력에 의해 여러 번 유배를 당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의 회유를 끝까지 거절했지요.

‘송와잡설’에 이 시의 창작 배경이 나와 있습니다. 군부에 의해 폐위된 우왕이 강화에 있을 때, 이색이 남루한 차림으로 찾아간 적이 있는데 그때 국화를 보고 지었다고 합니다.

‘월정만필’에는 이색이 길재로부터 거취에 관한 질문을 받고 “나는 대신이라 나라의 운명과 함께해야 하니 떠날 수 없지만 그대는 떠나가도 좋다”고 했다는 얘기가 실려 있습니다.

서애 류성룡은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에 속마음이 다 담겨 있다고 극찬한 뒤 “참으로 슬프다”고 토로했지요. 시류에 영합하는 사람이면 애초 부끄러움이 없을 텐데 절개를 지키려 하면서도 자기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아 부끄럽다는 그 비애를 제대로 읽은 것입니다.

그 옛날 도연명이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멀거니 남산을 바라보네”라고 읊은 구절을 “우연히 동쪽 울 바라보니 부끄럽기만 하네./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라고 되받은 대목이 압권입니다.√ 음미해보세요
시인
시인
‘월정만필’에는 이색이 길재로부터 거취에 관한 질문을 받고 “나는 대신이라 나라의 운명과 함께해야 하니 떠날 수 없지만 그대는 떠나가도 좋다”고 했다는 얘기가 실려 있습니다. 서애 류성룡은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에 속마음이 다 담겨 있다고 극찬한 뒤 “참으로 슬프다”고 토로했지요. 시류에 영합하는 사람이면 애초 부끄러움이 없을 텐데 절개를 지키려 하면서도 자기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아 부끄럽다는 그 비애를 제대로 읽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