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2. 바람직한 어휘 학습법 개요 (2)
지난 호에 이어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8가지 방법의 나머지 부분을 소개한다. 3.Stems and Affixes 어근을 통한 어휘 학습은 해롤드 레빈(Harold Levine)이 쓴 'Vocabulary 22000' 이후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이 방법은 어휘의 기원이나 변천 등을 분석하여 과학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뛰어나다. 예를 들어 책에서 'embellishment'라는 단어를 발견했다고 하자. 쉽...
-
학습 길잡이 기타
경제를 알기위해 '실험실'에 들어가 보자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처한 현실은 과거로부터의 연속선 상에서 어떤 과정의 반복과 진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서는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먼저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또한 무엇인가 교훈을 얻어 미래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경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오늘 우리가 처한 경제적 현실을 제대로 파악해야 올바른 방향으로 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 경제현실을 제대로...
-
학습 길잡이 기타
소천-입적-선종
'어윤배 전 숭실대 총장이 소천받았다.'(2002년 10월28일) '덕명 스님이 입적했다.'(2003년 12월3일) '교황께서 선종했다.'(2005년 4월3일) '소천 입적 열반 선종….' 모두 죽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 외에도 '사망 별세 타계 서거 운명 비명 붕어 승하' 등 우리말에는 죽음을 나타내는 말이 많다. 고유어로는 '죽다'에서부터 '숨지다,돌아가시다,세상을 뜨다,숨을 거두다' 등 다양하게 표현된다. 뜻은 모두 한가지지만 각각...
-
학습 길잡이 기타
1. 바람직한 어휘 학습법 개요 (1)
영어를 강의하는 필자가 사람들을 만날 때 가장 많이 접하는 질문은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나요?"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막연하게 "가능한 한 영어를 많이 접할 기회를 갖고,많이 읽고,많이 들어보라"는 식으로 답변하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본다. 질문을 한 당사자는 나름대로 매우 절박한 상태에서 전문가의 조언을 얻고자 한 것이고,나는 전문가에 걸맞은 구체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시해 줄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와사등' 이란 말 아세요
낭만,독일,와사등,아관파천,보불전쟁,영란은행….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취음어(取音語)다. 이들 중 안 써도 될 말은? 와사등과 영란은행이다. 아관파천(俄館播遷)은 개화기 러시아와 일본의 각축 속에 고종과 세자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 거처한 비극적 사건을 말한다. 여기서 '아관'은 '아라사공관'을 뜻한다. 아라사(俄羅斯)는 러시아를 가리키는 말로,줄여서 아국(俄國)이라고도 했다. 또 이를 로서아(露西亞)라고도 했다. 이런 표...
-
학습 길잡이 기타
기업 인수해 놓고 보니 '빈껍데기'
현실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어떻게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미시경제학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는 정보경제학이다. 앞에서 우리는 역선택이라든가 도덕적 해이 등의 문제가 정보의 불균형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현상임을 배웠다.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경매도 정보의 불완전성 때문에 가능한,정보경제학의 중요한 연구대상 분야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경매는 경매대상이 되는 물건의 가치가 골동품이나 그림과 ...
-
학습 길잡이 기타
32. 명연설 읽기④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1975년 4월4일 "모든 책상과 가정에 컴퓨터를"이라는 비전 아래 윌리엄 H.게이츠 3세(빌 게이츠)와 폴 G. 앨런(Paul G.Allen)에 의해 공동 설립됐다. 1981년 6월25일 주식회사로 탈바꿈한 후 2002년 매출액이 280억달러에 달하는 독점적인 회사로 성장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장 독점은 국내 역시 예외가 아니다. 우리나라에 초창기 PC가 보급된 이래 지금까지 거의 모든 PC에서 마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속담도 바뀌어 간다
'새우싸움에 고래등 터진다''얌전한 개 부뚜막에 먼저 오른다'…. 글쓰기에서 속담이나 격언을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수사적 영역에 속한다. 수사적 기법은 적절히만 사용하면 글의 흐름에 '긴장'을 불어넣음으로써 시적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낯익은 속담이나 격언들 가운데 들여다보면 조금씩 변형돼 쓰이는 것들이 있다. 속담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령 '고래싸움에 새우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