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신년 '일출'과 새해 '해돋이'
신축년 새해가 열렸다. 예전에 음력을 쓰던 시절에는 한 해의 첫째 달을 ‘정월(正月)’이라고 했다. 거기서 ‘정초(正初)’라는 말이 나왔다. 정초란 정월 초하룻날, 즉 그해의 맨 처음을 뜻한다. 또는 정월 초승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을 가리키는 말이다. 보통은 이런 뜻으로 정초를 많이 쓴다. 이중과세하는 우리 풍습…‘해맞이’도 두 번‘초승’은 그달의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을 뜻하는 말이다. 한자어 초생(初生)에서 음이 변해 완전히 우리말로 정착한 단어다. 예전에 초생달이라고 하던 말이 현행 표준어 규정에서는 ‘초승달’로 바뀐 것도 그런 까닭이다.‘원단(元旦)’이란 말도 많이 쓴다. ‘으뜸 원, 아침 단’ 자로 새해 아침을 뜻한다. 한자 단(旦)은 대지 위로 해가 막 올라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동이 트다’라는 뜻을 지녔다. 모두 음력을 쓰던 시절 얘기다. 양력 1월 1일에 이어 명절로 쇠는 음력 1월 1일(설)까지 정초를 두 번 치르는 우리 풍습에서는 자연스레 한 달여를 정초로 보내는 셈이다. 기분상 그렇다는 얘기다. 이즈음에도 정초니 원단이니 하면서 한 해의 출발을 다짐하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새해 첫 업무를 시작하는 날에 맞춰 기업 등 직장에서는 시무식을 연다. 정당 등 단체나 기구에서는 단배식을 한다. ‘단배식(團拜式)’은 우리말에서 좀 독특한 위치에 있는 말이다. 일상에서는 거의 쓸 일이 없고, 연중 정초에만 쓰인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 널리 알려진 데 비해 국어사전에는 비교적 늦게 표제어로 오른 말이기도 하다. 유난히 이 말은 사회 공공단체, 특히 정당 등 정치권
-
학습 길잡이 기타
쓰임 폭 넓어지는 중성 대명사 'They'
The four sisters knitted quietly as the December snow fell outside. It was a comfortable room, even though the furniture was old. Christmas flowers bloomed by the windows. Margaret, the oldest of the four, was sixteen, and very pretty. She had large eyes, soft brown hair, and white hands, of which she was proud. Fifteen-year-old Josephine was very tall, thin, and brown. She reminded people of a young horse, and her sharp, gray eyes seemed to see everything. Her long, thick hair was her one beauty. Elizabeth was a rosy, bright-eyed girl of thirteen. She was shy, timid, and peaceful. She seemed to live in a happy world of her own and only spoke to people she loved and trusted. Amy has blue eyes and golden hair curled around her shoulders. Though the youngest, she felt she was very important and she looked down at people.-루이자 메이 올코트 <작은 아씨들>-밖에 12월의 눈이 내리는 동안 네 자매는 조용하게 뜨개질을 했다. 비록 가구들은 낡았지만 그것은 안락한 방이었다. 크리스마스 꽃이 창가에 피었다. 네 자매 중 장녀인 마거릿은 열여섯 살이고 아주 예뻤다. 메그는 눈이 커다랗고 머리카락은 연한 갈색이었으며 손은 새하얗는데, 그녀는 하얀 손을 자랑스러워했다.열다섯 살의 조세핀은 키가 아주 크고, 마르고, 피부는 구릿빛이었다. 조는 사람들에게 망아지를 연상시켰으며 그녀의 예리한 회색 눈은 모든 것을 알아보는 듯했다. 조의 길고 굵은 머리카락은 조가 가진 단 하나뿐인 아름다움이었다. 엘리자베스는 장밋빛 피부에 초롱초롱한 눈을 가진 열세 살 소녀다. 베스는 수줍음이 많고 소심하고 평온했다. 베스는 자신만의 행복한 세상에 살고 있는 것 같았고 자기가 사랑하고 자기가 믿는 사람들하고만 이야기했다. 에이미는 눈이 파랗고 금발 머리카락이 어깨 주변에 넘실거렸다. 에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龍頭蛇尾(용두사미)
