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인형 뽑기 인기, 경제위기 징조일까?
인형 뽑기의 인기는 경제위기의 불길한 징조일까. 요즘 주요 상권과 주택가에서 인형 뽑기 가게를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점심시간과 퇴근 후에 직장인 사이에서 인기라고 한다.뽑힐 듯 말 듯 스릴을 느끼다가 인형을 뽑았을 때 얻게 되는 성취감이 인형 뽑기가 인기를 끄는 요인이다. 많은 직장인이 그 과정에서 ‘도파민’이 분출되는 쾌감을 경험한다고 한다. 고단한 일과를 마친 직장인은 부담 없는 비용으로 소소하게 스트레스를 풀고, 상품도 얻는 행운을 기대하며 인형 뽑기 가게로 향한다.창업 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형 뽑기 창업이 작년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인건비가 들지 않고 폐업할 때 철거 비용도 적게 든다는 점이 창업 아이템으로서 인형 뽑기의 장점이라고 한다.하지만 인형 뽑기의 인기를 단순한 유행으로만 볼 수 없게 하는 면이 있다. 과거를 돌아보면 경제가 어려워질 때마다 인형 뽑기가 유행했다는 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인형 뽑기와 유사한 게임이 인기였다. ‘10년 주기설’에 따라 경제위기 가능성이 있다던 2017년에도 그랬다. 불황기엔 적은 비용으로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상품이 인기를 끄는데 인형 뽑기가 그런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인형 뽑기는 평범한 사람들이 힘든 일상을 버텨나가는 힘이 되어주고 있다. 그러나 돌아온 인형 뽑기의 인기가 또 한 번의 경제위기를 예고하는 것은 아닌지 불안한 시선으로 지켜보게 된다.김윤주 생글기자(안양문화고 2학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수능 D-24일…부모들의 간절한 기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24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14일 인천 강화군 보문사 마애석불 좌상 앞에서 학부모들이 108배를 하며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역사 기타
합스부르크가문, '혼테크'로 유럽 최강자 지위에
1516년경 신성로마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1459~1519)는 화가인 베른하르트 슈트리겔에게 자신의 첫 번째 부인과 아들, 손주들이 함께 있는 장면을 담은 가족 초상화를 그리도록 지시했다. 막시밀리안이 세상을 떠나기 몇 년 전 제작된 이 그림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역사를 담은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이기도 하다.하지만 이 작품의 배경은 전적으로 꾸며낸 것이기도 했다. 막시밀리안 1세는 건강한 중년의 모습으로 묘사됐다. 실상 그는 관을 준비하고 여행을 떠나야 할 정도로 갖은 병마에 시달리는, 희끗희끗한 수염이 난 노인이었다. 그의 옆에 서 있는 부인과 아들(미남공 필리프)은 세상을 떠난 지 오래였다. 부인인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하늘을 쳐다보는 모습은 죽음을 암시한다. 초상화에 등장하는 세 아이는 서로 만나본 적도 없었다. 할아버지의 팔을 껴안고 있는 페르디난트는 스페인에서 자랐고, 한가운데 그려진 겐트의 카를은 저지대 국가에서 성장했다. 카를의 유명한 주걱턱은 상당히 완화된 채 묘사됐다.심지어 금발인 세 번째 아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피가 흐르지도 않았다. 야기에우워 가문 출신 헝가리 국왕 러요시 2세는 1515년 이중 약혼에 힘입어 합스부르크가와 인연을 맺었지만, 이듬해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2세가 세상을 떠나면서 고아가 됐다.막시밀리안은 후견인으로서 그를 가족 초상화에 등장시켰다. 그리고 마치 마법처럼, 러요시가 약관의 나이에 오스만튀르크와 전투에서 사망한 탓에 그의 왕국은 고스란히 합스부르크 가문의 품으로 떨어졌다.이 같은 수다한 결점과 거짓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일군 최대 업적을 한눈에 보여준다. 바로 혼맥으로 유럽을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히스토그램 등 중등 통계 연계과정 미리 점검을
히스토그램은 주어진 변량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각 구간(계급)의 도수를 도수의 총합으로 나눈 ‘상대도수’를 사용해 나타낸 그래프로, 중학교 때 이미 학습한 내용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이 이러한 중등 기초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거의 잊어버려 관련 문제가 출제될 경우 논제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수리논술은 이처럼 중등 기초과정이 수능 고교과정과 연계되어 출제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학생들이 생소하게 여기는 히스토그램, 분산 등 통계와 관련된 중학교 과정의 내용을 미리 점검해두는 것이 좋다.▶확률과 통계 수리논술 대비전략◀1. 중등 연계과정의 기본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할 것.- 히스토그램, 상대도수, 평균, 분산 등의 기초개념 필수정리2.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의 차이와 연결개념을 이해할 것.- 상대도수 → 연속확률분포, 이항분포 → 정규분포곡선3. 미적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풀이전략을 세울 것.- 수식의 풀이과정에서는 미적분이 언제나 사용될 수 있으므로 넓이, 곡선의 길이 공식 등을 늘 숙지할 것
-
과학과 놀자
가을비가 전하는 냄새, 미생물이 보내는 메시지
