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조금씩 흙을 쌓아 산을 이룰 때까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자탄(自歎)                              이미 지난 세월이 나는 안타깝지만그대는 이제부터 하면 되니 뭐가 문제인가.조금씩 흙을 쌓아 산을 이룰 그날까지미적대지도 말고 너무 서둘지도 말게.* 이황(李滉, 1501~1570) : 조선 문신이자 학자퇴계 이황이 ‘자탄’을 쓴 시기는 64세 때입니다. 모든 관직을 사양하고 도산서원에 머물던 시기에 서울에서 찾아온 제자 김취려에게 준 것이지요. 자기는 이미 늙었으니 어쩔 수 없지만 그대는 아직 젊으니 앞으로 성심껏 노력하면 잘 될 거라고 격려하면서, 너무 조급하게 굴지도 말고 그렇다고 어영부영하지도 말고 그저 꾸준하게 해나가라고 조언하는 내용입니다.시합 3시간 전부터 눈 감고 슈팅 연습이 시를 읽으면서 처음 떠올린 사람은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었어요. 그는 늘 시합 3시간 전부터 빈 코트에 나와 홀로 슈팅 연습을 했죠. 남보다 먼저 도착해 남보다 더 열심히 훈련하는 프로 스타! 놀라운 것은 그가 끊임없이 자유투를 던지는 동안 한 번도 눈을 뜨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두 눈을 감고 슈팅에 몰두하는 그의 모습은 ‘조금씩 흙을 쌓아 산을 이룰’ 때까지 얼마나 피눈물 나는 노력을 거듭했는지 잘 보여 주지요.그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미국 프로농구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의 구단주 팻 크로스였죠. 그는 조던의 탁월한 능력과 집중력이 이런 노력의 결실이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조던은 자신뿐만 아니라 팀원들이 함께 ‘흙’을 쌓고 ‘산’을 이룰 수 있도록 솔선수범의 리더십까지 발휘했지요. 아울러 “경기하는 건 각각의

  • 교양 기타

    심장을 내어준 우편배달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표            함민복판셈하고 고향 떠나던 날마음 무거워 버스는 빨리 오지 않고집으로 향하는 길만 자꾸 눈에서 흘러내려두부처럼 마음 눌리고 있을 때다가온 우편배달부 아저씨또 무슨 빚 때문일까 턱, 숨 막힌 날다방으로 데려가 차 한잔 시켜주고우리가 하는 일에도 기쁘고 슬픈 일이 있다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또박또박붙여오던 전신환 자네 부모만큼 고마웠다고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 열심히 살라고손목 잡아주던 자전거처럼 깡마른 우편배달부 아저씨낮달이 되어 쓸쓸하게 고향 떠나던 마음에따뜻한 우표 한 장 붙여주던* 함만복(1962~) : 시인 함민복 시인을 울린 우편배달부요즘같이 어려울 때 마음의 위로가 되는 시입니다. 우표로 상징되는 우편배달부의 속 깊은 정이 애잔하면서도 따뜻하지요. 첫 줄에 나오는 ‘판셈’은 빚잔치를 말합니다. 남은 재산으로 빚을 모두 청산하고 맨주먹으로 다시 시작한다는 의미죠.함민복 시인은 어려서부터 집안 형편이 좋지 않아 인문계 고등학교 대신 수도전기공고에 진학했습니다. 졸업 후에는 경주에 있는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4년간 일했지요. 이 시의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또박또박/ 붙여오던 전신환 자네 부모만큼 고마웠다고”라는 대목처럼 그는 월급을 아껴 집에 우체국 전신환을 또박또박 보냈습니다.하지만 좀처럼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지요. 그사이에 우편배달부는 빚 독촉 우편물을 전하며 안타까워했고요. 급기야 빚잔치를 하고 “낮달이 되어 쓸쓸하게 고향 떠나던” 날 “두부처럼 마음 눌리고 있을 때” 그 배달부가 다가왔습

  • 교양 기타

    오늘, 영연방은 왜 빨간 배지를 달까요? [고두현의 아침 시편]

