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공부하기 기타
-
경제 기타
소득이 많으면 재산도 많을까
소득이 많은 사람은 모두 부자일까요? 즉 소득이 많은 사람은 재산도 많이 갖고 있을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재산을 많이 갖고 있는 부자는 소득이 많을까요? 이것도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소득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따라서 또는 돈을 어떻게 투자하는지에 따라서 재산이 많아질 수도 있고 반대로 재산이 전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에서 투자란 무엇일까요? 버는 돈 ‘소득’ 모은 ...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동아리 챔피언 거머쥐다
제25회 테샛 동아리대항전에서 연합 동아리인 ‘TESAT CAMP’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대학 부문에선 연합 동아리인 ‘S.E.S’가 1등을 차지했으며, 주니어 테샛에선 ‘러버이콘’이 우승을 안았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치러진 25회 테샛의 개인 및 동아리대항전 수상자 명단을 지난 3일 발표했다. 참가 학생 중 상위 5명의 평균 점수로 순위를 가린 동아...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은 경제학 공부의 正道를 알려주는 신호등이죠'"
“테샛은 제게 ‘신호등’ 같은 시험입니다. 경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알려주고, 경제학도의 길을 가도 되는지 스스로 확인해보는 기회가 됐습니다.” 25회 테샛에서 고교 공동 1등을 한 유정연 양(은광여고 2)의 수상 소감이다. 박찬우 군(용인 외대부고 1)과 함께 292점(300점 만점)의 높은 점수로 고교 대상을 거머쥐었다. 박군은 “테샛을 공부하면서 국내외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는...
-
경제 기타
특명 "예금을 보호하라"
미국 서부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보면 은행 강도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은행 강도가 금고를 털어 가면 고객이 예금한 돈은 어떻게 될까요? 이런 염려 때문에 예금을 망설여 본 적이 있나요? 사람들이 불안한 마음에 예금을 하지 않으면 은행은 기업에 대출을 해주지 못하게 되고 경제의 혈액인 돈이 잘 돌지 않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요? 지금 내가 은행에 예금해 놓은 돈은 안전할까요? 정부가 예금 지급 보증 오늘날에는 치안이 잘...
-
테샛 공부합시다
25회 테샛 고교 1등 박찬우·유정연
지난 22일 치러진 25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생들의 평균 성적이 181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0점)으로 나타났다.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는 점수는 180점이다. …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26일 25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180.9점으로 집계됐다. 영역별로는 경제이론이 평균 59.6점, 시사경제·경영 53.9점, 상황판단(...
-
테샛 공부합시다
2015년 테샛 4회 시험…2·5·8·11월 실시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는 2015년 테샛 시행일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내년 테샛 시행일은 고교 시험 일정, 대입 일정 등을 감안해 26회 2월14일(토), 27회 5월16일(토), 28회 8월22일(토), 29회 11월15일(일)로 정했습니다. 시험 시간은 당일 오전 10시부터 11시40분까지이고, 원서 접수는 시험일 이전 약 한 달간입니다. 국가공인 1호 경제·경영이해력 검증시험인 테샛은 경제지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데 안성...
-
경제 기타
신용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많은 사람이 모여 사는 사회에서 신용을 잃은 사람은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기 힘듭니다. 오죽하면 “신용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는 말이 있을까요. 오늘날에는 과거에 비해 신용의 중요성이 더 커졌습니다. 신용이 좋은 사람은 사회생활에서 여러 가지 편리함과 이득을 얻습니다. 그러나 신용이 나쁜 사람은 여러 가지 불리함을 당합니다. 신용이 나쁜 사람에게는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신용 낮은 사람 대출 이자도 비싸&hellip...
-
테샛 공부합시다
알아두면 유용한 경제용어들
25회 테샛이 전국 고교생 1000여명이 도전한 가운데 지난 22일 치러졌다. 테샛은 종합 경제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경제지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음은 이번 테샛에 나왔던 주요 경제 용어다. △양적 완화(QE)=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시중에 돈을 뿌리는 정책. 미국이 양적 완화 종료를 선언한 반면 일본은 더 공격적인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양적 완화를 시행하면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 수출을 늘리고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