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시편
-
교양 기타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뭇가지 아래나뭇가지 아래 시집 한 권포도주 한 잔, 빵 한 덩이그리고 네가 내 옆에서 노래한다면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오마르 하이얌(Omar Khayyam, 1047~1131): 페르시아 시인. 시집 <루바이야트>.페르시아 시인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4행시)입니다. 루바이는 페르시아 문인들이 친구들과 흥겹게 어울리며 읊조린 4행짜리 즉흥시를 말합니다.오마르 하이얌의 시집 제목이기도 한 ‘루바이야트’는 루바이의 복수형, ‘4행시 모음’을 뜻하지요. 신용카드 사업의 아버지인 디 호크가 ‘비자’를 창업할 때 이 시집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사후 700년 만에 세계적 시인으로시인의 성 하이얌은 ‘천막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의 아버지 직업과 연관이 있는 듯합니다. 오마르가 태어난 곳은 오늘날 이란의 북동부 지역. 어릴 때부터 총명했던 그는 당대 최고 철학자와 수학자, 천문학자로 이름을 날렸고 1131년 고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오마르는 생전에 시인으로서 별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죽은 지 700년 뒤인 19세기에 갑자기 세계적 스타가 됐습니다. 영국 시인 에드워드 피츠제럴드가 영어로 옮긴 시집 <루바이야트> 덕분이었지요.1859년 영국에서 발행된 이 시집은 1878년 미국에서도 출간됐습니다.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됐고, 이후 영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죠. 오마르의 시 구절은 유명 작품의 제목이나 인용문, 관용어구 등으로 무수히 활용됐습니다.노벨문학상을 받은 미국 극작가 유진 오닐의 <아, 황야(Ah, Wilderness)>는 오마르의 시 속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라는 구절에서 따왔죠. 오닐의 여러 희
-
교양 기타
윔블던 테니스 코트에 새겨진 시 [고두현의 아침 시편]
만약에…J. 러디어드 키플링모든 사람이 이성을 잃고 너를 비난해도냉정을 유지할 수 있다면모두가 너를 의심할 때 자신을 믿고그들의 의심마저 감싸 안을 수 있다면기다리면서도 기다림에 지치지 않는다면속임을 당하고도 거짓과 거래하지 않고미움을 당하고도 미움에 굴복하지 않는다면그런데도 너무 선량한 체, 현명한 체하지 않는다면꿈을 꾸면서도 꿈의 노예가 되지 않을 수 있다면생각하면서도 생각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승리와 좌절을 만나고도이 두 가지를 똑같이 대할 수 있다면네가 말한 진실이 악인들 입에 왜곡되어어리석은 자들을 옭아매는 덫이 되는 것을 참을 수 있다면네 일생을 바쳐 이룩한 것이 무너져 내리는 걸 보고낡은 연장을 들어 다시 세울 용기가 있다면네가 이제껏 성취한 모든 걸 한데 모아서단 한 번의 승부에 걸 수 있다면그것을 다 잃고 다시 시작하면서도결코 후회의 빛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면심장과 신경, 힘줄이 다 닳아버리고남은 것이라곤 버텨라! 라는 의지뿐일 때도여전히 버틸 수 있다면군중과 함께 말하면서도 너의 미덕을 지키고왕들과 함께 거닐면서도 오만하지 않을 수 있다면적이든 친구든 너를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면모두를 중히 여기되 누구도 지나치지 않게 대한다면누군가를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1분의 시간을60초만큼의 장거리달리기로 채울 수 있다면이 세상 모든 것은 다 네 것이다.무엇보다 아들아, 너는 비로소 한 사람의 어른이 되는 것이다!- J. 러디어드 키플링(1865~1936): 영국 시인·소설가.키플링이 열두 살 된 아들에게 들려주기 위해 쓴 시입니다. 이 시에 그의 철학과 문학의 정수가 응축돼 있지요. 지금은 그의 아들뿐 아니라
