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
-
교양 기타
산돌을 주워다 물을 주어 기르는 마음 [고두현의 아침 시편]
첫사랑의 시서정주초등학교 3학년 때나는 열두 살이었는데요.우리 이쁜 여선생님을너무나 좋아해서요.손톱도 그분같이 늘 깨끗이 깎고,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그러면서 산에 가선 산돌을 줏어다가국화밭에 놓아두곤날마다 물을 주어 길렀어요.미당 서정주 시인이 살아 계실 때 서울 관악구 남현동 자택으로 찾아가 뵙곤 했습니다. 지금은 ‘미당 서정주의 집’이라는 문화공간으로 개방돼 있지요.그 집 정원 한편에 작은 쉼터가 있습니다. 일반인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단장하면서 새로 만든 공간이죠. 방문객들이 앉아 쉬거나 간혹 시낭송회를 여는 곳인데, 몇 해 전 찾아갔을 때 여학생들이 옹기종기 모여 미당의 시를 낭송하고 있었습니다.좋아하면 닮고 싶어지는 …그 모습이 참 보기 좋았지요. 저도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미당의 ‘첫사랑의 시’를 읊조려 보았습니다. 어릴 적 이쁜 여선생님을 좋아하던 열두 살 소년 시절로 금방 돌아간 듯했지요.좋아하면 닮고 싶어진다고 했습니다. 땟국 꾀죄죄한 시골 촌뜨기의 눈에 여선생님의 연분홍 손톱은 얼마나 맑고 고왔을까요. 부드러운 눈빛과 목소리는 또 얼마나 아름다웠을까요. 그런 여선생님을 닮고 싶었을 것입니다. 잘 보이고 싶어서 공부도 1등을 노려서 열심히 하고, 손짓발짓 온갖 행동도 더 착하게 하려고 노력했겠죠.여기까지는 그래도 열두 살짜리의 생각이라 납득이 갑니다. 그런데 그다음 생각은 어떻게 했을까요. 혼자 산에 가서는 속마음과 닮은 돌을 하나 주워 와서 국화밭에 놓아두고 물을 주다니요. 그렇게 물을 주어 기르는 생각을 했다니요! 날마다 물을 주어 기르면 산돌이 자랄 거라고 믿는 그 마음이 정말 이쁘
-
교양 기타
꽃잎 한 점 질 때마다 봄날이 줄어들거늘 [고두현의 아침 시편]
곡강이수-1꽃잎 한 점 질 때마다 봄날이 줄어들거늘바람에 만 점 잎이 흩날리니 시름겹도다.막 지려는 꽃이 눈에 스치는 것 잠시 바라보고몸 상한다 하여 술 마시는 일 마다하지 않으리.강가 작은 집에 물총새 둥지 틀고동산 옆 높다란 묘 기린 석상 누워있네.천천히 물리를 헤아리며 마음껏 즐겨야지무엇하러 헛된 명예에 이 몸을 얽어매리요.곡강이수-2두보조회 끝나고 돌아와서는 봄옷 저당 잡히고날마다 강가에서 흠뻑 취해 돌아가네.외상 술값은 가는 데마다 깔렸느니인생 칠십이 예로부터 드물다 했지.나비들은 뚫을 듯이 꽃에 파묻히고잠자리는 물을 찍으며 천천히 날아가네.아름다운 풍광도 인생처럼 흘러가는 것이 좋은 경치를 어찌 아니 즐길 건가.* 두보(杜甫, 712~770) : 당나라 시인하룻밤 비바람에 한 봄이 오가는데…제가 참 좋아하는 시입니다. 사람 관계도 그렇듯이 오는 봄보다 가는 봄이 애잔하지요. 곡강(曲江)은 장안 동남쪽 끝에 있는 연못입니다. 주변 경치가 수려하고 서남쪽에는 부용원이 있지요.아름다운 곡강은 ‘안녹산의 난’ 이후 피폐해졌고, 주인 없는 집 처마에는 물총새가 둥지를 틀었습니다. 화려하던 부용원 근처의 큰 무덤 역시 돌보는 이 없어 석상이 나뒹굴고 있습니다. 이처럼 무상한 모습을 그리면서 시인은 세상 이치를 잘 헤아려 인생을 즐기는 게 중요하지 부질없는 공명에 몸을 묶어두면 되겠느냐고 묻습니다.조회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봄옷을 저당 잡히고 외상술을 마시는 것도 난분분 떨어지는 꽃잎처럼 세상이 허망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더구나 인생 칠십을 넘기는 사람이 드무니 어찌 술로 그 슬픔을 달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말이죠. 바로 이 구절 &lsq
-
교양 기타
