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공부하기 기타
-
테샛 공부합시다
국민총소득에서 비중 줄어드는 가계소득
올해 한국은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 달성이 예측된다. 3%대 성장률이 유지되면 2021년 4만달러, 2024년에는 5만달러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먹고 살 만하다’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라의 부(富)는 증가하지만 가계 체감 소득은 여전히 낮은 탓이다. 또 교육비 출산육아비 등이 너무 많은 것도 한 요인이다. 가계는 노동·자본 등 생산요소를 제공한다. 그 대가로...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변별도·신뢰도 '최고 수준' 입증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테샛의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를 분석한 결과 매회 난이도가 일관성 있게 유지되고 문항 변별도 역시 0.3 이상의 최고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항 난이도는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통상 평균정답률을 의미한다. 문항 변별도(item discrimination)는 수험자의 능력을 얼마나 구분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문항 변별도는 각각의 문항에 대한 개별 수험생의 점수와 총점 간의 상관계수로 ...
-
테샛 공부합시다
시장실패
시장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제활동을 하며 가격을 결정합니다. 가령 빵집 주인이 빵을 많이 만들면 빵값은 내려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빵을 적게 만들면 빵값이 올라가는 대신 사려는 사람이 확 줄어들 것입니다. 합리적인 소비자는 값이 올라 비싸게 된 빵 대신 다른 먹거리를 택할 테니까요. 자연스럽게 생산자와 소비자는 적절한 가격을 정하게 됩니다. 복잡한 사거리의 교통사고와 같아 공산주의가 실패한 것은 시장...
-
경제 기타
"알찬 경제강의·대학멘토 대화가 매우 유익"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 참가자들의 표정은 진지했다. 지난달 28일 서울 동국대 경영관에서 열린 ‘제12회 한경 고교 테샛 경제 리더스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은 하나같이 ‘프로그램이 알차고 유익했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캠프에는 전국 주요 지역의 고교생과 고1 입학을 앞두고 있는 학생들이 고르게 참가했다. 이승훈 서울대 명예교수, 노택선 한국외국어대 교수가 각각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를 쉽고 알차게...
-
TESAT 공부하기 기타
'27회 테샛' 원서 접수 9일 마감
한국경제신문은 상반기 취업시즌을 앞두고 3월22일(일) ‘제27회 테샛’을 시행합니다. 고사장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인천 수원 전주 등 전국 11개 주요 도시에 개설됩니다. 원서 접수 마감은 9일로 아직까지 접수하지 않았다면 서둘러 주세요. 이번 시험 성적은 대기업과 금융회사의 상반기 채용에 테샛 자격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오는 25일 발표할 계획입니다. 성적 우수자에게는 상장과 상패, 장학금이 지급됩니다. 다만 주...
-
테샛 공부합시다
역시 '한경 테샛'…문제 신뢰도 단연 최고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국가공인 경제이해력검증시험인 ‘한경 테샛’이 유사 시험 대비 문제 신뢰도와 변별도에서 단연 최고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지난 2월 치러진 26회 테샛 응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0.7%가 ‘난이도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26.6%는 ‘다소 어렵다’고 했으며, ‘매우 어렵다’고 답한 응시생은 ...
-
테샛 공부합시다
'한경 시장경제 NIE 6대 프로그램' 실시
한국경제신문이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신문을 활용한 ‘한경 시장경제 NIE 6대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NIE는 ‘Newspaper In Education’의 머리글자를 딴 말로 신문을 활용한 교육을 뜻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최근 한국경제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강원일보, 경남도민일보, 경상일보, 국제신문, 매일신문, 무등일보, 부산일보, 원주투데이, 전북일보, 중도일보...
-
테샛 공부합시다
초고령사회
초고령사회는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나라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여기서 노인은 65세 이상을 말합니다. 유엔의 기준에 따르면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사회(ageing society), 14%를 넘기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퍼센트 넘어가면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라고 분류합니다. 2026년 한국 ‘초고령사회’ 노인 인구가 20%를 넘는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