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시편
-
교양 기타
성북동에서 건진 만해시편 연작 [고두현의 아침 시편]
심우장 가는 길고두현멀다.아직도 골목을 맴돌며소를 찾아 헤매는저 빈 집의오랜침묵!만해를 생각하면 두 장면이 먼저 떠오릅니다. 서울 성북동에 있는 심우장(尋牛莊)과 저 먼 만주의 굴라재 고개입니다. 하나는 현존하는 기념 공간이고, 하나는 역사 속의 기억 공간이지요. 이곳을 처음 방문한 날 저는 ‘만해시편’ 연작의 첫 번째 작품 ‘심우장 가는 길’을 썼습니다. 초고는 길게 썼는데 군말을 몇 번씩 헹궈냈더니 단출한 말만 남았습니다.“멀다.// 아직도 골목을 맴돌며/ 소를 찾아 헤매는// 저 빈 집의/ 오랜// 침묵!”심우장 가는 길은 예나 지금이나 고즈넉합니다. 도성 북쪽이어서 ‘성북’이라는 이름이 붙은 서울 성북동 산기슭 222의 1. 좁고 가파른 골목 사이로 올라가니 만해가 노년에 머물렀던 심우장이 나옵니다. 밖에서 본 심우장의 표정은 무심하고 무연합니다. 오랜 침묵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습니다.만해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지은 이 집은 특이하게도 남향이 아니라 동북향입니다.대문을 열고 들어서니 59㎡(17.8평) 규모의 소박한 단층집이 눈에 들어옵니다. 오른쪽 서재 앞에 ‘尋牛莊(심우장)’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심우장은 ‘소를 찾는 집’이라는 뜻이지요. 알다시피 불교 수행에서 ‘잃어버린 나’를 찾는 깨달음의 과정을 의미합니다.마당 한쪽에 만해가 심은 향나무 한 그루와 수령 90년이 넘은 소나무가 서 있습니다. 만해 시 ‘님의 침묵’ 중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이라는 구절이 두 나무의 그림자에 겹쳐지는 듯합니다.마루에 걸터앉아 한동안 상념에 잠겼습니다. 만해는
-
교양 기타
"무슨 일 있어도 기죽으면 안 된대이" [고두현의 아침 시편]
하석근 아저씨 고두현참말로아무 일 없다는 듯이제 그만 올라가 보자고20리 학교 길 달려오는 동안 다 흘리고 왔는지그 말만 하고 앞장서 걷던 하석근 아저씨.금산 입구에 접어들어서야말이 귀에 들어왔습니다.너 아부지가 돌아가셨……그날 밤너럭바위 끝으로무뚝뚝하게 불러내서는앞으로 아부지 안 계신다고 절대기죽으면 안 된대이, 다짐받던그때 이후살면서 기죽은 적 없지요.딱 한 번, 알콩으로 꿩 잡은 죄 때문에두 살배기 딸 먼저 잃은 아저씨돌덩이 같은눈물 앞에서만 빼면 말이에요.그날 이후. 그날 밤 아저씨가 해준 한마디열네 살 때였으니까, 중학교에 들어간 첫해였습니다. 그 시절 우리 가족은 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의 작은 절집 곁방에 살았는데, 그 절에 나무도 하고 궂은일도 하는 하석근이라는 처사가 있었습니다.어느 날 그 아저씨가 학교로 찾아왔습니다.“…너그 아부지가…… 돌아가셨…….”금산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정신이 없었습니다. 산길을 오르는 동안에도 실감이 나지 않았습니다. 돌부리에 차인 발이 아픈 것도 몰랐고 그 소리에 산 꿩이 놀라 푸드덕거리는 소리도 들리지 않았지요.초등학교 때부터 산에서 자랐기 때문에 ‘집도 절도 없이’ 지내던 저로서는 아버지의 죽음이 황망하고 두려웠습니다. 세속 동네의 단란한 모습이 부러워 친구네 집에서 일부러 끼니때가 되도록 눌러앉아 놀다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고기 국밥을 얻어먹곤 했던 터라, 갑작스러운 부음에 마음이 혼란스럽고 아리기만 했지요.그날 밤늦게 하씨 아저씨가 저를 밖으로 불러냈습니
-
교양 기타
