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앗! 이번엔 '슈퍼 박테리아'… 지구촌 불확실성의 공포
2009년 9월 외국의 한 업체가 만든 귀체온계 가격이 3배로 뛰었다. 한 달 전엔 5만원 정도에 살 수 있었던 것이 18만원이 됐다. 온라인 가격비교 사이트인 다나와에서 이 제품은 최저 가격이 15만8400원이었다. 왜 그랬을까.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신종플루) 때문이었다. 기존 약물이 듣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호흡기 질환이었다. 신종플루가 발생했던 2009년 4월부터 국내에선 신종플루로 인해 25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신...
-
경제 기타
경기 변동과 튤립
지난 40여 년간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추세선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물론 1970년대의 석유파동부터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르기까지 성장이 주춤했거나 떨어진 적도 있었지만,실질 GDP 추세선이 우상향한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질 GDP 추세선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직선이 아닌 상승과 하락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구불구불한 모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생...
-
경제 기타
(15) 기근과 풍요의 반복
新농업 덕에 풍요?… 오히려 대기근 불렀다 경작지 늘어도 地力약해져 1인 생산 급감 '죽음의 공포' 지나자 다시 풍요의 시간이 과거에는 음식이 풍족하던 시기보다 굶주림에 시달리던 시기가 훨씬 많았다. 인류의 역사는 차라리 기근의 연속에 가까웠다. 보나시라는 중세사 연구자에 의하면 750년부터 1100년 사이에 유럽 대륙 전체에 기근이 들었던 시기가 29차례라고 하니,대략 12년마다 한 번꼴로 대기근을 겪었던 셈이다. 유럽 문헌 가운데...
-
경제 기타
(7) 공동체의 원동력
세금과 공동체는 행복의 동반자 공평과세로 세금편견 불식시켜야 아리스토텔레스는 일찍이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다. 인간은 개체적 존재이면서도 관계적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 공동체를 떠나서 살 수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인간은 개인의 자유와 더불어 자신이 속한 이웃,사회,국가 등을 매우 소중히 여기면서 이들 공동체의 번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한다. 이때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바로 세금이다. 세금이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기 ...
-
경제 기타
대검 중수부 폐지해야 할까요.
찬 "권력의 시녀 자처한 중수부는 폐지하는 게 마땅" 반 "정치권 비리 파헤치자 국회가 서둘러 없애려한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를 폐지할 것인지를 놓고 정치권은 물론 검찰 등 법조계에서도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국회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 검찰관계법소위원회가 최근 중수부의 수사기능 폐지 방안에 대해 합의하자 검찰은 저축은행 수사를 잠정 중단하는 등 크게 반발했다. 정치권은 사분오열 상태다. 여야의 입장차이가 있는데다 여당인 한나...
-
교양 기타
(3) 나쓰메 소세키 [한눈팔기]
거기엔 꽃이 있을지도… 어쩌면 이 고백은 하지 않는 편이 나을까요. 그러나 하지 않고서는,개인적으로 나쓰메 소세키에 관해 말하기 어렵습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나를 소설가의 길로 이끈 소수의 작가들 중 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헌책방의 순례자였던 학창시절부터,그의 책들을 읽어왔습니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나쓰메 소세키의 책들을 만나게 된 것은 우연이었을까,운명이었을까 생각해볼 때가 있습니다. 글을 써보고 싶다,소설이라는 것을 써보고 싶다...
-
경제 기타
7기 생글기자 60명 선발…합격 축하 드립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제7기 생글생글 기자로 활동할 고교생 60명을 선발했습니다다. 당초 50명을 선발할 예정이었으나 국내외에서 지원자가 몰려 선발 인원을 60명으로 늘렸습니다. 7기 생글기자들은 7월 16~17일 경기도 오산시 소재의 롯데인재개발원에서 취재및 기사 작성 교육을 받은 뒤 본격적인 기자 활동을 하게 됩니다. 교육을 받지 않으면 생글생글 기자로 활동할 수 없으므로 해외 소재 학생들을 제외한 모든 합격자들은 반드시 오리엔테이션에 참석 ...
-
경제 기타
시위의 재발견…"제퍼슨 씨, 이제 세상이 바뀌었어요!"
미국 민주주의 이론의 대가로서 독립선언서를 기초하였고,제3대 대통령을 지낸 토머스 제퍼슨은 "민주주의의 나무는 애국자와 압제자의 피를 먹고 자란다"는 명언을 남겼다. 우리가 오늘날 당연하게 여기는 민주주의는 무수히 많은 투쟁과 희생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가 환생하여 한국에 오게 된다면 그의 생각이 조금은 바뀔지도 모르겠다. 지금 한국에서는 시위의 패러다임을 뒤바꿀 새로운 시위 문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