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24회 테샛시험 영광의 얼굴들

    "테샛은 꿈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입니다"고교 공동1등(287점)-용인외고 노혜원·안양외고 오수인고교 부분 대상 영예를 차지한 노혜원 양(용인외고 1)의 응시 소감이다. 오수인 군(안양외고 2)과 노양은 287점으로 고교생 공동 1등을 차지했다. 노양은 “막연하게 경제학과 진학을 꿈꿨지만 열정을 갖고 있지는 않았어요. 테샛을 공부하면서 경제학의 논리성, 현실과의 상호작용에 푹 빠졌습니다”며 테샛은 자신의 열정과 진로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다. 오군 역시 “선택의 학문인 경제학을 깊이있게 공부하고 싶었어요. 테샛은 꿈을 향해 나아가게 해주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해줬어요”라고 전했다.테샛 경제이론영역 대비를 위해 노양은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경제이론을 그 당시 경제 위기나 현상에 대응해 만들어진 개념이 많아요. 그래서 이론들의 배경과 흐름을 이해하면서 공부했더니 훨씬 수월해졌어요”라며 이론을 이해한 후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공부한 내용이 정확한지 파악했다고 말했다. 오군은 단계적으로 경제이론의 깊이를 더해갔다. 처음 ‘누두교과서’ ‘셀파’ 등 수능경제를 준비해 기초를 쌓았고 이후 ‘멘큐의 경제학’을 읽으면서 공부 수준을 한 단계 올렸다. 이외에도 ‘테샛 완벽대비 이론서’ 등으로 실전 감각을 익혔다. 시사이슈 준비로는 ‘꾸준한 경제신문 구독’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오군은 “처음 경제신문을 읽을 때는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매일 경제신문을 읽고 주요 이슈를 스크랩하고 내용을 요약했습니다”며 &ldqu

  • 경제 기타

    (29) 놀라운 '한강의 기적'

    세계 9위의 무역 강국! 올림픽과 월드컵이라는 세계적인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으며 과거 원조를 받다가 이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서 저개발 국가에 원조를 해주고 있는 국가! 한국 경제가 1960년부터 40년 만에 이룩한 눈부신 성과입니다. 그래서 외국 사람들은 이를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한국 경제가 어떻게 성장해 왔기에 외국인들이 한강의 기적이라 부르고 있을까요?1960년대 수출비중 0.1%1945년 광복 후 곧이어 발생한 6·25 전쟁으로 우리나라 경제는 국민의 생계도 유지하기 어려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가난을 극복하고자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수출 중심의 성장 정책을 전개하여 외화를 벌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자본이나 기술이 없던 당시에는 농수산품이나 광물자원 등을 주로 수출했습니다.1970년대 들어서는 경공업 산업에서 벗어나 철강, 기계, 조선 등 중화학 공업에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창원, 구미 등지에 중화학 공업 단지를 조성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1960년대 초반에 겨우 세계 수출의 0.1%에 불과했던 우리나라 수출 비중은 1970년대 말 1% 수준에 육박했습니다. 그러나 수출품의 대부분은 경공업 제품이었습니다.우리나라는 선진기술 모방과 저임금 노동에 의존하는 정책으로는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1980년대 들어와 본격적으로 과학 기술 개발을 통한 성장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조선 등 기술 중심의 품목을 수출하기에 이르렀으며 우리나라는 본격적으로 경제 성장을 시작하였습니다.2007년 국민소득 2만달러 돌파1990년대에는 반도체를 비롯하여 첨단 기술 제품이 수출을

  • 테샛 공부합시다

    24회 테샛, 동아리전 대상에 연합 동아리 'PLAN-A'

    제24회 테샛 동아리대항전에서 연합 동아리인 ‘PLAN-A’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대학 부문에선 고려대 경제동아리인 ‘wifi’가 1등을 차지했으며, 주니어 테샛에선 연합 동아리인 ‘펭귄은 경제를 사랑해’가 우승을 안았다.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는 지난 16일 치러진 24회 테샛의 개인 및 동아리대항전 수상자 명단을 지난 27일 발표했다. 참가 학생 중 상위 5명의 평균 점수로 순위를 가린 동아리대항전에서 ‘PLAN-A’는 평균 274.6점으로 고교 동아리 대상을 받는다.‘PLAN-A’는 윤다연(안양외고 2), 송찬우(개포고 2), 우성빈(청심국제고 2), 김민철(신성고 3), 김서진(경기외고 3), 김현수(늘푸른고 2) 학생이 모여 만든 연합 동아리다. 고교 최우수상은 민족사관고의 ‘ECORUM’(박건호, 유호준, 민건호, 한준엽, 김혜원) 팀에게 돌아갔다.우수상은 연합 동아리인 ‘ECON 2014’(유호재, 정상우, 임경빈, 조성연, 조현준), ‘성공경제’(임다혜, 김건수, 곽민규, 이지영, 이종현), ‘꿈, 끼 & 경제’(박정원, 마건우, 김영서, 민경현, 박정훈), 은광여고 ‘미네르바’(최종경, 유정연, 이희우, 김지우, 권규리) 팀이 받는다. 학교에서 단체로 응시해 좋은 성적을 거둔 중동고 ‘plutus’(전승환, 지우영, 김성욱, 이재현, 이문수)와 대전 신일여고 ‘금융반 2’(신지수, 유하진, 김다희, 배한이, 김윤지, 김혜인)는 특별상을 수상한다.대학 부문에선 고려대 경제학과 4학년생들이 회원인 ‘wifi’(한상원, 김기성, 박찬명, 김영웅, 이지영)가 평균 279.6점(300점 만점)으로 1등을 차지했다. 최우수상은 서울대 동아리인 ‘GPES’(이호준, 김도영,

