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우장 가는 길
고두현
멀다.
아직도 골목을 맴돌며
소를 찾아 헤매는
저 빈 집의
오랜
침묵!
만해를 생각하면 두 장면이 먼저 떠오릅니다. 서울 성북동에 있는 심우장(尋牛莊)과 저 먼 만주의 굴라재 고개입니다. 하나는 현존하는 기념 공간이고, 하나는 역사 속의 기억 공간이지요. 이곳을 처음 방문한 날 저는 ‘만해시편’ 연작의 첫 번째 작품 ‘심우장 가는 길’을 썼습니다. 초고는 길게 썼는데 군말을 몇 번씩 헹궈냈더니 단출한 말만 남았습니다.
“멀다.// 아직도 골목을 맴돌며/ 소를 찾아 헤매는// 저 빈 집의/ 오랜// 침묵!”
심우장 가는 길은 예나 지금이나 고즈넉합니다. 도성 북쪽이어서 ‘성북’이라는 이름이 붙은 서울 성북동 산기슭 222의 1. 좁고 가파른 골목 사이로 올라가니 만해가 노년에 머물렀던 심우장이 나옵니다. 밖에서 본 심우장의 표정은 무심하고 무연합니다. 오랜 침묵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습니다.
만해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지은 이 집은 특이하게도 남향이 아니라 동북향입니다.
대문을 열고 들어서니 59㎡(17.8평) 규모의 소박한 단층집이 눈에 들어옵니다. 오른쪽 서재 앞에 ‘尋牛莊(심우장)’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심우장은 ‘소를 찾는 집’이라는 뜻이지요. 알다시피 불교 수행에서 ‘잃어버린 나’를 찾는 깨달음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마당 한쪽에 만해가 심은 향나무 한 그루와 수령 90년이 넘은 소나무가 서 있습니다. 만해 시 ‘님의 침묵’ 중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이라는 구절이 두 나무의 그림자에 겹쳐지는 듯합니다.
마루에 걸터앉아 한동안 상념에 잠겼습니다. 만해는 그때 무슨 생각을 했고, 지금은 어디메쯤 있는 것일까. 그러면서 얻은 두 번째 연작시가 ‘북정마을’입니다.
“하필 북향 터라니/ 푸른 산빛을 깨친/ 단풍나무 숲은 어디 가고/ 늙은 향나무 소나무만/ 지붕 밑을 기웃거리고 있다.// 북향집에는/ 해가 빨리 진다.// 나뭇잎들이 가리키는/ 손가락 따라// 일제히 마을을 덮는/ 산 그리메.// 북창에 살풋/ 그대 그림자가 어린다.”
만해는 심우장에서 11년을 살았습니다. 방 안에 그의 원고와 글씨 등이 보관돼 있습니다. 3·1운동으로 투옥됐을 때의 옥중공판기록도 눈에 띕니다.
그는 이곳에서 많은 사람을 만났습니다.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 말소를 주도한 동아일보 이길용 기자도 그중 한 명이었지요. 신문사를 그만둔 이 씨가 이곳 동장(洞長)을 지내며 심우장을 자주 찾았는데, 만해는 그와 늦게까지 얘기하며 오래 교류했습니다.
1937년에는 순국한 독립운동가 김동삼의 유해를 모셔와 이곳에서 장례를 치렀습니다. 김동삼과 관련한 일화로 ‘굴라재 활불(活佛) 사건’이 유명합니다. 만해가 젊은 시절 만주 굴라재 고개에서 독립군 후보생들에게 일본 정탐꾼으로 오인받아 총격을 당했습니다. 총알이 머리에 박힌 상황에서도 그는 쏜 사람을 욕하지 않고 마취 없이 수술을 받았지요. 이때 치료를 맡았던 김동삼이 “활불(살아 있는 부처)”이라며 감탄했다고 합니다. 이때의 일을 네 번째 연작 ‘굴라재 활불 사건’에 담아 보았습니다.
“젊은 시절이었지./ 만주 굴라재 고개 넘다/ 머리에 총 맞은 그날.// 독립군 후보생들이었어./ 작은 키에 까까머리 나를/ 일본 밀정으로 오인했다는// 그들이 무릎 꿇고 비는 동안/ 나도 빌었지. 마취 없이 수술받는 나보다/ 칼 쥔 손 먼저 기도해 달라고.// 김동삼이라고 했던가. 맞아./ 그의 손이 자꾸 떨리는 걸 보았어./ 뒷걸음치는 흰 소의 눈망울 같았지.// 수술 마친 그가 낮게 외쳤어./ 활불(活佛)일세! 그러나 이후/ 나는 평생 고개 흔드는 체머리로 살아야 했지.// 서대문형무소에서 그가 죽은 날/ 북정 고개 넘어 싣고 와서는/ 내 방에 모시고 오일장을 치렀지.// 일생에 딱 한 번 그때 울었어.// 그는 쉰아홉, 나는 쉰여덟./ 광복 8년 전이었지.// 지금 생각하니/ 죽어서 더 오래 산/ 그가 진짜 활불이었어.// 고개가 흔들릴 때마다/ 한 땀씩 그가 내 머리에 새겨놓은/ 만주의 햇살이 그립기도 해.// 그땐 젊어서/ 마취 없이도 세상 견딜 만했지./ 하루하루가 활불이었어. 그때 우리는.”
만해가 심우장에서 심혈을 기울인 것은 독립정신과 민족의식 고취뿐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1934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비롯해 <후회><박명> 등을 이곳에서 썼습니다. 수많은 논설과 수필, 번역문도 집필했지요. 그는 필명으로 ‘목부(牧夫)’ ‘실우(失牛)’ 등을 썼습니다. 목부는 ‘소를 키운다’는 뜻이고, 실우는 ‘소를 잃어버렸다’는 뜻이지요. 이는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 구도 과정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런 수행을 통해 그는 인간의 본성을 연구하는 데 매진했습니다. 이를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이붓는 작업이라고 표현했지요. ‘님의 침묵’ 서문에서는 “기룬(그리운) 것은 다 님”이라며 “해 저문 벌판에서 돌아가는 길을 잃고 헤매이는 어린 양이 기루어서 이 시를 쓴다”고 했습니다.
그는 엄혹한 시대에 가장 부드러운 시어를 통해 삶의 근본을 탐색했습니다. 그의 공부는 “그칠 줄 모르고 타는 가슴”이 되어 수많은 이의 밤을 밝히는 심지로 타올랐습니다. 총상 후유증으로 머리를 흔드는 ‘체머리’를 앓으면서도 인문학적 성찰을 게을리하지 않았지요. 단재 신채호 유고집 간행을 추진하던 중, 안타깝게도 광복을 한 해 앞둔 1944년 생을 마감했습니다.√ 음미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