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커버스토리
"목표는 주 단위로 짜고 10% 높게 잡아라"
'효과 만점' 여름방학 가이드 여름방학은 수험생들에게는 수능 대비 집중학습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또한 고1, 2 학생들에게는 2학기 선행학습과 기본 실력을 다질 수 있는 적기다. 본인의 취약부분을 면밀히 분석, 치밀하게 계획을 수립하고 철저히 실천한다면 의미 있는 방학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고교생들에게 여름방학은 기회이자 동시에 위기의 한 달이다. 철저히 계획하고 실천해 여름방학을 기회로 만들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고등학생은 학년...
-
커버스토리
더위 식히는 고전의 향기…수능·논술 준비에도 제격
논술에 잘나오는 고전 10선 무더운 여름이다. 푸른 바다와 하얀 모래사장이 펼쳐진 해변으로 달려가 탁 트인 풍광을 만끽하거나 녹음이 짙은 숲속에서 시린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가만히 하늘을 올려다 보고 싶은 계절이다. 그러나 이 더위를 휴가만으로 보내기에는 너무 길다. 몰입의 즐거움 속에 더위도 잊고 평생 나의 삶을 풍부하게 해 줄 양식을 쌓을 방법이 있다. 바로 독서다. 10대에 쌓은 감수성과 지식은 가장 선명하고 오랫동안 남아 인생의 지남철...
-
경제 기타
급등하는 곡물가격…4년전 식량파동 재연되나
글로벌 식량파동 우려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주요 곡창지대인 미국과 러시아 등에서 가뭄 등 기상이변으로 곡물 생산이 차질을 빚으면서 옥수수 밀 등 주요 곡물 가격이 연중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이른 시일 내에 곡물가를 안정시키지 못하면 자칫 곡물 가격이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촉발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agriculture+inflation)뿐 아니라 2007~2008년 제3세계 국가들을 덮쳤던 식량파동이 재연될 수 있다는 전망까...
-
경제 기타
(72) 아시아 최초의 선물 시장, 오사카 거래소
금융시장이 발달한 나라 하면 미국, 영국 등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지만 우리나라 역시 보기 드문 이력을 하나 갖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파생상품 시장에서 거래량 기준으로 세계 1위인 나라이다. 파생상품이란 해당 상품의 가치가 다른 무엇가의 가치에 근거해 결정되는 상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채권이나 외환의 가치가 변화함에 따라 그에 파생해 함께 가치가 변하는 금융상품이 있다면 이 상품은 파생상품으로 분류된다. 원래 미래에 있을 가격 변화에 따르는 ...
-
경제 기타
영혼 울린 '흑인 음악'의 대부…그들의 노래는 지금도 흐른다
마빈 게이 vs 스티비 원더 고통받는 영혼을 달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솔(soul)은 흑인음악으로 널리 알려졌다. 미국 대중음악인 리듬앤드블루스가 연인의 사랑을 중시했다면 솔은 미국 사회의 비리와 흑인의 투쟁정신 등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회 참여 성격이 짙다. 솔 음악이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의 대표적 대중음악의 한 장르로 떠오른 데는 두 사람의 역할이 컸다. '솔 음악의 대부'로 불리는 마빈 게이(Marvin Gaye)와 스티비...
-
경제 기타
서울대, 없애야 할까요
찬 "대학 서열화·학벌 사회 없애려면 불가피" 반 "오히려 일류대학이 더 많이 나오게 해야" 서울대 폐지론이 또다시 등장했다. 이용섭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이 이달 초 “민주당이 집권할 경우 2017년까지 서울대라는 명침을 없애고 전국 주요 국립대학을 서울대 캠퍼스로 만들겠다”고 밝히면서 본격화됐다. 이 정책위의장은 이후 “언론이 앞서 갔다” “지방 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국립대학 연합체제 구축 방안”이라며 한발 물러났지만 서...
-
교양 기타
메도루마 슌 '물방울'
도쿠쇼가 쓰다 이시미네. 나는 오늘 굉장한 것을 썼다. 소설이라는 것을 말이다. 그것도 썩 괜찮은 소설이다. 처음 쓸 무렵에는 이런 굉장한 것이 될 줄은 몰랐다. 구상하게 된 계기도 하찮았다. 습기에 지쳐 창턱에 몸을 의지하고 마당을 내다보며 가려운 발가락 틈을 긁다가 말이다, 동과(冬瓜)가 열린 것을 보았다. 넓은 잎 틈으로 벌써 내 넓적다리만하게 열매가 자라 있었다. 이시미네. 우리가 군인의 신분으로 배고프고 목마른 채로 미군을 피해...
-
경제 기타
지금 필요한 것은 과학PD입니다! 등
지금 필요한 것은 과학PD입니다! 2011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10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부문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연구·개발(R&D) 투자와 창업으로 볼 수 있는 활동부문이 6위로 상당히 높은 등수를 기록한 반면 사회·문화적 환경 부문은 19위로 그 차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 부문에서 물적 환경은 3위를 기록했지만 문화, 지원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