    플랑드르 들판에서                    존 맥크래             플랑드르 들판에 양귀비꽃 흔들리네.우리가 누운 곳을 알려주는십자가들 줄줄이 서 있는 사이로하늘에는 종달새 힘차게 노래하며 날지만땅에선 포성 때문에 그 노래 들리지 않네.우리는 죽은 자들. 며칠 전까지만 해도살아서 새벽을 느끼고 불타는 석양을 보았지.사랑도 하고 사랑받기도 했건만지금 우리는 플랑드르 들판에 누워 있네.우리들 적과의 싸움을 이어가게.쓰러져가는 손길로 횃불을 던지노니그대여 붙잡고 드높이 들게나.행여 그대가 우리의 믿음을 저버린다면우린 영영 잠들지 못하리.비록 플랑드르 들판에 양귀비꽃 자란다 해도.* 존 맥크래(1872~1918) : 캐나다 시인, 의사.오늘 시 ‘플랑드르 들판에서’는 영연방의 현충일과 관련한 것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5년 5월. 벨기에와 프랑스 국경에 걸친 플랑드르 지역은 온통 피로 물들었습니다. 동화 ‘플랜더스의 개’로 유명한 이곳 들판은 늪과 수렁, 진흙투성이였죠. 비가 많이 오는 데다 토양이 질어 물도 잘 빠지지 않았습니다.무릎까지 차오르는 뻘과 오물, 쥐가 들끓는 참호 속에서 수십만 병사가 죽어갔지요. 캐나다에서 군의관으로 파견된 존 맥크래 중령은 전투에서 친한 친구 알렉시스 헬머 중위와 동료들을 한꺼번에 잃었습니다.흔들리는 양귀비꽃을 보며장례를 치를 군목이 없어 맥크래 중령이 대신 장례를 집전했지요. 다음 날 그는 군용트럭 뒤에 웅크리고 앉아 전사자들이 묻힌 들판에 양귀비꽃이 흔들리는 모습을 바라보며 시를 썼습니다. 그 시가 바로 ‘플랑드르 들판에서’입

  • 교양 기타

    부·영예 다 버리고 무명 시인과 사랑의 도피 [고두현의 아침 시편]

    당신을 어떻게 사랑하느냐고요?      엘리자베스 브라우닝당신을 어떻게 사랑하느냐고요? 헤아려 보죠.보이지 않는 존재의 끝과 영원한 은총에내 영혼이 닿을 수 있는 그 깊이와넓이와 높이까지 당신을 사랑합니다.태양 밑에서나 또는 촛불 아래서나,나날의 가장 행복한 순간까지 당신을 사랑합니다.권리를 주장하듯 자유롭게 사랑하고칭찬에 수줍어하듯 순수하게 당신을 사랑합니다.옛 슬픔에 쏟았던 정열로써 사랑하고내 어릴 적 믿음으로 사랑합니다.세상 떠난 모든 성인과 더불어 사랑하고,잃은 줄만 여겼던 사랑으로써 당신을 사랑합니다.나의 한평생 숨결과 미소와 눈물로써 당신을 사랑합니다.신의 부름 받더라도 죽어서 더욱 사랑하리다.* 엘리자베스 브라우닝(1806~1861) : 영국 시인오늘 얘기는 좀 말랑말랑한 러브 스토리입니다. 주인공은 영국 문학사상 최고의 사랑시를 남긴 여성 시인입니다. 당대의 스타였으나 부모·형제를 버리고, 부와 영예도 버리고, 연하의 무명 시인과 사랑의 도피를 감행한 여인 엘리자베스 브라우닝입니다.엘리자베스는 열다섯 살에 낙마 사고로 척추를 다치고, 몇 년 뒤 가슴동맥이 터져 시한부나 다름없는 청춘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사랑의 힘으로 행복한 결혼 생활을 영위하고 네 번의 유산 끝에 사랑스러운 아들까지 낳았죠. 그 아들은 훗날 뛰어난 조각가가 됐습니다. 이처럼 드라마틱한 이야기 덕분에 그가 남긴 사랑 시는 영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지요.엘리자베스는 여덟 살 때 호메로스의 작품을 그리스어로 읽고, 열네 살 때 서사시 ‘마라톤 전쟁’을 쓸 만큼 조숙한 소녀였습니다. 그러나 소아마비에 척추병, 동맥파열 등이

