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올해 수시서 논술 시험 보는 대학 36곳으로 크게 늘어”
수시 모집 논술서 당락… 입학사정관은 전형의 설계·서류 심사 참여 '올해 대입은 논술이 당락을 가른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들이 최근 발표한 2010년도 입학 전형은 논술 시험의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논술시험을 봐야 하는 학생 수도 늘어났고 논술로 뽑는 입학정원도 크게 확대됐다. 수시모집에 집중할 학생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 각 대학이 '논술을 잘하면 수능도 잘하고 대학 성적도 좋다'는 시각을 갖고 있어 앞으...
-
경제 기타
학교 자율화방안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찬 “공교육 질을 높이고 다양성 추구에 큰 보탬” 반 “입시 경쟁 부추기고 학교내 견제 세력 위축” 학교 운영의 핵심 권한을 학교장에게 부여하고 자율학교를 확대해나가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부의 3단계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쪽에서는 "초 · 중등 교육이 획일화되고 경쟁력이 저하된 이유는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등의 권한이 없어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며 "창의적인 인재 ...
-
TESAT 공부하기 기타
퇴근 길 피자 한판이 부담없다면 '중산층'
▶ 문제 '중산층'을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다.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득 수준이 최저 생계비의 2배에서 2.5배에 속하는 계층을 말한다. ② 소득 3~7분위에 속하면서 전문대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③ 사회 전체 가구 중 중위 소득의 50~150%에 해당하는 소득을 올리는 가구를 말한다. ④ 서울 강남 등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35% 소득세율 구간의 소득을 올리는 사람을 말한다...
-
경제 기타
⑪ 시장의 종류 <上>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쌀을 한 곳에서만 판다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지난 번까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중심으로 해서 시장 가격이 형성되는 원리나 그에 수반되는 여러 경제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그릴 줄 알면 어지간한 경제학적 원리는 모두 추론해낼 수 있다. 수요와 공급의 원리는 경제를 배우는 처음과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제에서 배우는 시장원리는 바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원리가 현실...
-
학습 길잡이 기타
18. 막스 베버「직업으로서의 학문」
“학문은 열정과 영감으로 맞서야 하는 늙은 악마다” 가끔 어떠한 단어에 일상의 용례에서는 감지하지 못하는 뜻밖의 의미가 누적되어 있음을 새삼 발견하고 놀라는 일이 있다. 직업이라는 단어가 그러하다. 직업은 직(職)과 업(業)이라는 한자로 이루어져 있는데,종사하는 일의 종류를 드러내는 직(職)이라는 글자야 그렇다 치고,업(業)이라는 글자를 유심히 들여다 보면 기묘한 느낌이 든다. 동아시아에서 불교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카르마(karma)'...
-
학습 길잡이 기타
경희대학교 2009학년도 수시 2-1학기 논술(인문계) 풀이 (下)
“집단 속 개인은 무임승차 성향을 지닌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 II>에 답하시오. 가 독일의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했다. 참가자 수에 따라 1인당 발휘하는 힘의 정도를 측정했는데 1 대 1 게임에서 1명이 발휘하는 힘을 100이라고 할 때 2명일 경우 93,3명일 경우 85,8명일 경우는 49,즉 혼자 경기할 때에 비해 절반밖에 발휘하지 않았다. 참가하...
-
경제 기타
"밤 10시 이후 학원금지" 생글기자들 생각은…
“학생들의 건강 해치는 학원 심야교습은 막아야” 찬 지난 4일 '학원 교습 밤 10시 이후 금지안'이 연기되었다. 일각에서 실효성이 낮고 불법 과외를 조장한다며 이 방안에 반대했다. 그러나 학생들의 건강과 효율적 학습을 위해 반드시 밤 10시 이후 학원 교습을 금지해야 한다. 청소년의 건강이 학원 심야 교습으로 위협받고 있다. 학원 수업이 10시에 끝나면 학생이 귀가해서 몸을 씻고 다음날 학교 준비를 하느라고 11시가 넘어야 잠자리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살아남을 말,사라질 말 - '굴뚝산업' 對 '신종 플루'
# "굴뚝산업이란 표현을 쓰지 말아주세요." 2000년 4월. 당시는 벤처 열풍이 한창 불던 때였다.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펴 온 정보기술(IT)산업 육성책에 힘입어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벤처기업이 태어날 정도로 모든 게 '벤처'로 통했다. 그러던 어느날 신문 방송 등 언론사 앞으로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명의의 협조문 한 통이 날아들었다. '기계 산업인 일동'이란 이름으로 보내 온 협조문의 요지는 한마디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