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亡羊補牢 (망양보뢰)
▶ 한자풀이亡 : 달아날 망羊 : 양 양補 : 기울 보牢 : 우리 뢰양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일을 그르친 뒤 뉘우쳐도 소용없음 - 《전국책(戰國策)》중국 전국시대 초(楚)나라에 장신(莊辛)이라는 대신이 있었다. 하루는 초양왕(襄王)에게 사치하고 음탕해 국고를 낭비하는 신하들을 멀리하고, 왕 또한 사치한 생활을 그만두고 국사에 전념할 것을 충언했다. 그러나 왕은 오히려 욕설을 퍼붓고 장신의 말을 듣지 않았다. 장신은 결국 조(趙)나라로 갔는데, 5개월 뒤 진나라가 초나라를 침공해 양왕은 성양으로 망명하는 신세가 됐다.양왕은 그제야 비로소 장신의 말이 옳았음을 깨닫고 조나라에 사람을 보내 그를 불러들였다. 양왕이 이제 어찌해야 하는지를 묻자 장신이 답했다.“‘토끼를 보고 나서 사냥개를 불러도 늦지 않고, 양이 달아난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見兎而顧犬 未爲晩也 亡羊而補牢 未爲遲也)’고 했습니다. 옛날 탕왕과 무왕은 백 리 땅에서 나라를 일으켰고, 걸왕과 주왕은 천하가 너무 넓어 끝내 멸망했습니다. 이제 초나라가 비록 작지만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을 기우면 수천 리나 되니, 탕왕과 무왕의 백 리 땅과 견줄 바가 아닙니다.”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유향(劉向)이 전국시대 전략가들의 책략을 편집한 《전국책(戰國策)》에 나오는 고사다.여기서 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쓰였다. 실패 또는 실수를 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다는 말이다. 이처럼 원래는 부정적인 뜻보다는 긍정적인 뜻이 강했지만, 뒤로 가면서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이미 소용이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바
-
영어 이야기
UN·NATO·NASA…앞글자 모아 만든 단어죠
Multilevel analysis is necessary to understand evolving conflict mediation. Traditionally, heads of state and state representatives mediate conflict through exercising their power of authority and promising resources or other support. Distributive bargaining, or negotiating division, has predominated. Conflicts are framed as sovereignty or ethnic self-determination, for example. State-compelled mediation is still prevalent, particularly with a high-profile crisis, but increasingly complemented with more collaborative mediation initiated by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United Nations.《Encyclopedia of Governance》 중에서진화하는 갈등 중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다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국가의 책임자와 대표는 그들의 지휘권 행사와 자원의 제공 또는 다른 지원을 약속함으로써 갈등을 중재한다. 분배적 협상, 또는 협상 분배가 지금까지 지배적이었다. 갈등은 예를 들어 통치권이나 민족의 자기결정으로 표현된다. 국가에 의한 중재는 여전히 일반적이다. 특히 세간의 이목을 끄는 위기의 경우가 그러하다. 하지만 국가에 의한 중재는 점점 더 시민사회 및 국제연합과 같은 국제기구에 의해 시작되는 더 협력적인 중재에 의해 보완된다. 해설세월이 지나면서 언어는 다양한 변화를 겪습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새로운 어휘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새로운 어휘가 생성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예문에 있는 United Nations를 줄여 UN이라고 합니다. UN처럼 각 어휘의 첫 철자를 모아서 만든 어휘를 두문자어(acronym)라고 합니다. 이런 두문자어의 예로는 YMCA, NATO, UNESCO, UNICEF, NASA 등이 있습니다. YMCA는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기독교 청년회)을 의미하는 두문자어입니다. NATO는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북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수험생이 알 필요 없는 내용은 모두 지문에 설명…'알고 있어야할 것'과 '알아내야할 것'을 구별해야
