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경제 기타
시장 독점이 나쁜데도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는 공급자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를 ‘독점(Monopoly)’이라고 한다. 즉, 독점시장은 공급자 간 경쟁이 나타나지 않는 시장으로, 이로 인해 생산량의 조절이 가능해 독점시장의 산출물은 경쟁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 또한 비싼 경우가 많다. 각국이 독점의 폐해를 규제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독점금지법을 운용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점은 여전히 시장에 존재하고 있다.전력(전기)의 수송·분배·판매는 한국전력에서 단독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경쟁이 일상이 되어버린 오늘날에도 독점이 시장에 존재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첫째, 정부가 특정 상품의 생산과 판매 권한을 특정 주체에게 부여하는 경우 독점이 발생한다. 과거 담배인삼공사가 담배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여러 기업이 경쟁할 때보다 하나의 기업이 상품을 생산할 때 더 효율적인 경우 자연스레 독점이 나타난다. 전력산업은 초기에 전국 곳곳에 전봇대를 설치하고 전선과 케이블을 깔아야 하는 등 막대한 투자가 요구된다. 하지만 일단 생산시설을 구축해 놓으면 이후 전력 생산에 드는 비용이 점점 낮아지는 ‘규모의 경제’가 나타난다.이러한 규모의 경제는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신규기업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전력시장의 독점을 불러오게 된다. 셋째, 특정 주체가 특정 상품에 대한 특허나 저작권을 획득했을 때 독점이 발생한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가 특허로 인한 독점의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특정 주체가
-
학습 길잡이 기타
경첩·가금·복마전…우리말을 알아야 영어도 잘한다
hinge는 ‘경첩’이란 뜻인데, 경첩은 ‘문짝과 문틀을 연결하는 철물’로, ‘hinge on’은 ‘~에 달려 있다’는 뜻이에요. hinge가 없으면 문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니, 접촉전치사 on과 함께 쓰여 ‘~에 따라 결정하다’라는 뜻이 된 것이죠.^^수업을 하다 보면 학생들이 한자어로 된 단어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 학생이 어려워하는 한자 표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범죄의 온상’은 영어로는 hotbed of crime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hotbed가 ‘온상’이란 단어로 번역된 것이지요. 그런데 온상(溫床)이란 표현은 원래 ‘인공적으로 따뜻하게 하여 식물을 기르는 설비’를 이르는 말이랍니다. 하지만 요즘은 주로 ‘어떤 현상이나 사상, 세력 따위가 자라나는 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으로 더 자주 사용되지요. 그래서 hotbed of crime은 ‘범죄의 소굴’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박차를 가하다’는 표현도 학생들이 생소하게 여기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박차’는 ‘말을 탈 때 신는 구두의 뒤축에 달려 있는 물건으로, 톱니바퀴 모양의 쇠로 만들어 말의 배를 차서 빨리 달리게 하는 용도로 사용한답니다. 영어로는 spur이라고 하는데, ‘가하다’라는 말이 더할 ‘가(加)’를 쓰는 것처럼 영어에서도 give나 put이라는 동사와 주로 함께 쓴답니다. 물론 spur a person to action(남을 격려해서 행동케 하다)처럼 spur 자체를 동사로 쓸 수도 있답니다. 참고로 영국 프리미어리그에서 뛰고 있는 손흥민 선수가 속한 팀 이름도 ‘TOTTENHAM HOT SPUR’랍니다.예전 칼럼
-
학습 길잡이 기타
군자는 항상 후함으로 잘못되고, 소인은 항상 박함으로 잃는다. - 근사록-
▶ 《근사록(近思錄)》 ‘경계(警戒)’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이천 선생이 말했다. “사람의 과실은 각각 그 부류에 따르니,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에서 공자가 말했다. ‘사람의 과실은 각기 그 종류대로 하니, 과실을 보면 인(仁)을 알 수 있다.’ 군자는 항상 후함으로 잘못되고, 소인은 항상 박함으로 잃으며, 군자는 사랑에 지나치고 소인은 잔인함에 상한다. 군자와 소인의 구분은 어짊과 어질지 못함에 있을 따름이다. 그러므로 어진 사람의 허물은 항상 후함과 사랑에 있고, 어질지 못한 사람의 허물은 항상 박함과 잔인함에 있느니라.”대부분 좋은 사람은 잘못이 없고, 나쁜 사람만 잘못을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근사록은 ‘좋은 사람은 너무 너그럽고 사랑하여, 나쁜 사람은 지나치게 인정 없고 잔인하여 잘못을 저지른다’고 말한다. 잘못을 저지른다는 것은 단순한 인성 문제가 아니다. 사람과 상황에 대한 대처가 적절하였느냐, 그렇지 않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한마디 속 한자 - 薄(박) 엷다, 적다, 박하다▷ 각박(刻薄): 인정이 없고 삭막함.▷ 여리박빙(如履薄氷):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경제 기타
