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청소년 사망 원인 2위 자살…예방 교육 절실

    통계청 조사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의 사망원인 중 자살은 10~19세에서 2위(10만명당 3.5명)를 차지한다. 자살률은 성인기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청소년기가 자살 시도율이 가장 높다고 한다. 한창 꽃다운 나이의 청소년들의 생명이 스러지는 것이다. 파릇한 생명력의 상징인 10대들이 어린 나이에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게 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한국심리학회지의 상담 및 심리치료에 관한 논문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

  • 학습 길잡이 기타

    미완의 이름 '신종 플루'

    "닭고기나 돼지고기 소비 급감을 막기 위해 조류독감과 돼지독감을 각각 우리나라에서만 AI,SI로 줄여 쓰고 있습니다." 지난달 말 지금은 '신종 플루'로 통용되는 '돼지 인플루엔자(SI)'가 전 세계적으로 한창 퍼져나갈 때 한국의 전병률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장이 한 말이다. 그의 얘기는 우리 사회의 언어 현실 하나를 무심코 전하고 있지만 사실 그 말 속엔 언어학적으로 '약어'에 관한 중요한 이론 하나가 담겨 있다. 약어가 어휘화하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93. 식혜와 식해

    남에선 '가자미식해', 북에선 '가자미식혜' 우리나라 사람치고 식혜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1993년 한 업체에서 인스턴트 음료로 대중화해 큰 인기를 누리기도 한 식혜는 누구나 좋아하는 전통음료 중 하나다. 그런데 어떤 식당에 가보면 '가자미식혜'라 써 붙인 곳이 있다. 아니,식혜에 가자미를 넣어 만들었나? 그걸 어떻게 먹으라고…. 하지만 실제로 나온 걸 보면 우리가 아는 식혜와는 전혀 거리가 먼,마치 생선젓 같은 반찬이다. 사...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⑫

    이차곡선과 극좌표 「중앙대 논술문제 中」

  • 지난대회 우수답안 맛보기 (上) - 기출문제 직접 풀어보고 大賞답안과 비교해보자!

    생글논술경시대회가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대회 역시 여느 대회와 마찬가지로 전국의 많은 논술고수들이 접수를 마쳤다. 접수한 학생들 모두 열심히 준비하고 있을 것이다. 경시대회를 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난 대회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이고,두 번째는 지난 대회 우수답안을 읽어보는 것이다. 기출 문제는 생글생글 사이트( www.sgsgi.com )에서 모두 제공하고 있다. 로그인 후→생글논술경시대회→지난 대회 보기→회차선택 순...

  • 학습 길잡이 기타

    32. 오정희「옛 우물」

    잊혀진 여성, 정체성을 찾는 길 ⊙ 젠더 정체성의 이해 현재 한국 사회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여권이 신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규 임용되는 여성 검사의 비율이 갈수록 오르는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은 성공 신화를 써 나가고 있다. 그러나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08년 글로벌 성(性)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조사 대상 130개국 가운데 108위를 차지했을 만큼 성적 불균형이 심각하다. 세계적으로 보면 한국...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24> - Make Headway!

    때때로 에세이를 쓰다 보면 문장 안에 수식어가 붙은 긴 '표현'을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생긴다. 이 때 문장의 앞과 뒤의 균형을 생각하지 않고 긴 내용의 '표현'을 그냥 써내려 간다면 어색한 문장이 되고 말 것이다. 여기에도 방법은 있다. 앞 부분과 뒤쪽 부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긴 표현을 가급적 문장 뒤쪽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영어에서 한 문장 안에 긴 표현과 짧은 표현이 동시에 사용될 때는 가능한 한 긴 '표현'을...

  • 학습 길잡이 기타

    ② 하이에크(Hayek)의 노벨경제학상 수상 연설

    “Students of social science,must fear popular approval” 다음은 20세기 자유주의 경제학의 태두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가 1974년 12월10일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면서 행한 연설이다. 하이에크는 이 자리에서 경제학이 사회 생활에서 왜 중요한지 얘기하면서 경제학도들의 자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는 20세기 초 미국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이 언급한 '사회과학도들은 대중적 동조(popular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