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보이는 善, 숨겨진 惡
다산칼럼 < 조동근 명지대 사회과학대학장 · 경제학 > ->한국경제신문 1월11일자 A39면 자연현상을 지배하는 자연법칙이 있듯이 경제에도 체제에 관계없이 공히 적용되는 철칙(iron law)이 있다. 그것은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것이다. 세상에 공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라는 인기영합적 포퓰리즘 정책은 주술(呪術)이 아닐 수 없다. 그 같은 혜택을...
-
(1) 시사경제·논술 - 경제특강
방학을 맞아 생글 친구들은 하루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아마도 알찬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호부터 세 차례에 걸쳐 여러분에게 생글생글i(www.sgsgi.com)의 동영상 강좌를 상세히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방학 동안 틈틈이 생글생글i의 다양한 강좌를 듣다 보면 실생활과 밀접한 시사경제 및 논술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글생글이 갖고 있는 장점을 생글생글i 회원 모두가...
-
학습 길잡이 기타
13. 단어의 변신 : ㄷ불규칙 … 체중은 불지 않는다
'집중호우로 강물이 갑자기 불자 야영객들은…''체중이 불면…''짐을 트럭에 실고 가다가…' 이런 표현에는 공통적으로 틀린 글자가 있다. '불자,불면,실고'가 틀린 표기인데 '붇자,불으면,싣고'라고 써야 맞는다. 이처럼 불규칙적으로 어간의 받침 ㄷ이 바뀌는 것을 'ㄷ불규칙'이라 한다. 우선 동사 '붇다(增)'는 활용할 때 '붇고,불어'식으로 바뀐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모음어미가 오면 어간이 '불-'로 바뀌고(불어),자음어미에서는 ...
-
33. 사서
미국 시사주간지 'US뉴스& 월드리포트'지는 최근 '2007년 유망 직종' 리스트를 발표하면서 사서란 직업을 상위에 올려놓았다. 이 잡지는 해당 직종의 급여,사회적 지위와 함께 수련기간,내부 경쟁,삶의 질까지 감안하고 여기에 최근 경제흐름과 직업 트렌드 등을 고려해 25개 유망 직종을 선정했다. 사서가 그 가운데 하나로 꼽힌 것이다. 이 잡지는 사서에 대해 "디지털시대의 정보 홍수 속에서 갈수록 중요해질 '정보 나침반' 역할을 하고...
-
학습 길잡이 기타
'양탕국'을 아시나요
구한말 열강의 각축 속에 명성황후가 살해되자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과 세자는 1896년 왕궁을 떠나 러시아 공관으로 거처를 옮긴다. 바로 아관파천(俄館播遷)이다. 이곳에서 고종은 거무스름한 색깔의 쌉싸래하면서도 향긋한 맛을 내는 음료를 접하곤 곧 이 맛에 익숙해진다. 그는 환궁한 뒤에도 그 맛을 잊지 못해 덕수궁에 대신들을 불러 모아 함께 즐기곤 했다고 한다. 이상한 국처럼 생긴 이 음료가 처음 전해진 당시에는 이를 '가배'라고 불렀다...
-
경제 기타
민간아파트 분양원가 9월부터 공개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오는 9월부터 수도권과 지방 투기과열지구의 민간아파트 분양원가를 공개해 분양가를 지금보다 20% 정도 낮추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또 투기적 수요를 차단하기 위해 민간아파트에도 전매제한 제도를 적용하고,25.7평이 넘는 중대형 민간아파트에 대해서는 채권입찰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채권매입 상한액도 주변시세의 90%에서 80%로 낮아진다. 당·정은 11일 국회에서 고위 당·정 협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확정했다...
-
(2) 어떤 작품이 왔나
'세상의 상식에 끝없이 도전하는 초현실주의 거장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을 감상하며 상상의 날개를 마음껏 펼쳐보세요.' 새해 들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르네 마그리트 작품전(4월1일까지)'이 덕수궁 옆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6개 전시실,10개 섹션으로 나눠진 전시장을 따라 '보물섬''신뢰''심금''광활한 바다' 등 마그리트의 시기별 대표작을 보며 그의 생애와 미술사적 의미까지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자리다. 특히 ...
-
진학 길잡이 기타
건국대 2006학년도 정시 논술문제 및 해설
*건국대 논술은 제시문이 짧아 2006학년도 정시 및 2007학년도 수시 논제와 해설을 함께 게재합니다. [논제] 아래 두 지문에 제시된 삶의 방식을 견주어 분석하고 그 의의 또는 문제점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가) 무릇 사대부 집안의 법도는 벼슬길에 높이 올라 권세를 날릴 때에는 빨리 산비탈에 셋집을 내어 살면서 처사(處士)로서의 본색을 잃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만약 벼슬길이 끊어지면 빨리 서울 가까이 살면서 문화(文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