-
교양 기타
다산은 이곳으로 좌천될 줄 어찌 알았을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금정시참(金井詩讖)정약용금정(金井)의 찬 기운 벽오동 감싸는데물 긷는 소리 끊기고 까마귀는 울며 간다.이제야 알겠네, 해 지고 별 뜨는 즈음황혼의 시각 보내기 새삼 어려운 줄.金井寒煙鎖碧梧 聲斷度啼烏偏知日沒星生際 銷得黃昏一刻殊* 정약용(丁若鏞·1762~1836) : 조선 후기 시인, 학자.다산 정약용이 1794년 8월 5일 밤 죽란(竹欄)에 앉아 쓴 시입니다. 죽란은 다산이 살았던 서울 명례방 집의 정원 이름입니다. 그는 이곳에서 문인들과 어울려 자주 시회를 가졌죠. 유명한 죽란시사(竹欄詩社)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시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추심(秋心)’이라는 제목의 5수 연작 중 두 번째로 실려 있지요. 이 시 쓴 다음 해 금정으로 좌천당해다산이 이 시를 쓸 때 곁에는 남고(南皐) 윤규범(尹奎範, 1752~1821)이 있었습니다. 그는 다산의 육촌 형으로 26세에 과거에 급제하고 시문으로 이름이 난 인물이지요. 다산과 자주 어울려 시를 지었는데, 특히 이 시를 극찬했다고 합니다.시정이 쓸쓸하고 가을날 황혼의 정치가 함께 어우러져 묘한 울림을 주는 시입니다. 다산이 이 시에 쓴 금정(金井)은 궁궐이나 정원에 있는 우물을 미화해 표현한 것이라고 하지요.그런데 다산이 이 시를 쓴 다음 해인 1795년 7월에 주문모 사건에 연루돼 좌천당해 간 곳이 바로 충청도 금정이었으니 참으로 묘한 일입니다. 이때 역참 누각 앞에 벽오동 한 그루가 서 있었다고 하니 더욱 놀랍지요.어쨌거나 금정 찰방으로 쫓겨 간 이래 다산은 황혼이 깃들 즈음이 가장 괴로웠다고 고백합니다. 세상만사가 이미 다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지요. ‘방금 뜬 초승달이 발을 더디
-
교양 기타
첫사랑 연인과 이별한 김소월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김소월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그림자 같은 벗 하나이 내게 있었습니다.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많은 세월을쓸데없는 괴로움으로만 보내었겠습니까!오늘은 또 다시, 당신의 가슴속, 속모를 곳을울면서 나는 휘저어 버리고 떠납니다 그려.허수한 맘, 둘 곳 없는 심사에 쓰라린 가슴은그것이 사랑, 사랑이던 줄이 아니도 잊힙니다.* 김소월(1902~1934): 평북 구성 태생. 본명은 김정식(金廷湜). 시집 <진달래꽃>.오는 9월 8일은 시인 김소월이 탄생한 지 120년이 되는 날입니다. 서른두 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가 1902년 평안북도 구성군 서산면에서 첫울음을 터뜨린 날이지요. 소월의 고향은 봄마다 산꽃이 지천으로 피는 아름다운 마을이었습니다.옥녀봉에서 만나 풀피리 불던 소녀할아버지가 개설한 독서당에서 한문을 공부한 그는 곧 남산소학교에 입학했지요. 같은 반 동네 소녀 오순과 친하게 된 뒤로는 옥녀봉 냉천터에서 자주 만나곤 했습니다. 바위에 올라 함께 피리를 불거나 노래를 불렀고, 숲 사이의 시냇가를 거닐기도 했죠. 어릴 때의 이런 추억은 훗날 ‘풀따기’라는 시에도 잘 묘사돼 있습니다.“우리 집 뒷산에는 풀이 푸르고/ 숲 사이의 시냇물, 모래 바닥은/ 파아란 풀 그림자, 떠서 흘러요./ 그리운 우리 님은 어디 계신고,/ 날마다 피어나는 우리 님 생각./ 날마다 뒷산에 홀로 앉아서/ 날마다 풀을 따서 물에 던져요.”(일부 발췌)오순은 의붓어미 밑에서 자랐는데 집이 매우 가난했습니다. 그 아래로 동생이 다섯 명이나 있었으니 더욱 궁핍했죠. 소월이 숙모에게 들은 전설에서 모티브를 얻었다는 시 ‘접동새’의 주인공과 비슷한 처지였다고