높은 곳에선 왜 잘못을 빌고 싶을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발왕산에 가보셨나요고두현용평 발왕산 꼭대기부챗살 같은 숲 굽어보며곤돌라를 타고 올라갔더니전망대 이층 식당 벽을여기 누구 왔다 간다, 하고빼곡히 메운 이름들 중에통 잊을 수 없는 글귀 하나.‘아빠 그동안 말 안드러서좨송해요. 아프로는 잘 드러께요’하, 녀석 어떻게 눈치챘을까.높은 자리에 오르면누구나 다잘못을 빌고 싶어진다는 걸.* 고두현(1963~) : 시인용평 숲에서 사흘을 보낸 적이 있습니다. 나무의 입김이 손끝에 닿을 때마다 감미로운 추억이 밀려왔지요. 자작나무 숲으로 가는 오솔길은 책갈피 속의 행간처럼 아늑했습니다. 낙엽송이 군락을 이룬 능선의 공기는 또 얼마나 싱그럽던지요.그곳에 머문 지 이틀째 되는 날, 뒷집 아저씨처럼 마음씨 좋게 생긴 발왕산에 올랐습니다. 정상에 도착했더니 전망대 안 식당 벽에 수백 장의 편지가 매달려 있더군요. 아무개 왔다 간다, 하는 메모부터 가족의 건강과 성공을 기원하는 문구까지 온갖 ‘말씀’들이 사방 벽을 채우고 있었습니다.그중에서도 유쾌한 감동을 준 건 초등학교 1~2학년쯤 되는 녀석의 ‘고해’였습니다.산에서는 모두가 겸손해집니다‘아빠 그동안 말 안드러서 좨송해요. 아프로는 잘 드러께요’비록 맞춤법은 틀리지만, 제게는 가장 진솔한 마음의 표현으로 다가왔습니다. 녀석은 어떻게 알았을까요. 높은 곳에 오르면 누구나 잘못을 빌고 싶어진다는 것을.산에서는 모두가 겸손해집니다. 자연의 거울에 자신을 비춰보기 때문이겠지요. 얼굴도 모르는 그 개구쟁이의 글귀가 그래서 더욱 살갑게 다가왔습니다. 그것은 찬물에 세수하고 난 뒤의 청량감처럼 산에서 얻은 뜻밖의 깨우침이었습니다.그날
-
교양 기타
저 문이 한때는 다 벽이었다는 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처음 출근하는 이에게 고두현 잊지 말라.지금 네가 열고 들어온 문이한때는 다 벽이었다는 걸.쉽게 열리는 문은쉽게 닫히는 법.들어올 땐 좁지만나갈 땐 넓은 거란다.집도 사람도 생각의 그릇만큼넓어지고 깊어지느니처음 문을 열 때의 그 떨림으로늘 네 집의 창문을 넓혀라.그리고 창가에 앉아 바라보라.세상의 모든 집에 창문이 있는 것은바깥 풍경을 내다보기보다그 빛으로 자신을 비추기 위함이니생각이 막힐 때마다창가에 앉아 고요히 사색하라.지혜와 영감은 창가에서 나온다.어느 집에 불이 켜지는지먼 하늘의 별이 어떻게 반짝이는지그 빛이 내게로 와서어떤 삶의 그림자를 만드는지시간이 날 때마다 그곳에 앉아 너를 돌아보라.그리고 세상의 창문이 되라.창가에서는 누구나 시인이 된다.오늘 시는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하는 직장 새내기들을 위해 쓴 것입니다. 오래전 『시 읽는 CEO』에 실었는데 입소문 덕분에 널리 퍼져 있군요. 지금도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등 많은 경영자가 신입사원들 앞에서 읽어준다고 합니다. 처음 출근할 때의 그 마음, 초심을 잃지 말자는 뜻으로 읽는 이도 있다고 하네요. 창의력은 창가에서 나온다지식이 많은 사람은 남보다 한발 앞서갑니다. 아는 것만큼 보이므로, 보이는 것만큼 먼저 이루지요. 그러나 지식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습니다. 예전엔 정보와 식견이 중요했지만, 그것으로는 한계가 있지요. 평면적인 조건에서 벌이는 경쟁은 상대평가에서만 유효합니다.앞으로는 지식보다 지혜가 많은 사람이 세상을 이끌 것입니다. 지혜는 지식보다 입체적이지요. 지혜로운 사람은 상대평가
-
교양 기타
가을 서리에 백발이 삼천장이라니! [고두현의 아침 시편]
추포가(秋浦歌)이백삼천 장이나 되는 흰 머리온갖 시름으로 올올이 길어졌네알 수 없어라 거울 속 저 모습어디서 늦가을 무서리 맞았는지.白髮三千丈 緣愁似箇長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 이백(李白, 701~762) : 당나라 시인.이 시는 이백의 ‘추포가(秋浦歌)’ 연작 17수 중 15수입니다.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난 그가 양쯔강 연안의 추포에 와서 지었는데 애상미의 극치를 보여주는 작품이죠.