가을비가 내리는 날, 특유의 냄새가 코를 스친다. 서늘한 공기 속에 섞인 흙냄새와 풋풋한 풀냄새는 오묘하게 어우러져 마음을 한층 상쾌하게 만든다. 과학자들은 이 비 냄새를 ‘페트리코(petrichor)’라고 부른다. 그리스어로 돌을 뜻하는 ‘페트로스(petros)’와 신들의 피를 의미하는 ‘이코르(ichor)’를 합친 말로, 돌에서 나온 미세한 본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비 냄새는 자연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미생물 활동의 결과다. 마른 땅이 비로 젖을 때 땅속 미생물들이 만들어낸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공기 중에 퍼지면서 우리가 느끼는 ‘비 냄새’가 발생하는 것이다. 흙 속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등 방선균의 활동이 비가 온 뒤 현저히 활발해진다.방선균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며 죽은 식물체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세균(박테리아)이다. 이들은 토양 속 유기물을 분해하며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여러 화학반응과 효소작용을 거쳐 ‘지오스민(Geosmin)’과 ‘2-메틸이소보르네올(2-MIB)’이라는 냄새 분자를 만들어낸다. 쉽게 말해 방선균은 식물 잔해 속 물질을 분해하면서 그 부산물로 특유의 향을 내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아이소프레노이드’라는 탄소 뼈대가 단계적으로 연결되는 화학반응을 거치며, 효소가 이 구조를 구부리거나 작은 메틸기를 붙여 비 냄새의 핵심 성분을 완성한다.이 화합물은 땅속 박테리아가 죽거나 손상되면서 세포 밖으로 방출돼 흙 속에 남아 있다가, 비가 내릴 때 빗방울이 지면에 충격을 가하면서 미세한 물방울과 함께 공기 중으로 퍼져나간다. 이를
-
영어 이야기
줄다리기, 팽팽한 대립을 말할 땐 'tug of war'
For several years, steel companies have avoided raising steel plate prices. Since 2016, the price of shipbuilding steel plate has remained between 600,000 and 700,000 won per ton, almost half the record-high 1.1 million won ($1,000) seen in 2008.But domestic steel companies say that a price increase will be inevitable due to a sharp rise in the price of iron ore, a raw material used to create steel plates.The price of iron ore surged by 41.9% over the past month and reached $176 per ton on Dec. 21, the highest since February 2013.Some steel companies have already raised the price to reflect production costs.“We tried to minimize the price increase, but we’ve been losing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n the steel plate business,” said a steel industry official.A fierce tug of war is expected between the steel industry and the shipbuilding industry since steel plate prices are negotiated every six months.수년간 철강회사들은 강판 가격 인상을 피해왔다. 2016년 이후 조선용 강판 가격은 톤당 60만~70만원 수준을 유지해왔으며, 이는 2008년 최고가인 110만원의 절반 수준이다.하지만 국내 철강업체들은 강판의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철광석 가격은 지난 한 달 동안 41.9% 급등해 12월 21일 기준 톤당 176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3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일부 철강업체는 이미 생산비를 반영해 가격을 인상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가격인상을 최소화하려 노력했지만, 강판 사업에서 수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강판 가격은 6개월마다 협상되기 때문에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해설한국은 세계 1위의 조선회사 HD현대중공업을 비롯해 한화오션, 삼성중공업과 같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조선회사를
-
숫자로 읽는 세상
'버블 붕괴 직전' 일본 닮아가는 한국 부동산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국무회의에서 부동산 시장 과열과 관련해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한 것은 최근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1990년대 초 버블(거품) 붕괴 직전의 일본과 비슷하다는 의미로 파악된다.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 수준과 기업 대출 중 부동산업 비중 증가세가 특히 일본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한국의 민간신용 비율은 200.7%로 200%를 넘었다. 2018년 177.2%에서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 일본의 민간신용 비율이 1985년 162%에서 버블 붕괴 직전인 1990년 208%로 급등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기업 대출이 부동산 기업에 몰리며 대출의 질이 나빠지는 것도 비슷한 점으로 꼽힌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기업 대출 중 건설·부동산업 대출 비중은 28.8%로 10년 전(20.5%)보다 크게 상승했다. 반면 성장 기여도가 높은 제조업 대출은 같은 기간 34.6%에서 24.9%로 하락했다.일본에서도 제조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1970년대 500%대에서 1980년대 절반 수준으로 하락한 반면, 부동산 기업의 부채비율은 1980년대 이후 1000%에서 1500% 수준으로 크게 상승했다.소비자 심리도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버블 당시 일본에서는 ‘토지 불패 신화’라는 말이 유행했다. 현재 한국에서도 ‘부동산 불패’를 향한 믿음이 견고하다.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급락한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 8월과 9월 두 달 연속 상승했다.달라진 것은 부동산 규제 수단과 금융당국의 의지다. 최근 ‘일본 경제로부터 되새겨볼 교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쓴 장태윤 한은
-
시사·교양 기타
K컬처 '열풍'
주니어 생글생글 제181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K컬처’, 다른 말로 ‘한류’입니다. 최근 해외에서 한국의 대중가요와 영화·드라마, 음식, 화장품 등이 큰 인기를 얻는 현상을 살펴보고, 문화의 힘이 외교와 수출, 관광업 등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살펴봤습니다. 화제의 인물로는 해외에서 태어난 혼혈인으로 한국 남자 국가대표 축구팀에 선발된 옌스 카스트로프 선수를 소개합니다. 최근 금값이 치솟은 이유도 쏙쏙 경제 뉴스에서 짚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