-
교양 기타
양반들의 존경을 받은 '노비 시인' 정초부 [고두현의 아침 시편]
산새는 얼굴을 알건만정초부산새는 옛날부터 산 사람 얼굴을 알고 있건만관아의 호적에는 아예들 늙은이 이름이 빠졌구나.큰 창고에 쌓인 쌀 한 톨도 얻기 어려워강가 누각에 홀로 기대어 저녁밥 짓는 연기만 바라보네.山禽舊識山人面, 郡藉今無野老名.一粒難分太倉粟, 江樓獨倚暮烟生.* 정초부(1714~1789) : 조선 후기의 노비 출신 시인.정초부(鄭樵夫)는 조선 정조 때 사람입니다. 초부란 나무꾼을 뜻하니 ‘정씨 나무꾼’이죠. 최하층 신분입니다. 지금의 양평 지역에 있는 여씨 집안의 가노(家奴)였지요.그런 노비가 어떻게 한시를 지을 줄 알았을까요. 운율과 성조, 기승전결을 두루 맞추기 위해서는 10년 이상 공부하며 내공을 익혀야 합니다. 10개가 넘는 규칙을 지키면서 문학성까지 발휘해야 하니 양반들에게도 쉬운 작업이 아니었죠.노비 신분 벗어난 뒤에도 쌀이 없어정초부는 어릴 때부터 낮에는 나무하고 밤엔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며 자랐습니다. 주인이 낭독하는 글을 듣고 바로 외워버릴 정도로 재주가 남달랐죠. 그런 그를 주인이 기특하게 여겨 자제들과 함께 글을 읽도록 했습니다. 그랬더니 학업 성취가 매우 빨랐고, 곧 시 잘 짓는 나무꾼으로 경기 일대에 명성이 자자해졌지요.그는 특히 과거시험에 쓰이는 과시(科詩)를 잘 지었습니다. 주인집 자제들이 과거에 급제하도록 도와주기까지 했죠. 이 덕분에 노비에서 벗어나 양인으로 신분이 바뀌었습니다.그는 지식을 뽐내는 것보다 정감이 넘치는 시를 많이 지었어요. 하층민이라고 해서 독설과 비판이 담겨 있을 것 같지만 오히려 속으로 익히고 견디는 자세가 돋보인다는 평을 들었습니다.하지만 양인이 된 후로도 전처럼 나무를 해야
-
교양 기타
될성부른 나무는 '부름켜'부터 다르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무나무보다 아름다운 시를내 다시 보지 못하리.허기진 입을 대지의 달콤한 젖가슴깊숙이 묻고 있는 나무온종일 앞에 덮인 두 팔을 들어 올린 채하늘을 바라보며 서 있는 나무그 가슴에 눈이 내리면 쉬었다 가게 하고비가 오면 다정히 말을 건네주는 나무시는 나 같은 바보들이 만들지만나무는 하나님만이 만들 수 있다네* 조이스 킬머(1886~1918): 미국 시인나뭇가지는 하늘을 향한 고성능 안테나다. 두 팔을 힘껏 벌리고 섬세한 촉수로 지혜의 빛을 잡아낸다. 광합성 과정에서 새로운 영감을 포착하면 푸른 잎사귀를 차르르 흔든다. 그럴 때 나무의 두 발은 더 깊은 땅속으로 뿌리를 뻗는다.대지에 발을 딛고 서 우주로 팔을 벌린 형상이 곧 나무[木]다. 그 밑동에 ‘한 일(一)’ 자를 받치면 세상의 근본[本]이 된다. 나무는 이렇게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상과 천상을 연결한다.나무는 뛰어난 인재(人材)를 의미한다. 목조건축이나 기구를 만드는 데 쓰는 나무를 재목(材木)이라고 한다. 이 또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거나 어떤 직위에 합당한 인물’을 가리킨다. 예부터 될성부른 떡잎과 들보로 쓸 만한 동량(棟梁)을 나무에 비유했다. 떡잎부터 나이테까지 결정짓는 ‘부름켜 경영’나무가 가장 바쁜 시기는 봄부터 초여름까지다. 날마다 새순을 밀어 올리느라 쉴 틈이 없다. 줄기를 살찌우며 몸집을 키우는 것도 이때다. 새로운 세포로 줄기나 뿌리를 굵게 만드는 식물의 부위를 ‘부름켜’라고 한다. 불어나다의 어간인 ‘붇’과 명사형 ‘음’, 층을 뜻하는 ‘켜’가 합쳐진 순우리말이다. 형성층(形成層, cambium)이라고도 한다.부름켜는