삼천장(丈)이면 10㎞나 되는데…이 시의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은 물론 과장된 표현입니다. 근심으로 허옇게 센 머리카락 길이가 3000장(약 10㎞)이나 된다고 했지만, 사실은 끝없는 고뇌와 슬픔의 길이를 은유적으로 묘사한 거죠.백발은 노년과 쇠잔함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멜라닌 부족으로 생긴 자연현상이 아니라 힘들고 어려운 일이나 그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상징하기도 하지요.누명을 쓰고 옥에 갇힌 주흥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자문(千字文)’을 다 짓고 머리가 하얗게 변해버렸다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글자가 겹치지 않게 4자씩 짝을 지은 250구(句)를 하룻밤에 완성했으니 오죽했을까요.이처럼 ‘추포가’의 거의 모든 시행에는 ‘백발(白髮)’과 ‘추상(秋霜)’의 애수가 짙게 배어 있습니다. 그는 첫수에서 이렇게 읊조리지요.“추포는 늘 가을 같아 쓸쓸함이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나그네 근심 헤아릴 길 없어 동편 큰 누대에 올라보니/ 서쪽으로 장안이 바라보이고 밑으로는 흐르는 강물이 보이네/ 강물 향해 말 붙이노니 너는 날 생각하는가/ 내 한 움큼의 눈물을 멀리 양주까지 실어가 다오.”2수에서도 “추포 원숭이들의 밤 시름에 남쪽 황산도 민둥산
-
교양 기타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다니! [고두현의 아침 시편]
대국유감(對菊有感) 1인정이 어찌하여 무정한 물건 같은지요즘엔 닥치는 일마다 불평이 늘어간다.우연히 동쪽 울 바라보니 부끄럽기만 하네.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마주하고 있다니.* 이색(李穡, 1328~1396): 고려 말 문신. 국화는 여러 꽃과 함께 피는 봄이 아니라 가을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꽃입니다. 그래서 국화를 ‘오상고절(傲霜孤節, 서릿발 날리는 혹한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이라고 하지요. 일찍부터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꼽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중국에서 유독 국화를 좋아한 사람은 도연명(陶淵明)이었죠. 북송의 주돈이(周敦)도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菊花之隱逸者也)”라며 “진나라 도연명이 국화를 사랑했는데 이후 그런 사람이 드물다”고 할 정도였고요.도연명은 한때 관직을 맡기도 했지만 “내 어찌 다섯 말의 쌀 때문에 향리의 어린 것들에게 허리를 굽히랴” 하며 벼슬을 버리고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부르면서 전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유명한 시 ‘음주(飮酒) 5’도 그때 쓴 것입니다.“사람 사는 곳에 오두막을 지었지만/ 문 앞에 수레와 말소리 들리지 않네./ 묻노니 어찌하여 그럴 수 있는가/ 마음이 멀어지면 사는 곳도 절로 외딴곳이 된다네./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멀거니 남산을 바라보네./ 산 기운은 해 저물어 아름답고/ 날던 새들 짝지어 돌아오네./ 이 가운데 참뜻이 있어/ 말하려다 말을 잊고 말았네(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
-
