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팍스 유로피아나' 꿈꾸는 유로존

    유로존은 유럽연합(EU)의 단일화폐인 유로화를 국가통화로 도입해 쓰는 나라 또는 지역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1999년 1월1일 유로화가 공식 도입되면서 탄생했다. 유로에이리어(Euroarea) 또는 유로랜드(Euroland)라고도 한다. 유럽중앙은행(ECB)에서 유로존 전체의 금리 조절 및 통화금융정책을 지휘하고 있다. 유로 회원국은 통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독자적으로 펼칠 수가 없다. 옛소련 연방의 하나인 리투아니아가 올해부터 ...

  • 커버스토리

    디폴트 문턱 서성대는 그리스…혹독한 '포퓰리즘 대가'

    인류의 역사에서 그리스는 뿌리가 깊다. 그리스는 동심을 자극하는 신화로 인류의 상상 공간을 무한히 넓혀준 나라, 민주주의라는 정치 체제를 처음으로 도입한 나라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 철학자들이 사유를 펼친 곳이기도 하다. 문화의 뿌리가 깊어 세계인의 발길을 끄는 대표적 관광국가이기도 하다. 그런 그리스가 21세기 들어서는 경제적·정치적 파탄을 상징하는 국가가 됐다.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을 자극하는 정치...

  • 커버스토리

    '민주주의 원조' 그리스는 왜 '함정'에 빠졌나…대리인들의 타락…'공유지의 비극' 합작품

    그리스는 민주주의 국가다. 민주주의는 주권재민 사상을 가졌다. 유권자인 국민이 다수결 방식으로 권력자와 정부를 바꾼다는 의미다. 민주주의가 여러 정치 수단 중 가장 번성하는 이유도 이 같은 평화적 교체의 장점에 있다. 그렇다면 민주주의를 하는 나라는 모두 잘살까? 그렇지는 않다. 많은 나라가 민주주의를 하고 있지만, ‘민주주의=잘사는 나라’는 아니다. 북한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내세우지만 거기에 장자크 루소의 주권재민은...

  • 커버스토리

    경제를 비추는 거울…증시를 보면 경제가 보인다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은 한 나라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다. 한 나라 경제의 생산력과 소비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GDP는 일반적으로 ‘국경 안에서 일정한 기간(보통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부가가치(달러 환산)’로 정의된다. 국가경제의 ‘덩치’가 GDP인 셈이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2014년 한국 GDP는 1조...

  • 커버스토리

    뉴턴과 케인스…누가 주식투자 더 잘했나?

    천재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로 유명하다. 하지만 뉴턴은 주식 투기로 천당과 지옥을 경험했다. 서구 근대 경제사에는 3대 투기 사건이 있다. 바로 튤립 투기, 미시시피회사 투기, 남해회사 투기다. 뉴턴은 영국 남해회사에 주식을 투자했다가 낭패를 봤다. 남해회사는 영국 정부로부터 서인도제도와 남미지역의 무역독점권을 받은 회사다. 신대륙에서 막대한 금은보화를 발견하면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기대심리에 주식 투기 열...

  • 커버스토리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400년 주식시장

    주식시장은 한 치 앞을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계다.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기업 실적, 통화량, 금리, 환율, 원자재 가격, 전쟁, 심리, 정책, 최고경영자, 경쟁, 혁신, 가격, 날씨, 사고 등 수많은 것이 주가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주식은 귀신도 모른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런 속성을 반영한다. 최근 세계 주식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는 뉴스가 많다. 우리나라 증시도 그중 하나라는 보도가 ...

  • 커버스토리

    세계경제의 바로미터 뉴욕증시의 '다우지수'

    세계 경제의 핵심 엔진은 미국이다. 주요 국가들이 미국의 경제지표에 연일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당연히 미국 증시는 세계 증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미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가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증시 지수다. 다우지수는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의 줄임말로 DJIA 또는 Dow로도 불린다. 1884년 월스트리트저널 편집장인 찰스 다우(Chars H Dow)가...

  • 커버스토리

    IPO·PER…용어를 알면 증시가 보인다

    경제용어는 경제원리 이해의 핵심 키워드다. 경제용어를 숙지하면 경제 관련 신문기사를 읽거나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주식시장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용어를 익히면 증시의 이해폭이 훨씬 넓어진다. 증시 관련 주요 용어들을 정리한다. 기업공개·상장·IPO 기업공개는 개인이나 소수에 의해 설립된 회사가 불특정 다수에게 일정 지분을 팔아 소유 지분을 개방하는 것을 일컫는다. 좁은 의미에서 기업공개는 자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