우리나라가 급격한 고령화를 맞이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체크 포인트우리나라는 단기간에 이룬 비약적인 경제성장으로 생활환경이 급격히 개선됐고,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평균 기대수명 또한 매우 짧은 기간 안에 증가해 다른 국가에 비해 빠르게 고령화사회를 맞이하게 됐어요.언제부턴가 우리나라의 고령화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고령화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의 인구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나 그런 상태를 말한다. 보통 사회가 선진화됨에 따라 사망률이 저하되고 평균수명이 증가하며 고령자 비율이 높아진다. 단편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삶의 질이 높아지고 평균수명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상황이기에 이런 현상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인지 의아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인구 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경제적 영역에서 살펴본다면 고령화 현상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총인구에서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높다는 것을 달리 말하자면, 노동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젊은 층의 생산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어졌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변화는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또한 노인층 증가는 사회적으로 노인부양 부담을 늘린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비율은 증가하는 한편 출산율은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15~64세에 해당하는 생산가능인구가 유년인구에 대해 부담해야 하는 정도는 줄어들고 있지만 노인층에 대한 부양 부담은 늘어나고 있다.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노인인구 비율인 노년부양비를 살펴보면 1960년 5.3%에서 2000년 10.1%, 2010년 15.2%로 증가했으며, 2020년 21.8%, 2050년 72.6%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
학습 길잡이 기타
You light up my life 내 삶에 빛이 되는 영어 표현들
빛은 영어로 light라고 하죠. 하지만 이 단어에 ‘가벼운’이란 뜻도 있어요. a light cargo는 ‘가벼운 짐’, a light joke는 ‘가벼운 농담’, light beer는 ‘순한 맥주’, light bread는 ‘말랑말랑한 빵이 되죠.^^so many nights I’d sit by my window waiting for someone to sing me his song수없이 많은 날을 창가에서 홀로 내게 노래를 불러줄 누군가를 기다렸죠.so many dreams I kept deep inside me alone in the dark but now you’re come along수없이 많은 꿈을 내 안에 숨긴 채 어둠속에 홀로 있었지만, 이젠 당신이 와줬어요.And you light up my life you give me hope to carry on당신은 내 삶의 빛이 되어주고 살아갈 희망을 심어주었죠.you light up my days and fill my nights with song당신은 내 길을 비춰주고 희망의 노래로 나의 밤들을 채워주었어요.들으면 들을수록 힘이 나는 위 영어 표현은 ‘Debby Boone’의 명곡 [You light up my life]의 가사입니다. 살다보면 정말 어둡고 힘들 때도 있고, 또 밝고 즐거운 날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빛과 어둠’에 관련된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다들 아시는 것처럼, 빛은 영어로 light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단어에 ‘가벼운’이란 뜻이 있는 것도 아시지요. 그래서 a light cargo는 ‘가벼운 짐’, a light joke는 ‘가벼운 농담’, light beer는 ‘순한 맥주’, light bread는 ‘말랑말랑한 빵, 그리고 light conducts는 ‘경솔한 행동’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답니다.그런데 지금은 잘 쓰이지 않지만, light가 ‘내리다’라는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light down from a horse는 ‘말에서 내리다’라는 표현이 된답니다. 방금 말씀드렸듯이 ‘내
-
학습 길잡이 기타
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 아니오, 부유함과 귀함은 돈에 달려있다. - 전신론 -