▶ 한자풀이龍: 용 용頭: 머리 두蛇: 뱀 사尾: 꼬리 미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시작은 거창하나 끝이 초라함을 이름-<벽암록(碧巖錄)옛날 중국의 용흥사라는 절에 진존숙이라는 명승이 있었다. 진존숙은 부처님께 기도를 올리고 나면 지푸라기로 짚신을 삼았다. 그는 짚신을 한 켤레씩 짝을 맞춰 산길의 나뭇가지에 매달아 두었다. 지나가던 사람이 궁금해서 물었다. “스님, 왜 짚신을 만들어 매달아두시는지요?” 스님이 답했다. “먼 길을 가다 보면 짚신이 낡아 발이 불편한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그들의 발을 편하게 하고자 함이지요.”어느 날 용흥사에 낯선 스님이 찾아왔다. 진존숙은 그와 선문답을 하게 되었는데, 첫마디를 건네자마자 다짜고짜 소리를 질렀다. 진존숙은 속으로 ‘도가 깊은 스님이신가’하고 다시 말을 건네니, 또다시 버럭 역정을 냈다. 진존숙이 그에게 말했다. “겉보기에는 용의 머리를 닮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뱀의 꼬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자 스님은 얼굴을 붉히며 슬그머니 자리를 피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사람들은 용두사미(龍頭蛇尾)라며 그 스님을 비웃었다. 송나라 때 불교 서적 <벽암록(碧巖錄)>에 나오는 얘기다.용두사미(龍頭蛇尾)는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시작은 거창하지만 끝이 보잘것없고 초라함을 일컫는다. 흔히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마무리다. <시경>에는 ‘백 리 길을 가는 자는 구십 리를 절반으로 친다(行百里者半九十)’는 말이 있다. 천하통일을 앞둔 진왕(후에 진시황)이 자만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자 구순의 어느 노인이 찾아와 진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코로나19와 전염병, 그리고 돌림병
세밑이다. 코로나19와의 싸움 속에 지새우던 한 해가 저물어간다. ‘올해의 말’은 누가 꼽아도 코로나19가 될 것 같다. 말글 관점에서 코로나19는 신조어이면서 약칭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월 11일 이 전염병의 공식 명칭을 ‘Coronavirus disease-2019’로, 약칭을 ‘COVID-19’로 발표했다. 코로나19, 한·중·일 적는 방식 달라그것을 우리 정부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라 하고, 줄여서 ‘코로나19’로 부르도록 정했다. 같은 한자어권이면서도 중국과 일본은 좀 다른 방식으로 표기한다.중국에서는 ‘新型冠狀病毒肺炎(신형관상병독폐렴)’이라 부르고, 약칭을 ‘新冠肺炎(신관폐렴)’이라고 한다. ‘관상(冠狀)’은 왕관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붙인 코로나의 의역(意譯)이다. ‘병독(病毒)’은 말 그대로 병을 일으키는 독기라는 뜻으로 바이러스를 의역한 것이다. 거기에다 이 질병이 폐렴의 변종임을 알 수 있게 ‘폐렴’을 붙였다. 뜻글자인 한자의 장점을 살려 이름을 지었다. 언론에서는 이를 더 줄여 ‘新冠疫(신관역)’으로 쓰기도 한다.일본에서는 ‘新型コロナウイルス’로 쓴다. 한자와 가타카나를 사용해 옮겼다. 발음은 [고로나우이루스]쯤 된다. 바이러스를 [우이루스]라고 부르는 것은 라틴어 어원인 virus의 발음에서 따온 듯하다. 일본어 자모체계는 단순해 실제 발음을 온전히 옮기는 게 불가능하다. 가령 맥도날드 햄버거는 [마쿠도나루도 한바가](マクドナルド ハンバガ) 정도로만 옮길 수 있다.중국 한자나 일본 가나에 비해 우리 한글은 웬만한 로마자는 실제 발음과 비슷하게 얼마든지
-
학습 길잡이 기타
ling·let·kin은 '작다'는 의미의 '지소형 접속사'죠
