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20세기 초ㆍ중반 휩쓸었던 민족주의 산물
"100만명의 아랍인들은 유대인 한 명의 손톱만한 가치도 없다."(이스라엘 랍비 야코프 페린,1994년) "이번 저항이 이스라엘에 의해 무력화된다면 아랍 세계는 영원히 굴욕을 면치 못하고 시온주의자들이 절대 권력을 갖게 될 것이다."(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2006년)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땅'으로 불리던 가나안 땅은 수천년이 지난 현재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곳이 돼 버렸다. 1947년 유엔이 팔레스타인 땅을 ...
-
커버스토리
유대인-아랍인 모두 아브라함의 후손인데…
유대인과 아랍인들은 언제부터 대립했을까. 이에 관한 흥미 있는 기록이 구약성경에 있다. 유대인의 조상인 아브라함은 이스마엘과 이삭이라는 두 아들을 두었다. 이스마엘이 장자였는데 그는 이집트 출신의 몸종이 낳은 서자(庶子)였다. 족장 계승 과정에서 적자(嫡子)인 이삭이 왕이 되고 이스마엘은 이집트인 어머니와 함께 쫓겨나게 된다. 바로 이 사람,이스마엘이 아랍민족의 조상이라고 여겨지는 인물이다. 현재 원수처럼 지내고 있는 유대인과 아랍인...
-
경제 기타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이탈한다는데… 경기 둔화될까 걱정 미리 손 터나?
국내 증권시장의 주요 거래 주체는 개인과 기관,외국인이다. 이 가운데 외국인들은 2000년대 들어 국내 증시를 쥐락펴락한 사실상 가장 강력한 매수세력으로 자리매김한 상태다. 이 외국인들이 지난달 이후 '팔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의 이동 혹은 출국을 뜻하는 '엑소더스(Exodus)'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들이 주요 투자회사의 지분을 줄이는 등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비중 축소 여부가 증시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
경제 기타
(5) 임종욱 대한전선 사장(上)
임종욱 대한전선 사장(59)은 학창시절 수학을 무척 싫어했다. 제대로 배울 기회가 적었던 탓인지 도무지 원리를 이해할 수가 없었다. 자신만만했던 청년 임종욱에게 수학은 거의 유일한 아킬레스건이었다. 첫 대학입시에서 수학을 망쳐 낙방의 고배를 마신 임 사장은 재수 끝에 시작한 대학생활(고려대 경영학과)에서도 통계학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다. 수리와 통계만 나오면 머리를 쥐어뜯을 정도였다. 그랬던 임 사장이 오늘날 대기업 최고경영자(CEO...
-
경제 기타
세계는 '브랜드 전쟁' 시대 … 올해 100대 브랜드 살펴보니
당신이 물건을 살 때 가장 먼저 살펴보는 것은?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예전 같았으면 가격이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많았을 것이다. 전통적인 경제학 교과서도 이왕이면 값싼 물건을 고르는 사람이 합리적 소비자라고 가르쳐왔다. 요즘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들이 브랜드를 보고 물건을 고르는 게 현실이다. 소비자들은 가격이 좀 비싸더라도 믿을 만한 브랜드면 주저없이 돈을 지불한다. 반면 아무리 가격이 싸도 미덥지 못한 브랜드에 대해...
-
경제 기타
'IMT 2000 동기식 사업'에 무슨 문제 있길래
☞ 한국경제신문 7월15일자 A1면,5일자 A12면 정보통신부 정책자문기구인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는 14일 회의를 열어 동기식 IMT-2000(3세대 영상이동통신) 허가 조건을 위반한 LG텔레콤에 대해 허가를 취소하되 남용 사장 퇴진 문제는 배려해줄 것을 요청했다. 강대영 정통부 통신전파방송정책본부장은 회의가 끝난 뒤 "LG텔레콤의 사업 허가를 취소하되 남 사장 퇴진과 관련해서는 산업 발전에 기여한 점을 들어 (장관이) 배려해야 한다고 요청...
-
과학 기타
미국 MBL이 밝혀낸 새로운 사실
▶ 1ℓ 바닷물에 2만종 이상의 미생물 있다 하나의 세포로 이뤄진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은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생명체다.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기원은 바로 이런 미생물이다. 미생물은 자연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인간의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미생물 가운데서도 해양 미생물은 생명의 기원을 연구하거나 유용한 물질을 개발하려는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 대상이 돼 왔다. 미국 해양생물학연구소(MBL) 연구진은 최근 미...
-
경제 기타
한국경제신문 경제체험 대회‥한달 熱戰 막 올라
"오늘은 한국 경제의 거물 두 분을 모시고 기업의 진정한 사회공헌에 대해 의견을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삼손씨,기업의 진정한 사회공헌은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아! 예,일자리를 창출하면 실업자가 줄어드니까 결국 사회에 공헌하는 것이잖아요." 이는 경제 관련 좌담회의 사회자 멘트가 아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지난달 22,23일 경기도 화성 청호인재개발원에서 개최한 경제체험대회 캠프에 참가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