정립-반정립-종합. 변증법의 논리적 구조를 일컫는 말이다. 변증법에 따라 철학적 논증을 수행한 인물로는 단연 헤겔이 거명된다. 변증법은 대등한 위상을 지니는 세 범주의 병렬이 아니라 대립적인 두 범주가 조화로운 통일을 이루어 가는 수렴적 상향성을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립-반정립-종합. 변증법의 논리적 구조를 일컫어…변증법에 따라 철학적 논증을 수행글을 잘 읽고 싶다는 사람이 많다. 이들의 대부분은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아는 것이 많으면 글이 쉽게 읽힌다. 글을 잘 읽는다는 철수 샘에게 인터넷 게임 관련 글은 어렵다고 했다. 그에 대한 지식이 없으니 글 내용이 무슨 뜻인지 모르거나 아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런 의미에서 철수 샘의 이 글은 지식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이제부터라도 독서로 지식을 넓히려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이 말에 글 읽기 방법이 숨어 있다. 바로 ‘알고 있어야’ 할 것과 ‘알아내야’ 할 것을 구별하며 읽는 것이다.대학수학능력 국어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수준에서 알 필요가 없는 것은 모두 설명해야 한다는 원칙이 있다. 예컨대 ‘정립’, ‘반정립’, ‘종합’, ‘변증법’은 고3 학생이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 아니다. 물론 철수 샘은 이 개념들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으나, 출제할 때는 고3 학생을 위해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즉 이 개념들을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라 ‘알아내면’ 풀 수 있는 문제를 내는 것이다. 실제로 이 글을 읽어 보라. 그 개념들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을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2023학년도 수리논술…기초부터 다져야
고1 수학과 고2에서 배운 수학Ⅰ, 수학Ⅱ를 다시 복습하고 주요 개념을 유도 과정까지 확실하게 이해하는 것이 수리논술 기초의 시작이다. 특히 절댓값 함수의 그래프, 수학적 귀납법의 증명, 명제의 참 거짓 판별 등의 개념들은 수리논술의 주요 빈출 주제이므로 고3 과정을 학습하기 전 단계에서의 지난 과정에 대한 복습이 꼭 필요하다. 포인트수리논술을 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에서 단연 <미적분>에 대한 개념 이해와 연습이 중요하다.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상황 묘사의 상징적 의미는?
구겨진 하늘은 묵은 얘기책을 편 듯돌담 울이 고성같이 둘러싼 산기슭박쥐 나래 밑에 황혼이 묻혀 오면초가 집집마다 호롱불이 켜지고고향을 그린 묵화(墨) 한 폭 좀이 쳐.띄엄 띄엄 보이는 그림 조각은앞밭에 보리밭에 말매나물 캐러 간가시내는 가시내와 종달새 소리에 반해빈 바구니 차고 오긴 너무도 부끄러워술레짠 두 뺨 위에 모매꽃이 피었고.그넷줄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더니앞내강에 씨레나무 밀려 나리면젊은이는 젊은이와 뗏목을 타고돈 벌러 항구로 흘러간 몇 달에서릿발 잎 져도 못 오면 바람이 분다.피로 가꾼 이삭이 참새로 날아가고곰처럼 어린 놈이 북극을 꿈꾸는데늙은이는 늙은이와 싸우는 입김도벽에 서려 성에 끼는 한겨울 밤은동리(洞里)의 밀고자인 강물조차 얼붙는다.- 이육사, 초가 -보리밭에 말매나물 캐러 간 … 종달새 소리… 비가 오면 … 서릿발 잎 져도 … 이삭이 참새로 날아가고 … 성에 끼는 한겨울 … 강물조차 얼붙는다.계절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전개하는 경우가 많다. 세상이 시간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기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상 일을 기술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문제는 문학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주로 계절과 관련한 사물을 소재로 삼아 계절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흔히 쓴다.이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봄과 관련한 소재로 제시된 것은 ‘보리밭’, ‘(밀매)나물 캐’는 것, ‘종달새’ 등이다. 가을에 씨를 뿌리면 보리는 이듬해 봄에 파릇해지고, 초여름에 거둔다. 종달새는 텃새이므로 특정 계절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번식기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名不虛傳 (명불허전)
▶ 한자풀이名 : 이름 명 不 : 아닐 불 虛 : 빌 허 傳 : 전할 전이름은 헛되이 전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이름이 알려진 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음 - 《사기(史記)》중국 전국시대에 이른바 ‘전국사공자(戰國四公子)’가 있었다. 제나라 맹상군, 조나라 평원군, 위나라 신릉군, 초나라 춘신군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은 모두 식객 3000여 명을 거느리고, 인재를 초빙해 우대하고, 의리를 중시한 인물들이다.이 중 맹상군(孟嘗君) 전문(田文)은 제(齊)의 왕족으로 진(秦), 제(齊), 위(魏)의 재상을 역임한 실력자였다. 식객(食客)을 대등하고 진솔하게 대우해 다양한 재주를 지닌 사람들이 그의 영지(領地)로 모여들었다. 《사기(史記)》에는 맹상군이 식객들을 얼마나 잘 대우했는지를 보여주는 다양한 일화들이 기록되어 있다.그는 손님을 접대할 때에는 병풍 뒤에 늘 보좌하는 이를 두었고, 손님에게 거처하는 곳이나 친척 등에 관해 묻는 내용을 기록하게 했다. 그리고 손님이 떠나면 사람을 보내 집안 형편을 살펴 그 친척들에게 선물 등을 보내주었다. 어느 날은 맹상군이 밤에 손님들과 함께 밥을 먹는데, 한 손님이 맹상군만 좋은 음식을 먹는다고 오해하여 떠나려 했다. 그러자 맹상군이 스스로 밥상을 가져와 비교하니 손님이 부끄러워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이 일로 수많은 재주를 지닌 사람들이 맹상군에게 더욱 몰려들었고, 맹상군은 손님을 가리지 않고 잘 대우해 사람마다 모두 맹상군이 자기와 친하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그가 진(秦) 소왕(昭王)의 초빙을 받아 재상이 되었다가 모함을 받아 진을 탈출하는 과정에서 유래한 계명구도(鷄鳴狗盜)의 고사(古事)처럼, 그에게는 도둑질을 잘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요소수·휘발유 미터법 단위는 '리터', L또는 l이 바른 표현…ℓ은 쓰지 말아야