교양 기타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뭇가지 아래나뭇가지 아래 시집 한 권포도주 한 잔, 빵 한 덩이그리고 네가 내 옆에서 노래한다면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 오마르 하이얌(Omar Khayyam, 1047~1131): 페르시아 시인. 시집 <루바이야트>.페르시아 시인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4행시)입니다. 루바이는 페르시아 문인들이 친구들과 흥겹게 어울리며 읊조린 4행짜리 즉흥시를 말합니다.오마르 하이얌의 시집 제목이기도 한 ‘루바이야트’는 루바이의 복수형, ‘4행시 모음’을 뜻하지요. 신용카드 사업의 아버지인 디 호크가 ‘비자’를 창업할 때 이 시집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사후 700년 만에 세계적 시인으로시인의 성 하이얌은 ‘천막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의 아버지 직업과 연관이 있는 듯합니다. 오마르가 태어난 곳은 오늘날 이란의 북동부 지역. 어릴 때부터 총명했던 그는 당대 최고 철학자와 수학자, 천문학자로 이름을 날렸고 1131년 고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오마르는 생전에 시인으로서 별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죽은 지 700년 뒤인 19세기에 갑자기 세계적 스타가 됐습니다. 영국 시인 에드워드 피츠제럴드가 영어로 옮긴 시집 <루바이야트> 덕분이었지요.1859년 영국에서 발행된 이 시집은 1878년 미국에서도 출간됐습니다.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됐고, 이후 영미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죠. 오마르의 시 구절은 유명 작품의 제목이나 인용문, 관용어구 등으로 무수히 활용됐습니다.노벨문학상을 받은 미국 극작가 유진 오닐의 <아, 황야(Ah, Wilderness)>는 오마르의 시 속 “오, 황야도 충분히 천국일 수 있지”라는 구절에서 따왔죠. 오닐의 여러 희
-
교양 기타
다산은 이곳으로 좌천될 줄 어찌 알았을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금정시참(金井詩讖)정약용금정(金井)의 찬 기운 벽오동 감싸는데물 긷는 소리 끊기고 까마귀는 울며 간다.이제야 알겠네, 해 지고 별 뜨는 즈음황혼의 시각 보내기 새삼 어려운 줄.金井寒煙鎖碧梧 聲斷度啼烏偏知日沒星生際 銷得黃昏一刻殊* 정약용(丁若鏞·1762~1836) : 조선 후기 시인, 학자.다산 정약용이 1794년 8월 5일 밤 죽란(竹欄)에 앉아 쓴 시입니다. 죽란은 다산이 살았던 서울 명례방 집의 정원 이름입니다. 그는 이곳에서 문인들과 어울려 자주 시회를 가졌죠. 유명한 죽란시사(竹欄詩社)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시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추심(秋心)’이라는 제목의 5수 연작 중 두 번째로 실려 있지요. 이 시 쓴 다음 해 금정으로 좌천당해다산이 이 시를 쓸 때 곁에는 남고(南皐) 윤규범(尹奎範, 1752~1821)이 있었습니다. 그는 다산의 육촌 형으로 26세에 과거에 급제하고 시문으로 이름이 난 인물이지요. 다산과 자주 어울려 시를 지었는데, 특히 이 시를 극찬했다고 합니다.시정이 쓸쓸하고 가을날 황혼의 정치가 함께 어우러져 묘한 울림을 주는 시입니다. 다산이 이 시에 쓴 금정(金井)은 궁궐이나 정원에 있는 우물을 미화해 표현한 것이라고 하지요.그런데 다산이 이 시를 쓴 다음 해인 1795년 7월에 주문모 사건에 연루돼 좌천당해 간 곳이 바로 충청도 금정이었으니 참으로 묘한 일입니다. 이때 역참 누각 앞에 벽오동 한 그루가 서 있었다고 하니 더욱 놀랍지요.어쨌거나 금정 찰방으로 쫓겨 간 이래 다산은 황혼이 깃들 즈음이 가장 괴로웠다고 고백합니다. 세상만사가 이미 다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지요. ‘방금 뜬 초승달이 발을 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