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해외원조에 숨은 경제원리?
선진국들, 후진국에 돈 주며 시장 키운 후 물건 팔아 '포항제철(현 포스코), 경부고속도로, 서울지하철, 소양강댐, 서울대병원….'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정답은 바로 모두 '해외 원조'로 지어졌다는 것. 한국이 1945년 광복 이후 1999년까지 들여온 유·무상 차관은 모두 331억달러(우리 돈 약 32조원)에 이른다. 이 중 갚지 않아도 되는 무상 원조는 69억달러(21%)이고,나머지 262억달러는 갚아야 하는 유상 원조였다. ...
-
경제 기타
'워키노믹스'가 부상하고 있다는데… 네티즌들이 만든 백과사전 + 경제
외부지식과 자원 활용하는 '열린기업'이 큰 가치 창출 위키노믹스(wikinomics)가 부상하고 있다. 위키노믹스란 인터넷 이용자들이 스스로 만든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와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를 합성한 말이다. 위키피디아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질문하고 스스로 답변·첨삭해서 만든 백과사전이다. 하지만 수백만명의 지혜가 모아지면서 대기업이 만든 백과사전보다 훨씬 방대한 100만건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하루에만 900만건이 조회되는...
-
과학 기타
반도체의 진화 어디까지‥10나노미터 한계에 도전한다
KAIST, 8나노미터급 메모리소자 개발 반도체 업계에는 '황의 법칙(Hwang's Law)''이란 것이 있다. 이는 미국 인텔사의 창업자인 고든 무어가 주장한 '무어의 법칙'을 대체해 황창규 삼성전자 사장이 2002년 국제반도체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이론을 말한다. '무어의 법칙'은 PC 주도로 반도체의 집적도가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이론이다. 집적도가 2배라 함은 같은 크기의 반도체에 저장할 수 있는 정보량이 2배가 됨을 뜻한...
-
경제 기타
(28) 박정원 한진해운 사장
합기도·복싱으로 단련된 '바다 사나이' "이상은 높게 마음은 넓게 가져라" 박정원 한진해운 사장(62)을 만나기 전엔 선입관이 있었다. 합기도와 복싱으로 단련한 '35년 바다 사나이'란 경력 때문에 '보나마나 남성미가 물씬 풍기는 거친 남성이겠지'란 생각이 든 것이다. 하지만 실제 접해본 박 사장은 정이 넘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단정한 옷 차림에 날카로운 눈매는 단순한 '바다 사나이'가 아닌 세계적인 해운업체를 이끄는 CEO(최고경영...
-
경제 기타
자발적 실업자도 실업급여 줘야할까?
⇒한국경제신문 3월9일자 A2면 앞으로 자발적 실업자라도 실업이 1년 이상 장기화되고 구직활동과 직업훈련에 참여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노동부는 8일 충남 천안 한국기술교육대에서 이상수 노동부 장관 등 관계 부처 장관과 구직자, 비정규직 근로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7년 국민과 함께 하는 업무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구직자 및 비정규직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
-
경제 기타
제3자 배정 유상증자가 뭐지?
주주가 아닌 사람에게 자본참여 기회 주는 것 지난 3월 14일자 한국경제신문 증권면에는 최근 들어 상장 기업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는 기사가 실렸다. 유상증자란 무엇이고, 또 그 중에서도 제3자 배정 유상증자란 무엇일까. 우성 증자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기업들이 증시에 상장하는 것(기업공개)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무엇보다 주식시장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다...
-
교양 기타
(34) 에이브러엄 H. 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나눠 설명… 인본주의 심리학 효시 ◆에이브러엄 H.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1908~1970) 1908년 미국 뉴욕에서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7형제 중 맏이로 태어났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로서,이른바 '욕구 위계설'(욕구 5단계설)로 유명하다. 그의 욕구 이론은 지난 반세기 동안 인문학,사회학,경영이론 등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존재의 심리학』을 비롯,『...
-
커버스토리
속담의 경제학 · 문학의 경제학
논술 출제 가능성 높은 삶의 지혜 경제가 어렵다고? 하긴 경제학도들도 어렵다고 혀를 내두르는데 고등학생들이야 오죽할까. 하지만 경제와 친해질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삶 자체가 경제활동이고,주위 모든 일들을 파고 들어가 보면 어김없이 경제원리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일상에서 흔히 쓰는 속담을 보자. 속담이 무슨 경제학과 연관이 있느냐고? 속담이야말로 우리 선조들의 수천년 경제 지혜가 담긴 보물창고다. '열 번 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