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18. 막스 베버「직업으로서의 학문」

    “학문은 열정과 영감으로 맞서야 하는 늙은 악마다” 가끔 어떠한 단어에 일상의 용례에서는 감지하지 못하는 뜻밖의 의미가 누적되어 있음을 새삼 발견하고 놀라는 일이 있다. 직업이라는 단어가 그러하다. 직업은 직(職)과 업(業)이라는 한자로 이루어져 있는데,종사하는 일의 종류를 드러내는 직(職)이라는 글자야 그렇다 치고,업(業)이라는 글자를 유심히 들여다 보면 기묘한 느낌이 든다. 동아시아에서 불교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카르마(karma)'...

  • 학습 길잡이 기타

    경희대학교 2009학년도 수시 2-1학기 논술(인문계) 풀이 (下)

    “집단 속 개인은 무임승차 성향을 지닌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 II>에 답하시오. 가 독일의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했다. 참가자 수에 따라 1인당 발휘하는 힘의 정도를 측정했는데 1 대 1 게임에서 1명이 발휘하는 힘을 100이라고 할 때 2명일 경우 93,3명일 경우 85,8명일 경우는 49,즉 혼자 경기할 때에 비해 절반밖에 발휘하지 않았다. 참가하...

  • 경제 기타

    "밤 10시 이후 학원금지" 생글기자들 생각은…

    “학생들의 건강 해치는 학원 심야교습은 막아야” 찬 지난 4일 '학원 교습 밤 10시 이후 금지안'이 연기되었다. 일각에서 실효성이 낮고 불법 과외를 조장한다며 이 방안에 반대했다. 그러나 학생들의 건강과 효율적 학습을 위해 반드시 밤 10시 이후 학원 교습을 금지해야 한다. 청소년의 건강이 학원 심야 교습으로 위협받고 있다. 학원 수업이 10시에 끝나면 학생이 귀가해서 몸을 씻고 다음날 학교 준비를 하느라고 11시가 넘어야 잠자리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살아남을 말,사라질 말 - '굴뚝산업' 對 '신종 플루'

    # "굴뚝산업이란 표현을 쓰지 말아주세요." 2000년 4월. 당시는 벤처 열풍이 한창 불던 때였다.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펴 온 정보기술(IT)산업 육성책에 힘입어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벤처기업이 태어날 정도로 모든 게 '벤처'로 통했다. 그러던 어느날 신문 방송 등 언론사 앞으로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명의의 협조문 한 통이 날아들었다. '기계 산업인 일동'이란 이름으로 보내 온 협조문의 요지는 한마디로 '...

  • 학습 길잡이 기타

    92. 슴슴하다

    남한에 없는 말 '슴슴하다' "북한 사찰 음식은 특히 양념이 단순해요. 추운 지방이라 소금과 고춧가루를 적게 넣어 슴슴한 맛이 일품이죠." 40년 가까이 사찰 음식을 연구하고 세상에 알려 온 정산 스님이 최근 저서 '북한 사찰 음식'을 펴내면서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그의 얘기 가운데 '슴슴한 맛'이 어떤 맛인지 낯설어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지금 남한에서는 '슴슴하다'란 말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 정확히...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⑪

    아르키메데스의 실진법 「인하대 수시 논술문제 中」

  • 도전! '경제 퀴즈배틀' … 경제 퀴즈왕 “나요 나”

    25일부터 온라인 예선… 테샛 출제 등 문제 수준 '업그레이드' 온라인 예선과 오프라인 결선을 통해 경제 퀴즈왕을 선발하는 '제3회 경제퀴즈 배틀'이 이달 25일부터 신청을 받아 온라인 예선에 들어간다. 한국경제신문과 스테파온라인이 각각 주최·주관 하고 교보생명등이 협찬하는 '경제퀴즈 배틀'은 부문별 예선 통과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결을 벌여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자가 퀴즈왕을 차지하는 서바이벌 형식의 '경제 골든벨' 프로그램이다. 지난 2...

  • 학습 길잡이 기타

    31. 윤흥길「제식훈련 변천약사」

    인간을 길들이는 감시 사회 ⊙ 통제사회에 대한 성찰 소설가 윤흥길은 국어 교과서에 실린 「장마」로 아주 잘 알려진 작가이다. 분단과 이산의 민족적 상처를 '구렁이'라는 주술적 상징물을 통해 극복했던 이 작품은 이데올로기의 차이에서 비롯된 비극을 가족애와 민족애로 치유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만들어 주었다. 윤흥길의 작품은 「장마」와 같이 이산과 분단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그는 「아홉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와 같은 연작을 통해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