그곳 '그림자의 섬'에 가고 싶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그림자의 섬김구슬그림자 섬 영도(影島),분홍 대문이우리를 맞이한다.작은 풀꽃 가득한 정원에 스민 차가운물기는진한 핑크빛 독일 장미의관능을 씻어내고,벽에 걸린 톨스토이의 노자적 표정은초록 풀들의 속삭임을 금한다.차가움과 뜨거움,움직임과 정지의 교란 사이에황홀한푸른 식탁이 펼쳐진다.진지한 런치 후의담백한 티 타임,'천 권 시집의 집'카페 '영도일보'는극지와 열대 사이의긴장과 조화를 구현한‘그림자의 섬’이다.이 시에 나오는 영도(影島)는 특이하게 ‘그림자 영(影)’ 자를 이름에 씁니다. 왜 그럴까요?부산 앞바다 섬 영도는 신라 때부터 조선 시대까지 절영도(絶影島)라고 불렀습니다. 이곳에 국가가 경영하는 말 목장이 있었는데 여기에서 자란 말이 워낙 빨라 그림자(影)가 끊어져(絶) 보일 정도였다고 합니다.달리는 말의 그림자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라는 이야기는 이 시의 ‘그림자’ 모티브와 연결됩니다. 그림자는 실체와 함께 있지만 실체와 다른 차원의 존재이지요. 영도라는 섬의 존재도 그렇습니다. 영도는 지도 위의 한 섬일 뿐만 아니라 땅과 바다, 과거와 현재, 전쟁과 피란, 생과 사를 잇는 역사적 기억의 교차로입니다.시집 속에 자주 등장하는 지명 ‘영도’김구슬 시인의 ‘그림자의 섬’은 최근 나온 시집의 표제작인데, 시집 속에 영도라는 지명이 자주 등장합니다. ‘묘박지’라는 시에도 “어린 시절 듣던 영도다리의 사연들이/ 이제 대교 저 높이 걸려 있다”, “배들은,/ 부두도 아니고 뱃길도 아닌 곳에서/ 부동도 움직임도 아닌 상태로/ 닻을 내리고 호명을 기다리고 있다”는 대목이 나옵니다.그
-
교양 기타
은하계를 건너온 시의 신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은하계 통신 유자효저 세상에서 신호가 왔다무수한 전파에 섞여 간헐적으로 이어져 오는 단속음은분명 이 세상의 것은 아니었다그 뜻은 알 수 없으나까마득히 먼 어느 별에서 보내온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신호였다더욱이 이 세상에서 신호를 받고 있을 시각에신호를 보내는 저 세상의 존재는 이미 없다그 신호는 몇백 년 전, 몇천 년 전에 보낸 것이기 때문이다결코 만날 수 없는아득한 거리와 시간을 향하여 보내는 신호살아 있는 존재는 어딘가를 향하여 신호를 보낸다끊임없이 자신을 알리고자 한다그 신호가 영원을 향하고 있을때우리는 그것을 신이 보낸 신호라고 믿는다신이 살지 않는 땅에서 받는신들의 간절한 신호오늘도 저 세상의 주민들은 신호를 보낸다몇백 년 뒤, 몇천 년 뒤결코 갈 수 없는 세상의 주민들에게 프랑스어로 번역된 시 70편최근 프랑스에서 출간된 유자효 시인의 불역 시집 <은하계 통신>에 실린 표제작입니다. 유자효 시인은 <은하계 통신(Communication intergalactique)>을 프랑스시인협회에서 출간한 것과 동시에 한·불 대역 시조집 <청자주병(Celadon de Goryeo)>을 프랑스어권작가·시인협회에서 출판했습니다.<은하계 통신>에는 프랑스어로 번역된 시 70편이 실렸고, <청자주병>에는 단시조 50편과 연시조 20편이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수록됐습니다. 두 시집 모두 손미혜, 장-피에르 쥐비아트 번역가가 공동으로 번역했군요.표제시 ‘은하계 통신’에서 시인은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남기는 질문을 던집니다. ‘우주는 침묵하는가, 아니면 우리가 듣지 못하는 것일 뿐인가.’ 그러면서 시인은 과학적 상
-
교양 기타
더 이상 응축할 수 없는 서정시의 극치 [고두현의 아침 시편]
