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이스라엘, 강경파 '네타냐후' 내각 출범…중동평화 먹구름?
팔레스타인과 대화의사 밝혔지만 '2개 국가 해법'에 시큰둥 보수강경파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사진)가 이끄는 이스라엘 새 연립정부가 공식 출범했다. 이에 따라 향후 중동평화 협상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밤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가 네타냐후 총리의 새 내각 구성안을 69 대 45로 통과시킴에 따라 네타냐후 총리는 각료 29명과 함께 취임 선서를 하고 공식적으로 4년 임...
-
과학 기타
우와!! 162층 짜리 빌딩…쓰러지진 않을까?
'버즈 두바이' 건물 중심에 '코어 월' 심어 탄탄 우리도 상암동 DMC단지에 100층 넘는 빌딩 계획 서울시 상암동에 있는 DMC(디지털미디어시티)단지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초고층 빌딩이 세워질 예정이다. 총 640m 높이로 서울의 랜드마크 빌딩이 될 '서울라이트(가칭)'는 오는 9월에 착공돼 2015년 완공될 계획이다. 현재 서울에는 건물주가 될 각 기업이나 정부기관들이 경쟁이라도 하듯이 초고층빌딩 건축계획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
-
고교 등급별 석차·재학중 활동과 학력 분포까지 반영
2008년 서울대 등이 시범적으로 도입했던 입학사정관 전형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가 입학사정관 전형을 확대하고 내실을 기하는 대학에 더 많은 지원금을 주겠다고 밝히자 각 대학들은 너도 나도 입학사정관 전형 인원을 늘렸다. 당초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올해 40개 대학에서 4400여명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뽑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한양대가 1031명, 고려대 886명, 연세대 609명, 이화여대 660명, 한국외대 678명 등 대학들이 각각...
-
경제 기타
3군 사관학교 통합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찬 “군 조직문화 바꾸고 파벌주의 악습 없어질것” 반 “군 전문성 떨어지고 수뇌부 지휘권 약화될것” 청와대가 육 · 해 · 공 3군의 엘리트 장교 양성기관인 사관학교를 합쳐 2012년까지 단일 통합사관학교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육 · 해 · 공군의 유기적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군에 팽배한 이기주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관학교 통합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특히 미래전에 대비한 정예군 육성을 위해서도 3군의 합동성 강화는 더 이상 ...
-
TESAT 공부하기 기타
산업과 업종따라 '잡 셰어링'도 천차만별
기업이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구조조정을 단행할 경우 두 가지 방법이 있을 것이다. 전체 인원수를 감축하는 것을 전략 1이라고 하고,고용은 유지하되 임금을 평균적으로 삭감하는 것을 전략 2라고 하자. 이들 전략에 대한 다음의 주장을 읽고 각 전략들의 명시적 주장 혹은 암묵적 전제들과 맞지 않은 보기를 고르시오. 전략 1 : 고용을 줄이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임금을 일괄 삭감할 경우 생산성이 높은 인재의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경...
-
경제 기타
⑥ 수요의 법칙 - 수요를 늘리고 줄이는 요인은 뭐가 있을까?
고교시절,'경제 시간'하면 떠오르는 것은 가격이 비싸지면 덜 사고 싸면 더 사는 '수요법칙'과 그 그림들이다. 특히 수요법칙은 쉽게 기억해낼 수 있는데,이는 아마도 '더 싼 것을 찾아가는 행위'가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인 것 같다. 반면 수요법칙의 그림은 암기를 강요당했던 때문인지 구체적 형상을 기억하기가 쉽지 않다. 심지어 수요곡선 변화에 대한 그래프 분석은 바탕화면 휴지통에서 삭제된 파일과 같이 느껴진다. 이제 그 사라진 파일을 복원해...
-
경제 기타
표절은 남의 창작물을 도둑질하는 범죄행위다
얼마 전,나는 황당한 일을 당했다. 평소같이 인터넷을 이용해 뉴스를 검색하다가 내가 생글 지난호에 기고한 '카드 쓰면 돈 더 내야 한다고…' 제목의 기사가 엉뚱한 사람이 쓴 글로 버젓이 나왔기 때문. 'ㄱ' 신문사 인터넷 뉴스에 내가 쓴 기사의 원문 내용과 거의 똑같은 기사가 다른 사람의 이름이 달려 게재돼 있었다. 말로만 듣던 표절을 직접 당한 것이다. 기자는 해당 기관에 해명을 요청했다. 기관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내 기사가 도용 ...
-
경제 기타
학교 수학 수업, 시험 성적 올리는데 보탬 안된다?
요즘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느 학원이든 하나 이상은 다니는 것이 기본이 됐다. 여러 학원 중에서도 보통 80% 이상의 학생이 수학학원에 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많은 학생들이 수학학원을 다니는 이유는 학교에서 받는 수학 수업만으로 내신 수학시험을 잘 치르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학원을 다니지 않고는 학교 수업만으로 내신을 잘 볼 수는 없을까?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시간에는 보통 학생들이 열심히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