The poor duckling was so sad that he hid himself by the riverbank all through the summer. One day he watched some beautiful swans fly past him. “I wish I were as magnificent as a swan” he sighed. That winter it began to snow. The duckling was cold and all alone. Soon a kind farmer found him and decided to take him home and look after him. When the spring came, the farmer took the duckling back to the river. He looked at his reflection in the lake. what did he see? “I'm not an ugly duckling any more. I'm a beautiful swan!” he cheered. “Look at that swan!” said the children in the town. “He's the finest of them all” The swan had never been so happy in all his time.안데르센 <미운 오리 새끼>불쌍한 새끼오리는 매우 슬퍼서 여름 내내 강둑에 숨었습니다. 어느 날 새끼오리는 자신을 지나 날아가는 아름다운 백조들을 보았습니다. “나도 백조처럼 멋있으면 좋을 텐데.” 그해 겨울, 눈이 오기 시작했습니다. 새끼오리는 홀로 추위에 떨었습니다. 곧 친절한 농부가 오리를 발견하고 집에 데려다가 돌보기로 결심했습니다. 봄이 왔을 때 농부는 오리를 강으로 데려다 주었습니다. 새끼오리는 호수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아니, 그가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나는 더 이상 못생긴 오리가 아니야. 나는 아름다운 백조야!” 새끼오리는 환호했습니다. “저 백조 좀 봐!” 마을 아이들이 말했습니다. “저 백조가 제일 멋있어.” 백조에게는 자신의 삶 중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습니다. Words & Phrases우리나라 제목 [미운 오리 새끼]의 원제는 [The Ugly Duckling]입니다. 여기서 Duckling은 ‘새끼 오리’를 뜻하는 단어랍니다. 이처럼 영어에는 ‘지소형 접미사’라는 것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개념에도 가족처럼 부모·자식·형제자매가 있어요
주기억장치는 ‘워드(word)’ 단위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캐시 기억장치는 ‘블록(block)’ 단위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워드는 비트(bit)*의 집합이고 블록은 연속된 워드 여러 개의 묶음을 말한다. 주기억장치의 데이터가 캐시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장소를 ‘라인(line)’이라고 한다. 캐시 기억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라인에 하나의 블록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에서 캐시 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캐시 기억장치의 용량은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의 블록 중에서 일부만 캐시 기억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싱을 위해서는 주기억장치의 여러 블록이 캐시 기억장치의 하나의 라인을 공유하여 사용해야 한다.예를 들어 어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의 데이터 용량을 워드 2n개, 캐시 기억장치의 데이터 용량을 워드 M개라고 가정해 보자. 이때 주기억장치의 블록 한 개가 K개의 워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이 주기억장치의 총 블록 개수는 2n/K개가 되며 각 워드는 n비트의 주소로 지정된다. 