전국의 디젤차량 운행을 ‘멈춤’ 직전까지 몰고 갔던 요소수 공급난이 고비를 넘긴 분위기다. 우리말에서 ‘요소수’가 부각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대략 2010년 전후로 친환경 기술이 강조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국어사전에는 아직 오르지 못했지만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국립국어원)에 등재돼 단어로서의 ‘자격’을 살펴보는 단계다. 단위기호는 국제 공용…필기체 ℓ은 잘못지난 11월 갑자기 불거진 ‘요소수 사태’는 우리말에서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용법 하나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단위기호의 표기 방식’이 그것이다. ‘디젤차 요소수 호주서 2만ℓ 긴급수입.’ ‘정부, 호주서 요소수 2만L 수입…군수송기 투입.’ 비슷한 시기에 휘발유 가격도 고공행진을 했다. ‘휘발유 평균 가격 ℓ당 1800원 돌파.’ ‘리터(L)당 1800원대로 치솟은 휘발유 가격.’요소수와 휘발유에 적용된 L은 리터를 표시하는 기호다. 미터법에 따른 부피 단위를 나타낸다. 리터와 함께 미터, 킬로그램, 제곱미터 등이 일상에서 비교적 자주 쓰는 단위다. 각각 길이, 무게, 넓이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기호로는 m, kg, ㎡다. 문자에 비해 간결하면서도 도드라져 눈에 잘 띈다. 무엇보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식 기호라는 게 기표(시니피앙)로서의 장점이다.언론 보도를 유심히 보면 리터는 대부분 L을 쓰는데, 일부에서 ℓ을 쓴 게 눈에 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단위기호도 철자법과 같아서 국제적으로 약속된 기호를 써야 한다. 리터의 경우 대문자 정자체인 L(또는 소문자 l)을 쓰도록 돼 있다.
-
영어 이야기
appear, arrive, fall은 자동사…수동태로 못 써
Assimilation occupies an ambiguous place in democratic thought, one that has shifted greatly over the course of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earlier part of the century, assimilation was the crowning concept in social thought about race and ethnicity. It emerged most prominently in the study of ethnic groups arising from immigration, which was assumed to be a movement from less to more developed societies. Assimilation was seen then as a form of liberation from the confines of an ascriptively assigned ethnic group, thus opening up to the individual the wider possibilities of the mainstream society. At the close of the century, by contrast, the role of assimilation has generally been demeaned as a form of compulsion.《Encyclopedia of Democratic Thought》 중에서동화는 민주적 사고에서 중의적인 위치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20세기 동안 많이 변화했다. 20세기 초기에 동화는 인종과 민족성에 관한 사회 사상에서 최고의 개념이었다. 그것은 이주로부터 생겨나게 된 민족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현저히 드러났는데, 이주는 덜 발전된 사회에서 더 발전된 사회로의 이동으로 여겨졌다. 동화는 귀속된 민족 범위로부터의 해방된 형태, 그래서 주류 사회로의 더 큰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반면, 20세기 후반에 동화의 역할은 강요의 형태로 그 위신이 일반적으로 떨어졌다. 해설한국인이 영어를 구사할 때 가장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는 수동태를 과도하게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수동태로 사용될 수 없는 자동사를 수동의 형태로 사용하는 오류를 많이 범합니다. 본문에 있는 문장 “It emerged most prominently in the study of ethnic groups arising from immigration”에서 ‘emerge’는 자동사로 ‘나오다, 드러나다, 부각되다’ 등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