  • 경제 기타

    경제 정책이 경기에 영향 미치는 원리

    요점정리1. 재정 정책: 정부가 예산으로 지출 계획을 세우고 조세 수입을 결정하는 정책(1) 정부 지출 증가(조세수입 감소)→기업생산과 고용 증가→국민총생산 증가(물가 상승)(2) 정부 지출 감소(조세수입 증가)→기업생산과 고용 감소→국민총생산 감소(물가 안정)2. 통화정책: 한국은행이 통화량과 이자율을 조절하는 정책(1) 통화량 증가(이자율 감소)→기업 생산과 고용 증가→국민총생산 증가(물가 상승)(2) 통화량 감소(이자율 상승)→기업 생산과 고용 감소→국민총생산 감소(물가 안정 )정부는 경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재정 정책이나 통화 정책을 사용합니다.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이란 무엇일까요? 이런 것들이 어떻게 경기와 우리 경제 생활에 영향을 미칠까요?재정이란 정부의 ‘살림살이’재정이란 정부가 예산을 세우고 필요한 사업을 하는 등 나라 살림과 관련된 여러 가지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재정정책이란 나라 살림과 관련된 정책이란 뜻입니다. 정부는 갖고 있는 돈으로 지출을 많이 하거나 적게 할 수 있고 국민으로부터 걷는 조세 수입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재정 정책이라고 합니다.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기업이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를 더 많이 구입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기업의 생산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정부가 지출을 줄이면 기업의 생산이 감소합니다. ‘국내총생산=소비+투자+정부 지출’의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면 이해하기 한결 쉬워집니다.만약 현재 경기가 나빠서 실업률이 높고 기업 생산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고 가정해볼까요. 정부가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도로나 댐 건설 등 공공사업을 활발

  • 경제 기타

    한경 경제캠프·테샛 성황리 마무리…감사합니다^^

    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2학기가 시작됐군요. 이번 학기에도 여러분이 원하시는 대로 모든 일이 잘 이뤄지길 바랍니다.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생글생글은 여름방학 동안 고교생 경제캠프와 중학생 경제캠프를 열었습니다. 2박3일 일정으로 진행된 고교생을 위한 테샛경제 리더스캠프는 뜨거운 참가 열기로 잘 마쳤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온 고교생들은 캠프에서 미시, 거시, 경영, 시사경제에 대해 두루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상경계 대학 진학을 꿈꾸는 학생이 대부분이어서 교수들의 강의에 몰입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학생들은 멘토로 참여한 명문대 선배들과 많은 얘기를 나눴습니다. 토크콘서트 형태로 진행된 멘토와의 대화 시간은 최고의 인기 시간이었습니다. 대학 선배들은 자신이 경험한 공부와 입시에 관한 노하우를 전해주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캠프에 참가해주신 많은 고교생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도 캠프가 열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지난 23일 열린 중학생 경제캠프도 미래 경제 경영학도들의 관심 덕분에 성황을 이뤘습니다. 하루 일정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에서 참가학생들은 경제의 기본을 배우고 익혔습니다. 명문대 명문고 선배들과의 대화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꿈을 다시 한번 다잡는 계기가 됐을 것으로 확신합니다.지난 16일 치러진 24회 테샛 정기시험도 전국 고사장에서 잘 진행됐습니다. 학교마다 경제동아리가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모든 동아리는 활동목표가 뚜렷해야 성공합니다. 경제공부를 열심히 하면서 테샛도 응시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입니다. 경제공부는 세상을 보는 눈을 열어 줍니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대표 경제시험' 테샛, 금융知力도 키웠다

