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역사 왜곡 '한류' 드라마, 태풍되어 돌아올 수 있어요

    이제 한국의 역사 드라마라고 해서 한국에 있는 텔레비전으로만 볼 수 있다는 생각은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많게는 세계 60여개국에서 한국 드라마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에 우리나라에 방영된 <대장금>은 다른 사극과는 달리 아시아를 넘어 가나 나이지리아 케냐를 비롯해 중동과 남미에서도 방송되었다. 이제는 스페인과 헝가리까지 더빙판으로 방송되고 있다. 이러한 인기의 바탕에는 훌륭한 플롯을 바탕으로 한 배우들의 연기도...

  • 경제 기타

    학생들이 만드는「EㆍT」…경제공부 참 재미있네!

    부산 국제외국어고등학교의 교내 경제 동아리 '경제탐험대'(지도교사 박세현)는 재미있는 경제 공부를 위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경제 매거진 「E · T」(Economic Thinking)를 매월 발행한다. 2001년 창단한 경제탐험대에서 2007년 1월에 창간호를 발행한 이래로 2011년 2월 통권 50호를 발행한 지금까지 꾸준히 교내 학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E · T」는 지난 한 달간의 이슈가 되는 신문 기사들을 학교 학생기자들이 ...

  • 경제 기타

    공정성과 객관성을 상실하고 있는 언론매체

    언론이란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어떤 사실을 밝히거나 어떤 문제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을 말한다. 취재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언론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또한 전달된 정보를 통하여 건전한 여론 형성 및 정치적 권력을 견제하도록 하는 것이 언론의 기능이기도 하다. 정보화 시대에 이르러 언론 매체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나 인터넷 등을 통해 사람들이 쉽고 빠르게 기사를 접할 수 있...

  • 커버스토리

    '정의란 무엇인가'에 숨은 오류들

    EBS가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의 정의론 강의를 고정적으로 편성해 방영하고,그의 저서인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수십만권이나 불티나게 팔리고 있는 현상은 인기라는 수식어를 넘어 열풍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역시 논술시험의 힘이다. 그러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도전적 제목의 이 책은 매우 조심스럽게 읽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어서 적지 않은 주의도 요구된다. 초심자들에게는 샌델이 제시하는 기준들이 유일하고도 정당한 기준들로...

  • 경제 기타

    올 대입 수능 '꼬인 문제' 확 줄인다

    교과부 'EBS 연계 강화방안'…영역별 만점자 비율 1% 유지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비교적 쉬웠다는 평가를 받는 2010학년도 수능(2009년 실시)보다 더 쉽게 출제될 전망이다. 수능과 EBS교재의 실질적인 체감 연계율이 강화되고 45권에 달하는 언어·수리·외국어(영어) 교재는 24권으로 줄어든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방송공사(EBS)는 1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수능·EBS 연계강화 방안...

  • 경제 기타

    사교육비 감소…1인당 24만원 지출 등

    ⊙ 사교육비 감소…1인당 24만원 지출 지난해 우리나라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 규모가 20조8718억원으로 전년(21조6259억원)보다 7541억원(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 평균 사교육비는 24만2000원에서 24만원으로 2000원(0.8%) 줄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통계청은 15일 전국 1012개 초·중·고교 학부모 4만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 커버스토리

    공리주의·신자유주의적 접근이 틀리다면…그럼, 샌델이 말하는 해법은 무엇이지?

    샌델이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제기한 도덕철학의 갈등 문제군에 대한 반론들을 한번 살펴보자. 샌델은 이 책에서 다양한 현실의 사례들을 예로 들어 우리들에게 흥미만점의 논리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철학하는 재미를 가르쳐주고 깊이있는 논변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의 책은 누구라도 한번은 읽어봄직 하다. 그러나 문제는 샌델류의 도덕철학이 현실 문제에 있어 그 어떤 구체적 해법도 제시하기 어렵다는데 있다. 공론(空論)이거나 허공에 뜬 논리로 되고 ...

  • 커버스토리

    우연적 여건에 의한 부당한 불평등?

    미모나 두뇌도 우연의 결과 아닌가. ◆ 질문 5. 로마의 콜로세움과 고문 “콜로세움에서 사자에게 물어뜯기는 사람들을 보고 로마 사람들이 쾌락을 느끼는 것을 보고 쾌락을 중시하는 공리주의자들은 무엇이라 답할 것인지”를 샌델은 공박하고 있다. 또 테러리스트가 폭탄을 설치한 곳을 자백하도록 만들기 위해 고문을 해도 좋은 것인가 라는 질문도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묻고 있다. 공리주의는 전체의 쾌락을 중시하기 때문에 기독교 신자 등을 사자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