  • 교양 기타

    이웃집 처녀에게 바친 사랑詩 [고두현의 아침 시편]

    빛나는 별이여빛나는 별이여, 내가 너처럼 한결같다면 좋으련만-밤하늘 높은 곳에서 외로운 광채를 발하며,참을성 있게 잠자지 않는 자연의 수도자처럼,영원히 눈을 감지 않은 채,출렁이는 바닷물이 종교의식처럼육지의 해안을 정결하게 씻는 걸 지켜보거나,혹은 산과 황야에 새롭게 눈이 내려부드럽게 쌓이는 것을 가만히 응시하는 게 아니라-그런 게 아니라- 그러나 여전히 한결같이, 변함없이,아름다운 내 연인의 풍만한 가슴에 기대어,부드럽게 오르내리는 것을 영원히 느끼며,그 달콤한 동요 속에서 언제까지 깨어있으면서,평온하게, 그녀의 부드러운 숨소리에 귀 기울이며,그렇게 영원히 살고 싶어라- 아니면 차라리 죽어지리라.* 존 키츠(1795~1821) : 영국 시인.오늘은 영국 시인 존 키츠의 사랑시를 들려드리겠습니다. 그는 유독 지식인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지요. 단 4년간 활동한 뒤 26세에 요절했지만, 영국 낭만주의 대표 시인이 됐습니다. 셰익스피어 뒤를 이을 재목그가 몇 년만 더 살았더라면 세계문학사가 달라졌을 것이라며 아쉬워하는 사람도 많았죠. 셰익스피어의 뒤를 이을 재목으로 평가받았고 바이런, 셸리와 더불어 당대 시단의 최고봉으로 불렸으니 그럴 만했습니다.짧은 생애에 비해 많은 작품을 쓴 그는 ‘가장 아름다운 서정시’와 ‘가장 비극적인 러브 스토리’를 동시에 남겼습니다. 그의 사랑 얘기를 그린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브라이트 스타>가 흥행한 뒤에는 더욱 그랬지요.전기작가들이 특별히 궁금해한 것은 그가 죽기 전 끔찍이 사랑하던 연인이 누구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친구는 알고 있었지만, 여인의 남은 생을 위해

  • 교양 기타

    가을 서리에 백발이 삼천장이라니! [고두현의 아침 시편]

    추포가(秋浦歌)이백삼천 장이나 되는 흰 머리온갖 시름으로 올올이 길어졌네알 수 없어라 거울 속 저 모습어디서 늦가을 무서리 맞았는지.白髮三千丈 緣愁似箇長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 이백(李白, 701~762) : 당나라 시인.이 시는 이백의 ‘추포가(秋浦歌)’ 연작 17수 중 15수입니다.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난 그가 양쯔강 연안의 추포에 와서 지었는데 애상미의 극치를 보여주는 작품이죠.삼천장(丈)이면 10㎞나 되는데…이 시의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은 물론 과장된 표현입니다. 근심으로 허옇게 센 머리카락 길이가 3000장(약 10㎞)이나 된다고 했지만, 사실은 끝없는 고뇌와 슬픔의 길이를 은유적으로 묘사한 거죠.백발은 노년과 쇠잔함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멜라닌 부족으로 생긴 자연현상이 아니라 힘들고 어려운 일이나 그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상징하기도 하지요.누명을 쓰고 옥에 갇힌 주흥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자문(千字文)’을 다 짓고 머리가 하얗게 변해버렸다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글자가 겹치지 않게 4자씩 짝을 지은 250구(句)를 하룻밤에 완성했으니 오죽했을까요.이처럼 ‘추포가’의 거의 모든 시행에는 ‘백발(白髮)’과 ‘추상(秋霜)’의 애수가 짙게 배어 있습니다. 그는 첫수에서 이렇게 읊조리지요.“추포는 늘 가을 같아 쓸쓸함이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나그네 근심 헤아릴 길 없어 동편 큰 누대에 올라보니/ 서쪽으로 장안이 바라보이고 밑으로는 흐르는 강물이 보이네/ 강물 향해 말 붙이노니 너는 날 생각하는가/ 내 한 움큼의 눈물을 멀리 양주까지 실어가 다오.”2수에서도 “추포 원숭이들의 밤 시름에 남쪽 황산도 민둥산