    지난 16일 시행된 24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생들의 평균 성적이 197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5.8점)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은 180점(100점 만점 기준 60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이번에 참고점수로 처음 제공된 금융점수는 평균 67점으로 총점과 성적 분포가 비슷했지만 일부 학생들은 총점에 비해 금융점수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테샛위원회가 20일 24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평균 성적은 197.45점으로 집계됐다. 각각 100점이 만점인 3개 영역의 평균점수는 경제이론 65.74점, 시사경제·경영 67.17점, 상황판단추론 64.54점으로 모두 60점을 웃돌았다. 그동안 시사영역의 평균점수가 60점 이하였으나 이번에 60점을 웃돌면서 전체 평균이 올라가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이번에 참고점수로 처음 제공된 금융점수는 100점 만점이 18명인 것을 비롯 90점 이상 236명, 80점 이상 817명 등으로 총점과 분포가 비슷했다. 그러나 일부 학생은 유독 금융점수가 높아 금융점수 자체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점수는 80개 문항 중 금융관련 문항 30개의 점수를 별도로 집계해 100점 만점이 되도록 환산한 점수다.◎…270점 이상을 맞은 S급은 115명(고교생 포함)이었다. 240점 이상 269점 이하인 1급은 545명, 2급(210~239점)은 702명, 3급(180~209점)은 634명이었다. 직업별로 보면 군인이 22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은 각각 205점이었고 고교생 193점, 회사원 171점, 자영업 156점 등이었다. 3급 이상을 받아 생활기록부에 기록할 수 있는 고교생은 S급 29명 1급 113명 2급 160명 3급 140명 등 모두 44

  • 경제 기타

    국내총생산이 쓰이는 다양한 용도

    우리나라 국경 안에 있는 기업들이 만들어낸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한 것이 국내총생산입니다. 기업들이 최종 생산물을 생산하는 이유는 누군가가 그것들을 구입하기 때문입니다. 경제에서 누가 최종 생산물을 살까요? 기업이 생산한 최종 생산물은 어떻게 쓰일까요?소비와 투자, 정부 지출의류회사가 생산한 옷은 소비자(가계)들이 구입합니다. 전자제품 회사가 만들어낸 노트북도 소비자들이 구입합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기업이 만들어내는 최종 생산물을 구입하고 이용합니다. 소비자들이 최종 생산물을 구입하고 이용하는 것이 ‘소비’입니다.전자제품 회사가 생산한 노트북을 소비자들만 구입해 소비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회사들이 업무를 하기 위해서도 노트북을 구입합니다. 가구회사가 생산한 책상이나 의자 역시 소비자가 집에서 쓰기 위해 구입할 뿐 아니라 다른 회사가 사무실을 꾸리고 생산활동을 하는 데 쓰려고 구입합니다. 이처럼 기업이 생산활동을 하려면 다른 기업이 생산한 상품을 구입하게 되는데 이것을 ‘투자’라고 부릅니다. 노트북을 상품으로 구입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소비자가 자신의 효용을 늘리기 위해 구입하면 소비이고 기업이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해 구입하면 투자라고 구분해 부르는 것입니다.또 정부가 행정 업무를 하기 위해 기업이 생산한 최종 생산물을 구입하기도 합니다. 정부도 노트북이나 책상을 구입합니다. 정부가 거리를 청소하기 위해 구입하는 청소차나 도로 건설 및 공공 투자를 하기 위해 구입하는 온갖 자재는 모두 기업이 생산한 것들입니다. 이처럼 정부가 기업이 생산한 상품을 구입하는 것

  • 경제 기타

    (26) 물가가 오르면 누가 유리해지고 불리해질까?

    소득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가가 오르면 사람들의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그런데 물가는 참 고약합니다. 물가가 모든 사람에게 골고루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차별하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를 때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는 사람이 있다는 뜻입니다. 어떤 사람이 이득을 볼까요? 반대로 어떤 사람이 피해를 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연금생활자·직장인 등은 불리해져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물가가 계속해서 내리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하게 발생하면 물가가 많이 올라 돈의 가치가 하락하므로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특히 정해진 월급을 받는 근로자, 연금을 받는 노인, 이자를 받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타격을 심하게 받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하면 은행에 예금한 돈의 가치도 떨어지므로 사람들은 저축을 꺼리게 되고 기업의 투자도 위축돼 경제 성장에 나쁜 영향을 줍니다.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문제점은 이것이 다가 아닙니다.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어떤 집단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져서 사회구성원 사이에 빈부 격차를 확대하거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 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돈을 빌려준 사람과 돈을 빌린 사람을 생각해 볼까요. 어떤 사람이 가구를 사려고 100만원을 모았는데 갑자기 친구가 돈을 빌려달라고 합니다. 가구 사는 것보다는 친구 사정이 급하므로 기꺼이 친구에게 100만원을 빌려주었습니다.친구는 1년 후에 원금 100만원에 이자 5만원을 얹어 갚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났습니다. 친구는 약속대로 105만원을 돌려주었습니다. 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