랑서정춘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올해 84세인 서정춘 시인의 제7 시집 <랑> 첫머리에 나오는 표제작입니다. ‘랑’이라는 말의 둥근 어감에다 ‘이음새가 좋은 말’이라는 의미까지 절묘하게 어우러진 작품이지요. 고도로 응축된 언어로 서정의 극치를 보여주는 시입니다.여기에서 ‘랑’은 ‘너랑 나랑’을 이어주는 ‘사랑’의 접속 조사이면서 ‘또랑물 소리’로 우리와 세상을 이어주는 연결 고리입니다. ‘시인이랑 독자랑’ 이어주는 교감의 이음새이기도 합니다. 이 시의 후속편이라 할 수 있는 ‘피아노랑’이라는 시를 볼까요.‘<피아노랑>은 피아니스트 박지나 님이 서정춘의 시 「랑」에서 영감을 얻어 여러 또랑물 소리를 모시고 연주 동아리 이름을 지은 거다// 정녕, 랑은 이음새가 긴 온음표 같은 것’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조사 하나에서 이렇게 놀라운 세계를 펼쳐내다니, 대단한 경지입니다. 이번 시집에는 이처럼 짧고도 웅숭깊은 시가 31편 실려 있습니다. 시만 짧은 게 아니라 수록 편수도 다른 시집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시집 앞머리의 ‘시인의 말’ 또한 짧습니다. ‘아하, 누군가가 말했듯이/ 나도 “시간보다 재능이 모자라 더 짧게는 못 썼소.”’ 이전 시집 <이슬에 사무치다>의 ‘시인의 말’에 썼던 말을 인용한 것입니다. 이 이상 더 응축할 수가 없다는 뜻이지요.이 같은 시적 염결성은 그의 인생 전체를 관통합니다. 1941년 전남 순천에서 마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가난과 독학으로 시의 길을 헤쳐왔습니다. 신문 배달 중에 우연히
-
교양 기타
신달자 시인 "비가 손을 적시는데 등이 따스하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내 앞에 비 내리고 신달자밤새 내리고 아침에 내리고 낮을 거쳐 저녁에 또 내리는 비적막하다고 한마디 했더니 그래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계속 보여 주는구나고맙다, 너희들 다 안아 주다가 늙어 버리겠다 몇 줄기는 연 창으로 들어와반절 손을 적신다 손을 적시는데 등이 따스하다죽 죽 죽 줄 줄 줄 비는 엄마 심부름처럼 다른 사람에게는 내리지 않고춤추듯 노래하듯 긴 영화를 돌리고 있다 엄마 한잔할 때 부르던 가락 닮았다큰 소리도 아니고 추적추적 혼잣말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비이젠 됐다라고 말하려다 꿀꺽 삼킨다 저 움직이는 비바람이 뚝 그치는그다음의 고요를 무엇이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표현이 막막하다.하루 종일 비 내리는 모습을 지켜보는 사람이 있습니다. 지난밤부터 쉬지 않고 내리는 비를 보면서 ‘혼잣말’을 나직하게 되뇝니다. “적막하다”. 그 말을 알아들었는지 비는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고맙다”. 평생 보듬어 키운 인연처럼 그 빗줄기를 “다 안아 주다가 늙어 버리겠다”고 한마디 보태자 몇 줄기가 창 안으로 슬며시 들칩니다. 그렇게 들어온 비가 손을 적시는데 뜻밖에도 등이 따스합니다.‘죽 죽 죽’ 쏟아지는 비는 ‘춤추듯’ 노래하고, ‘줄 줄 줄’ 흐르는 비는 ‘노래하듯’ 춤춥니다. 그 사이로 지난 시절이 긴 영화처럼 펼쳐집니다. 화면 속으로 ‘엄마 심부름’과 ‘엄마 한잔’의 인생 여정이 흐릅니다. 지나온 세월을 돌아보면 인생은 ‘큰 소리도 아니고 추적추적 혼잣말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비’와 같습니다.저
-
교양 기타
백거이가 10대에 쓴 놀라운 시 [고두현의 아침 시편]
