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세금은 경기 변동 안정장치 되나?

    세상사가 다 그렇듯이 경기 또한 과부족(過不足) 모두 좋지 못하다. 경기가 과열되면 물가가 불안해지고,침체되면 일자리가 줄어든다. 거시경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과 실업이 모두 경기 탓이다. 그래서 정책담당자들은 경기변동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과거 경기변동에 관한 경제학적 논의는 주로 경기변동의 주기와 원인에 대한 것이었다. 주창자의 이름을 붙인 장기파동과 단기파동에 관한 이론들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최근 ...

  • 학습 길잡이 기타

    25. 단락의 전개방식 - 복합 구성

    이번 회에 소개할 글은 올해 일어난 런던 테러 사건의 범인에 관한 글이다. 그 동안 배운 Reading Skills를 적용하면 단락의 전개 방식 및 대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1. 각 단락의 주제와 글 전체에서의 역할을 쓰시오. 2. Generation Jihad의 의미를 쓰시오. --------------------------------------------------------------------- Generation ...

  • 학습 길잡이 기타

    24.단락의 전개방식 - 복합 구성

    이번 호부터는 그동안 배웠던 전개 방식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글들을 살펴보자.지난 회에서 다루었던 전개 방식(Myth & Criticism, Problem & Solution, Question & Answer)이 복합적으로 쓰인 글을 골라봤다. 이 글을 공부한 뒤에는 생글생글에 게재된 'Reading Skills'칼럼들을 찾아 '단락의 전개 방식'전체를 복습하기 바란다. 배우는 것(學)보다 중요한 것은 익히는 것(習)이다. 계속되는 복습을...

  • 학습 길잡이 기타

    맞장을 지나 맞짱이 되기까지

    '-짱'은 '-테크'(재테크,시(時)테크,세(稅)테크 등)나 '-풍'(북풍,총풍,세풍,병풍 등)과 같은 조어들과 함께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말 어휘수를 늘리는 데 일익을 담당해 왔다. '-짱'의 쓰임새는 세부적으로는 단어 구조와 의미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선 '노짱/안짱'처럼 이름 밑에 쓰이는 경우.이 때 의미는 일본말에서 유아들이 이름 밑에 붙여 애칭으로 쓰는 '-짱'의 경우와 닮았다. 그러나 '몸짱/얼짱' 등의 경우는 어떤 명사에...

  • 학습 길잡이 기타

    탄력성(下) 대신 쓸 상품이 있는데…

    지난 호에서는 탄력성의 개념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에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자.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첫 번째 요인은 대체재의 존재 여부다. 대체재가 존재한다면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가 커질 수밖에 없다. 대체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량 변화가 커진다. 즉 탄력성이 커지는 것이다. 버터와 마가린은 대체성이 높은 상품의 전형적인 사례다. 버터의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사람들...

  • 학습 길잡이 기타

    23.단락의 전개방식

    단락에서 사용된 전개 방식을 알아보자.위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글 모두 통념,질문,문제 등을 먼저 제시하고 '통념에 대한 비판','질문에 대한 대답','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일반론적인 것을 먼저 제시하고 그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는 구성이므로 비판,대답,해결책에 해당하는 부분이 각 단락의 주제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시 사항에 따라 각 단락을 먼저 읽어보자. 1.각 단락의 주제문을 찾아라. 2....

  • 학습 길잡이 기타

    탄력성(上) 75% 장악 독점아니라고?

    경제학에서 탄력성의 개념은 한 경제변수의 변화가 다른 경제변수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측정하는데 쓰인다. 굳이 패러독스라고 할 것까지야 없지만,탄력성과 관련한 재미있는 내용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탄력성을 구하는 공식을 살펴보자.탄력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공식은 얼핏 보기에 좀 복잡해 보인다. 공식을 외워도 가격이 분모에 들어가는지 분자에 들어가는지 헛갈리게 마련이다. 공식을 외우지 말고 개념을 정리해 두면 언제든 공식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짱' 전성시대

    "앞으로는 '탈레반'이라 말고 '개혁짱'으로 불러주시기 바랍니다." 지난해 초 모당의 S의원이 기자들에게 특별한 주문을 했다. 자신의 강성 개혁 이미지 때문에 세간에 '탈레반'이란 별명이 따라붙자 "탈레반은 너무 과격하고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며 이미지 관리에 나선 것이다. 맞짱,노짱(盧-),얼짱,몸짱,안짱(安-),개혁짱,강짱(强-)….바야흐로 '짱'전성시대다. 어지간한 명사 뒤에 갖다 붙이면 새로운 말이 탄생한다. 생산성이 매우 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