그리고 캐시 기억장치의 각 라인은 K개의 워드로 채워지므로 캐시 기억장치에는 총 M/K개의 라인이 만들어진다.*비트: 컴퓨터에서 정보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2진수의 0 또는 1이 하나의 비트.<2020학년도 9월 교육청 전국연합평가> ‘워드(word)’ 단위로…‘블록(block)’ 단위로…워드는 비트(bit)의 집합…블록은…워드…의 묶음‘A 단위로 B’라는 어구에서 A는 B라는 개념을 구분하는 말이다. 사람들을 동민, 구민, 시민 등으로 구분하듯이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不惑(불혹)
▶ 한자풀이不: 아니 불惑: 미혹할 혹마음이 흐려져 갈팡질팡하지 않음 나이 마흔을 이르는 말-<논어><논어> 위정편에는 공자가 자신의 학문 수양 과정을 회고하는 대목이 나온다. 내용은 이렇다. “나는 15세가 되어 학문에 뜻을 두었고(吾十有五而志于學), 30세에 학문의 기초를 확립했다(三十而立). 40세가 되어서는 미혹하지 않았고(四十而不惑), 50세에는 하늘의 명을 알았다(五十而知天命). 60세에는 남의 말을 순순히 받아들였고(六十而耳順), 70세에 이르러서는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법도를 어기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리는 공자의 배움이 나이가 들수록 어떻게 익어갔는지를 보여주는 내용이다. 공자가 말하는 배움(學)은 단지 지식의 습득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의 배움에는 그 배움을 몸소 실천하는 행(行)이 함께 담겨 있다. 진정한 학문은 지행합일(知行合一)인 것이다.공자가 나이 마흔에 이르러 몸소 체득했다는 불혹(不惑)은 세상일에 현혹되어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스스로 판단하고 스스로 자신의 길을 가게 됐다는 의미다. 공자의 이 말에 따라 15세를 지학(志學), 30세를 이립(而立), 40세를 불혹(不惑), 50세를 지천명(知天命), 60세를 이순(耳順), 70세를 종심(從心)이라고도 부른다. 이 외에 약관(弱冠)은 남자 나이 20세를, 방년(芳年)은 꽃다운 나이로 여자 나이 20세 안팎을 뜻한다. 고희(古稀)는 70세, 산수(傘壽)는 팔순(八旬), 즉 80세를 이르는 말이며 졸수(卒壽)는 구순(九旬), 즉 90세를 이르는 말이다. 망백(望百)은 백세(百歲)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91세의 별칭이다. 상수(上壽)는 하늘이 내려준 나이, 100세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곱게 빤 밀가루"가 틀린 까닭
올해 치러진 수능국어 13번 문항은 난도 자체가 그리 높은 문제는 아니었다. 다만 우리말 용언의 활용법을 전반적으로 꿰고 있지 않으면 답을 찾기 힘든 문제였다. 그만큼 까다로운 활용 예들이 제시됐다. 교착어인 우리말은 어미 활용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잘 구사해야 매끄러운 문장이 나온다. ‘빻다’는 규칙동사…활용 시 어간형태 유지해보기의 예시문 ‘ⓒ갈은(→간) 마늘’은 ‘ㄹ’탈락 용언의 활용 오류를 바로잡은 것이다. 글쓰기에서 흔히 저지르는 오류다. 기본형 ‘갈다’가 ‘갈고, 갈면, 갈지’ 식으로 활용하다가 유독 어미 ‘-네, -세, -오, -ㅂ니다, -ㄹ수록/-ㄹ뿐더러’ 앞에서 ‘ㄹ’ 받침이 탈락한다(한글맞춤법 제18항). 이걸 따로 외울 필요는 없고 그냥 말로 해보면 누구나 알 수 있다.다만, 관형어미 ‘-ㄴ’이 올 때는 조심해야 한다. ‘갈은→간’을 비롯해 ‘녹슬은→녹슨/거치른→거친/피로에 절은→전/하늘을 날으는→나는/찌들은 삶→찌든/시들은 꽃잎→시든/검게 그을은→그은/떡을 썰은 뒤→썬’으로 활용한다. 무심코 화살표 앞처럼 적기 쉽지만 뒷말이 바른 표기다. 답지의 ‘③살-+-니 → 사니’ 역시 기본형 ‘살다’가 ‘사니’로 활용한 사례이므로 같은 유형이다.‘ㄹ’탈락 현상은 어간 끝 받침이 ‘ㄹ’인 용언은 예외없이 모두 적용된다. 그래서 이를 ‘불규칙’ 현상과 구별해 ‘탈락’이라고 부른다. 한글맞춤법상 용언의 활용에서 탈락 현상으로 분류되는 것은 이 외에 지난 호에서 살핀 ‘으’탈락이 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