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TESAT 공부하기 기타
'잉여'를 아시나요?…경제학원론 지식도 필요
▶ 문제 4명의 생산자와 4명의 소비자가 있는 경제를 생각해보자. 4명의 생산자는 각기 최대 1개의 물건을 생산하고 그 생산비용은 아래와 같으며,4명의 소비자는 각기 최대 1개의 물건을 구매하고 최대한으로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은 아래와 같다. 시장경제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는 원칙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만족을 주게 돼 있다. 소비자나 생산자가 만족하지 않는다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 가치는 거래된 가격보다...
-
경제 기타
⑨ 가격 탄력성 - 책가방은 가격 탄력적일까 ? 비탄력적 일까?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쌀이나 소금,공공요금 등과 같이 가격이 올라도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줄어드는 재화가 있는가 하면,자동차나 대형 냉장고 등과 같이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게 되는 재화가 있습니다. 이처럼 재화의 가격변화에 대한 수요량 변화의 민감한 정도를 우리는 가격 탄력성이라고 합니다. 즉 가격 탄력성은 어떤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민감한 정도에 따...
-
학습 길잡이 기타
16. 카프라「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동양사상이 서양과학의 패러다임 이끈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는 말이 있다. 흔히 총명한 사람을 묘사할 때 자주 쓰이는 말이지만,굳이 사람이 아니라도 세상만물 삼라현상 그 무엇이 되었건 간에 하나의 부분에서 전체를 감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어떤 사람의 사소한 한 마디 말에서 그 사람의 도량 내지는 깜냥을 알 수 있었던 일,혹은 어떠한 현상의 일부를 체득함으로써 전체의 '결'을 느꼈던 경험은 누구나 한번쯤 있었을 것이다. 전체의 구...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울대 수시논술 풀이
종교는 국가의 안정과 통합에 기여하는가? [논제] 제시문 (가)에 제시된 두 가지 입장을 근거로 하여 제시문 (나)의 각 사례에 나타난 국가와 종교의 관계를 분석하고,제시문 (나)의 각 사례에서 정부가 취한 정책에 대해 그러한 정책이 채택된 근거를 유추하고 그 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논하라. 가 [1] 근대적 국가에서 개인은 우선적으로 시민으로 간주되며,그 이...
-
경제 기타
버려진 고양이, 거리의 악동 됐어요… 뾰족한 대책 없을까?
생명이 약동하는 봄이 본격적으로 왔다. 고양이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그 때문인지 주택가를 활보하는 고양이가 겨울보다 부쩍 많아졌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길고양이들이 주민들에게 여러 불편을 준다는 점에 있다. 먹을 것이 부족해 음식물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뒤지며 주변을 난장판으로 만드는 것은 이제 익숙한 광경이 되었다. 비단 주변 미관상의 문제뿐만 아니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주기적으로 오는 발정기에 따라 암고양이들은 새벽까지 줄기차...
-
경제 기타
장애인의 날 하루만 떠들썩?… 1년 365일 장애인을 보살피자
4월20일은 '장애인의 날'이다. 사람들은 특별히 정한 날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그 날을 기념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 이유로 '장애인의 날'이 되면 그동안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장애인에 대한 미안한 마음을 표현하며,앞다투어 여기저기서 행사를 갖는다. 더러는 장애인들을 위한 공연도 하고,또 더러는 비장애인들에게 장애인 체험의 기회를 갖게도 한다. 그러면서 아마도 그들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헤아려 보자는 의미일 것이다. 휠체어를 타고 ...
-
학습 길잡이 기타
TV 광고가 살려낸 '개고생' ①
"제작진은 인터넷,IPTV,전화 등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IT 서비스를 한데 묶은 통합 서비스의 이름을 고심하다 '집에서 세상을 요리(Cook)한다'는 느낌을 살린 'QOOK'을 만들었고,이어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라는 자극적인 카피를 생각해 냈다. 하지만 과연 이런 '막말'을 광고에 써도 되는지 고민이었다. 마침 회의 멤버 중 한 명이 퀴즈 프로 '스타 골든벨'에 '표준어 아닐 것 같은 표준어'로 '개고생'이 나왔다는 사실을 기억해...
-
학습 길잡이 기타
90. 외벌이-홑벌이-홀벌이
'외-,홑-,홀-'은 '혼자임'을 뜻하는 말 '외벌이 신혼부부의 재테크.' '고유가 대책 홑벌이 가정 외면.' '40대 홀벌이 가장의 노후 준비.' 요즘 신문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말, 하지만 사전에는 없는 단어. 그 중 하나가 '외벌이,홑벌이,홀벌이'이다. 모두 '맞벌이'에 대응하는 말인데,이들이 쓰이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식 단어로 대접받지 못 하고 있다는 뜻이다. '맞벌이'의 사전적 풀이는 '부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