▶ 진(晉)나라 노포의 전신론(錢神論)에 이러한 말이 나온다.자하가 “死生有命,富貴在天(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오, 부유함과 귀함은 하늘에 달려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死生無命,富貴在錢(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 아니오, 부유함과 귀함은 돈에 달려있다.)”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돈은 화가 복이 되게 하고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고, 위태로움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죽은 자도 살아나게 합니다. 수명의 길고 짧음과 복록의 귀하고 천함이 모두 돈에 달려 있으니 하늘이 무엇을 관여할까요? 하늘이 부족한 것을 돈이 하기도 합니다.노포는 뇌물과 불법이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돈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자 ‘전신론’을 지었다. 돈은 분명 개인이나 국가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다. 그러니 옛날처럼 무조건 돈을 멀리하는 삶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 어려서부터 올바른 경제관념을 갖도록 가르쳐줘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현실감각이 떨어지는 사람이 되지 않고, 돈만 있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고 신앙처럼 믿는 사람도 되지 않는다. 우리는 분명 돈으로 해결하지 말아야 할 것을 어려서부터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한마디 속 한자 - 錢(전) 돈, 값, 비용▷ 동전(銅錢): 1. 구리로 만든 돈. 2. 동그랗게 생긴 모든 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다전선고(多錢善賈): 밑천이 넉넉하면 장사를 잘할 수 있음.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
경제 기타
부동산 투자와 주식 투자는 뭐가 다를까요
■ 체크 포인트사람들에게 부동산 투자는 단순히 재테크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요. 부동산은 많은 사람들에게 단순히 재산 축적을 위한 투자 대상을 넘어 심리적인 안식처이자 사회적 신분의 상징물이기 때문이죠.‘주식’과 ‘부동산’은 가장 대표적인 재테크 수단이다. 그러나 우리가 두 투자대상을 바라보는 감성은 전혀 다르다. 주식투자를 한다고 하면 위험하다고 걱정을 하지만, 이에 반해 부동산은 일종의 로망(Roman)이다. 무리하게 은행 대출을 끼고 집을 구입한 사람에게는 투기라는 단어를 들이대기보다는 내 집 장만의 꿈을 실현한 사람으로 칭송한다. 은퇴한 사람이 퇴직금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했다면 다들 걱정하지만, 퇴직금과 은행 대출을 합쳐 집을 장만했다면 집이라도 있어야 든든하다고 격려한다. 신입사원이 재테크로 주식투자를 시작했다면 다들 걱정하지만 부동산 청약통장을 개설했다면 다들 성실한 친구로 여긴다. 이러한 인식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비슷하다.그렇다면 주식과 부동산에 대해 이렇게 상이한 태도를 갖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실제 주식은 부동산에 비해 수익률은 훨씬 떨어지면서 변동성만 높기 때문에 이 같은 평가를 받는 것일까? 하버드대학교 경제사학자인 니얼 퍼거슨(Niall Ferguson) 교수는, 10만 달러를 1987년부터 2007년까지 20년 동안 미국의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투자했을 때 어떠한 수익률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부동산 시장의 경우에는 10만달러의 투자 금액이 27만 5,000달러에서 29만 9,000달러 수준으로 대략 2.5배~3배 정도 상승하였다.이에 반해 주식시장에 같은 기간 동안 10만 달러
-
학습 길잡이 기타
Secret English 누구나 비밀은 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비밀은 secret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비밀도 등급이 있어 3급 비밀은 Confidential, 2급 비밀은secret, 1급 비밀은 Top Secret이라고 한답니다.Got a secret 비밀이 있어Can you keep it? 이걸 지킬 수 있겠니?Swear this one you’ll save 비밀을 지키겠다고 맹세해Better lock it, in your pocket 주머니 속에 잘 간직하고Taking this one to the grave 무덤까지 가져가는 거야If I show you 알아, 네게 보여주면then I know you Won’t tell what I said 내가 한 말을 전하지 않을 거란 걸Cause two can keep a secret 둘이서도 비밀을 지킬 수 있으니까If one of them is dead 한 명이 죽으면 말야.살벌한 내용들로 가득한 위 표현은 미국 드라마 [pretty little liars]의 주제가입니다. 살면서 누구나 숨기고 싶은 비밀이 하나씩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다들 아시는 것처럼 비밀은 secret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비밀도 등급이 있어 3급 비밀은 Confidential, 2급 비밀은 Secret, 그리고 1급 비밀은 Top Secret이라고 한답니다.그런데 confidential은 방금 말씀드린 것처럼 ‘비밀의’라는 뜻이지만 confident는 ‘자신 있는, 확신하는’이란 뜻을 가진 형용사랍니다. 둘 다 동사 confide에서 파생된 단어인데 confide (in)가 ‘(누군가를 믿고) 비밀을 털어놓다’ 혹은 ‘신뢰하다’의 뜻을 가졌기 때문이랍니다.그리고 보통 장관을 Minister라고 하지만 미국에서는 Secretary라고 한답니다. 그런데 secretary는 ‘비서’ 아닌가요? 원래 이 단어는 secret(비밀)+ary(…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에서 나온 말로, 함께 비밀을 공유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