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탄력성(上) 75% 장악 독점아니라고?
경제학에서 탄력성의 개념은 한 경제변수의 변화가 다른 경제변수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측정하는데 쓰인다. 굳이 패러독스라고 할 것까지야 없지만,탄력성과 관련한 재미있는 내용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탄력성을 구하는 공식을 살펴보자.탄력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공식은 얼핏 보기에 좀 복잡해 보인다. 공식을 외워도 가격이 분모에 들어가는지 분자에 들어가는지 헛갈리게 마련이다. 공식을 외우지 말고 개념을 정리해 두면 언제든 공식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짱' 전성시대
"앞으로는 '탈레반'이라 말고 '개혁짱'으로 불러주시기 바랍니다." 지난해 초 모당의 S의원이 기자들에게 특별한 주문을 했다. 자신의 강성 개혁 이미지 때문에 세간에 '탈레반'이란 별명이 따라붙자 "탈레반은 너무 과격하고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며 이미지 관리에 나선 것이다. 맞짱,노짱(盧-),얼짱,몸짱,안짱(安-),개혁짱,강짱(强-)….바야흐로 '짱'전성시대다. 어지간한 명사 뒤에 갖다 붙이면 새로운 말이 탄생한다. 생산성이 매우 뛰...
-
학습 길잡이 기타
22. 단락의 전개방식 - 유형 응용
자연과 벗하여 책을 읽기가 좋은 계절이다. 이번 호에서는 '문학으로의 초대'라고 할 수 있는 글을 골랐다. 이 글은 영문 에세이의 전형적인 구조에 따라 쓰인 짧고 쉬운 비평이다. 불운한 천재 시인이자 소설가 Edgar Allan Poe의 특징에 관한 글로,단락별로 '서론-본론-결론'이 짜임새 있게 전개되어 있다. 이 지면을 통해 Poe의 표현 특징을 알아보고 여러분 스스로 'The Tell-Tale Heart'를 찾아 읽게 된다면 이 칼...
-
학습 길잡이 기타
상대를 못믿으니 이익이 줄어들지?
경제학 이론의 복잡한 것들 가운데 하나가 게임 이론이다. 게임 이론은 포커와 같은 게임에서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임하는가에 따라 보수가 달라진다는 데 착안해 경제학에 응용한 이론이다.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이 있는 선택을 하도록 함으로써 보수를 최대화하려는 경제적 행위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게임 이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른바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라는 것이다. 먼저 죄수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볼짱 다 봤다고?
"이제 볼짱 다 봤다." "아직 볼 장 다 봤다고 할 수는 없지." "그럴 바에야 차라리 맞장 뜰까?" "에이~,맞짱 뜰 필요까지야…." "언제까지 팔장만 끼고 볼 수는 없잖아." "누가 팔짱만 끼고 있겠대?" 우리말을 할 때 불필요하게 된소리 발음을 많이 한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강소주'를 '깡쏘주'라고 한다거나 '거꾸로'를 '꺼꾸로'라고 말하는 습관이 그런 것들이다. 그러다 보니 종종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게 맞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21. 단락의 전개방식 - 원인과 결과형
이번 호에서 다룰 문장은 Newsweek International의 온라인 기사에서 발췌한 것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지위에 관한 글이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글로서,'원인과 결과형(Cause and effect)'의 전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형적인 원인과 결과형(Cause and effect)의 글에서는 둘 이상의 사건이 원인 또는 결과의 관계를 갖는다. 그런데 원인과 결과가...
-
학습 길잡이 기타
경기가 좋아졌는데 실업률은 여전?
경제학 용어 가운데에는 자연과학에서 차용한 것들이 많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탄력성 개념이다. 물리학에 나오는 탄성의 개념을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한 개념인 것은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다. 또 다른 예 가운데 하나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이다. 히스테리시스란 이력(履歷)현상이라는 조금 어려운 한자말로 번역되는 용어로,사전적 의미는 어떤 물리량(物理量)이 그때의 물리조...
-
학습 길잡이 기타
짧고 쉬운 문장이 최고?
올해 노벨 문학상은 영국의 극작가 해럴드 핀터에게 돌아갔다. 한국의 원로시인 고은 선생도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으나 아쉽게 다음 기회로 넘기게 됐다. 195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쉬운 글'로 영어 산문에 일대 혁신을 가져왔다고 평가받는 작가다. 과다한 수식을 배제한 채 간결하고 평이하게 서술하는,이른바 '헤밍웨이 문체'는 오랫동안 글쓰기의 본보기가 돼왔다. 특히 신문기자들에게는 수습시절 귀에 못이 박일 정도로 듣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