옛 언덕의 풀 이별 노래백거이언덕 위에 우거진 풀들해마다 한 번 시들었다 무성해진다네.들불을 놓아도 다 타지 않고봄바람 불면 다시 돋아난다네.방초는 멀리 뻗어 옛길을 덮고맑은 하늘 푸른 빛은 황폐한 성까지 닿네.또 그대를 떠나보내니이별의 슬픔 가득하다네.賦得古原草 送別離離原上草 一歲一枯榮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遠芳侵古道 晴翠接荒城又送王孫去 萋萋滿別情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10대 시절에 쓴 시입니다. 원문 제목은 ‘부득고원초송별’인데, ‘초(草)’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백거이가 15세, 혹은 18세 때였다고 합니다. 시험을 보러 수도 장안(長安)에 처음 갔다가 당시 이름난 시인인 고황(顧況)을 찾아갔지요. 고황은 소년의 이름이 ‘거이(居易)’인 것을 보고 이에 빗대어 “장안의 쌀값이 비싸니 살기가 어려울 텐데(長安米貴 居住不易)”라며 조롱했습니다. 그러나 백거이가 이 시를 보여주자 “이런 재주가 있다면 살아가기가 쉬울 것(有才如此 居亦容易)”이라며 감탄했다고 합니다. 이때의 칭찬 덕분에 소년 백거이의 이름이 널리 퍼졌지요.들불을 놓아도 풀은 다 타지 않는다시 원문에 나오는 ‘야화(野火)’는 들판의 마른 풀을 태우기 위해 지르는 불을 가리킵니다. ‘야화소부진 춘풍취우생(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은 들불을 놓아도 풀은 완전히 다 타 없어지지 않고 봄이 되면 다시 파릇파릇 돋아나는 것을 묘사한 것이죠. 간결하면서도 깊은 함의를 지닌 이 구절이 바로 이 시의 백미입니다.이 명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소인(小人)은 제거해도 다 사라지지 않아 마치 풀
-
교양 기타
최후의 심판은 '불'일까 '얼음'일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불과 얼음 로버트 프로스트어떤 이는 세상이 불로 끝날 것이라 하고,어떤 이는 얼음으로 끝날 것이라 하네.내가 맛본 욕망에 비춰 보면불로 끝난다는 쪽을 편들겠네.하지만 세상이 두 번 멸망한다면,난 증오에 대해서도 잘 알기에얼음의 파괴력 역시불에 못지않게 엄청나며또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하겠네.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1874~1963)가 46세 때인 1920년에 발표한 시입니다. 9행짜리 짧은 시이지만 의미는 깊습니다. 시인은 인간의 욕망과 증오를 ‘불’과 ‘얼음’에 비유하면서 이것이 세상을 멸망시킬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이 시를 보는 세 가지 관점이 흥미롭습니다. 우선 프로스트의 전기 작가에 따르면 이 시는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지옥’ 편에 나오는 ‘끓는 피’와 ‘화염 속’ 불의 형벌, 몸 전체가 얼음 속에 갇히는 형벌이 그것이지요. 둘 다 세상의 종말을 부르는 죄악입니다.또 하나는 자연과학적 관점입니다. 저명한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는 자신이 ‘불과 얼음’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시가 발표되기 1년 전에 프로스트와 만났다고 합니다. 그때 자기가 천문학자라는 것을 안 프로스트가 “세상이 어떻게 끝날 것 같습니까?” 하고 물었답니다.이 질문을 받은 그는 “태양의 폭발로 지구가 불타거나 그렇지 않다면 광대무변한 우주 공간에서 천천히 얼어붙을 것”이라고 대답했는데, 1년 뒤에 ‘불과 얼음’이 발표된 것을 보고 크게 놀랐다는 것입니다. 그는 “과학이 예술 창작에 어떻게 영향을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