-
교양 기타
도연명이 금주를 선언한 이유 [고두현의 아침 시편]
술을 끊으며(止酒)도연명성읍에 사는 것 그만두고자유롭게 노닐며 스스로 한가하네.앉는 건 높은 나무 그늘 아래에 멈추고걷는 건 사립문 안에 멈추네.좋은 맛은 텃밭의 아욱에서 그치고큰 즐거움은 어린 자식에서 그치네.평생 술을 끊지 못했으니술 끊으면 마음에 기쁨이 없기 때문이었네.저녁에 끊으면 편히 잠들지 못하고아침에 끊으면 일어날 수가 없네.날마다 날마다 끊으려고 했지만혈기의 작용이 멈추어 순조롭지 않네.단지 술을 끊는 게 즐겁지 않은 것만 알고끊는 게 몸에 이로운 것은 믿지 않네.비로소 끊는 게 좋다는 걸 깨닫고오늘 아침에 정말로 끊게 되었네.이로부터 한결같이 끊어 나가면장차 부상의 물가에 이르리라.맑은 얼굴이 예전 모습대로 머물 것이니어찌 천만년에 그치겠는가.居止次城邑 逍遙自閑止 坐止高蔭下 步止門裏好味止園葵 大歡止稚子 平生不止酒 止酒情無喜暮止不安寢 晨止不能起 日月欲止之 營衛止不理徒知止不樂 未信止利己 始覺止爲善 今朝眞止矣從此一止去 將止扶桑 淸顔止宿容 奚止千萬祀.* 도연명(陶淵明·365~427) : 중국 동진 말기에서 송대 초기의 시인.이태백과 함께 유난히 술을 좋아했던 도연명(陶淵明). 그가 술을 끊게 됐다니, 이 무슨 얘기일까요. 이 시를 쓴 시기를 짚어보니 그의 나이 마흔아홉 살 무렵입니다. 이보다 13년 뒤인 예순두 살에 세상을 떠난 걸 감안하면, 말년까지 아예 술을 입에 대지도 않았다는 말인데….한자 ‘지(止)’라는 글자에 담긴 비밀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는 이후로도 술을 계속 즐겼습니다. 이 시에는 한자 ‘지(止)’ 자가 20개나 들어 있는데요, 그 글자 속에 비밀이 담겨 있습니다. 대체 어떤 비밀일까요.학
-
교양 기타
사랑하라, 그러나 간격을 두라 [고두현의 아침 시편]
사랑하라, 그러나 간격을 두라 너희 함께 태어나 영원히 함께하리라.죽음의 천사가 너희를 갈라놓을 때까지신의 계율 속에서도 너희는 늘 함께하리라.그러나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창공의 바람이 너희 사이에서 춤추게 하라.서로 사랑하되 그것으로 구속하지는 말라.너희 영혼의 해안 사이에 물결치는 바다를 놓아두라.서로의 잔을 채워주되 같은 잔을 마시지 말라.서로에게 빵을 주되 같은 빵을 먹지 말라.현악기의 줄들이 같은 화음을 내면서도 혼자이듯이함께 노래하고 춤추며 즐기되 서로는 혼자 있게 하라.서로의 가슴을 주되 그 속에 묶어 두지는 말라.오직 신의 손길만이 너희 가슴을 품을 수 있다.함께 서 있되 너무 가까이 서 있지는 말라.사원의 기둥들은 서로 떨어져 있고참나무와 삼나무도 서로의 그늘 속에선 자랄 수 없느니.* 칼릴 지브란(1883~1931) : 레바논 출신의 미국 시인덩굴식물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줄기를 감고 오릅니다. 칡은 대부분 왼쪽으로 감고, 등나무는 주로 오른쪽으로 감지요. 개중에 좌우를 가리지 않는 것도 있지만, 칡과 등나무가 다른 쪽으로 감고 오르다 얽히면 싸우게 됩니다. 이런 모습의 ‘칡 갈(葛)’과 ‘등나무 등(藤)’에서 유래한 말이 곧 갈등(葛藤)이죠.인간 세상에서도 생각이 한쪽으로만 꼬이는 사람끼리 만나면 부딪치게 됩니다. 갈등이 심해지면 자기뿐 아니라 이웃과 사회까지 망치고 말지요. 칡에 감긴 나무가 햇빛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등나무 줄기에 목을 졸린 나무가 숨을 쉬기 어려운 것과 같습니다.레바논 출신의 미국 시인 칼릴 지브란은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