  • 교양 기타

    연암 박지원은 거구에 쌍꺼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연암에서 형님을 생각하며(燕巖憶先兄)우리 형님 얼굴 수염 누구를 닮았던가.아버지 생각날 때마다 형님을 쳐다봤지.이제 형님 그리운데 어디에서 볼까의관 갖춰 입고 냇물에 비춰봐야겠네.* 박지원(1737~1805) : 『열하일기』 저자.오늘 읽어드리는 시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이 51세 때인 1787년에 형을 추모하며 쓴 것입니다. 그보다 일곱 살 위인 형 박희원(朴喜源)은 그해 7월 세상을 떠났지요. 1월에 동갑내기 부인을 떠나보낸 데 이어 맏며느리까지 잃고 난 뒤여서 그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긴 얼굴에 광대뼈 … 안색은 붉은 편연암은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나 형을 무척 따랐죠. 서른한 살 때인 1767년에 아버지 박사유(朴師愈)가 64세로 돌아가셨는데, 아버지는 백면서생으로 소일하다 늦게야 음서로 출사해 정5품 통덕랑에 머물렀습니다. 연암은 유산을 가난한 형에게 몰아주고 서대문 밖으로 집을 옮겼습니다.떨어져 사는 동안에도 연암의 형제애는 각별했지요. 형님에게 자식이 없자 둘째 아들이 태어나기도 전에 첫아들을 양자로 보낼 정도였습니다. 정조 즉위 직후 세도를 부리던 홍국영의 표적이 돼 황해도 금천의 연암골로 피신했을 때도 형님 식구들을 설득해 함께 갔다고 합니다. 그의 호 연암은 이 골짜기 이름을 딴 것이죠.형님보다 9년 먼저 세상을 떠난 형수에게는 절절한 묘지명을 지어 바쳤습니다. 연암골 집 뒤에 마련한 형수의 묘에 형님을 합장하고 애틋한 추모시까지 바쳤으니, 연암의 속정이 얼마나 깊었는지 알 만합니다.그런데 추모시 치고는 뭔가 좀 이상하지요? 무겁고 슬픈 게 아니라 동심 같은 순수와 해학이 곁들여져 빙그레 웃음까지 짓게 만듭니다. 닮은꼴 &lsqu

  • 교양 기타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다니! [고두현의 아침 시편]

    대국유감(對菊有感) 1인정이 어찌하여 무정한 물건 같은지요즘엔 닥치는 일마다 불평이 늘어간다.우연히 동쪽 울 바라보니 부끄럽기만 하네.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 이색(李穡, 1328~1396): 고려 말 문신. 국화는 여러 꽃과 함께 피는 봄이 아니라 가을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꽃입니다. 그래서 국화를 ‘오상고절(傲霜孤節, 서릿발 날리는 혹한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이라고 하지요. 일찍부터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중국에서 유독 국화를 좋아한 사람은 도연명(陶淵明)이었죠. 북송의 주돈이(周敦)도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菊花之隱逸者也)”라며 “진나라 도연명이 국화를 사랑했는데 이후 그런 사람이 드물다”고 할 정도였고요.도연명은 한때 관직을 맡기도 했지만 “내 어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향리의 어린 것들에게 허리를 굽히랴” 하며 벼슬을 버리고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부르면서 전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유명한 시 ‘음주(飮酒) 5’도 그때 쓴 것입니다.“사람 사는 곳에 오두막을 지었지만/ 문 앞에 수레와 말소리 들리지 않네./ 묻노니 어찌하여 그럴 수 있는가/ 마음이 멀어지면 사는 곳도 절로 외딴곳이 된다네./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멀거니 남산을 바라보네./ 산 기운은 해 저물어 아름답고/ 날던 새들 짝지어 돌아오네./ 이 가운데 참뜻이 있어/ 말하려다 말을 잊고 말았네(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