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동성결혼'은 인류의 숙제…2001년 네덜란드서 첫 인정

    동성애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저서 ‘향연’에서 동성애의 범람을 지적했다. 플라톤은 지성인 사이의 동성애를 목격하고는 적잖게 놀란 듯하다. 3000년 전 중국 주(周)나라에서도 동성결혼에 대한 기록이 있다. 중세 스페인과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여왕 때도 동성부부가 사회문제였다. 동성 결혼은 2001년 네덜란드에서 처음 법으로 허용되기까지 인류는 오랫동안 동성애를 놓고 시시비비를 벌...

  • 커버스토리

    미국, 세계 21번째 동성결혼 인정

    지난달 26일 미국 연방대법원이 동성(同性)결혼에 대해 합헌 판결을 내렸다. 그동안 동성결혼을 허용하지 않던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텍사스 등 14개 주를 포함한 미 전역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됐다. 이번 판결로 미국은 네덜란드, 벨기에, 스페인, 캐나다, 남아공, 노르웨이, 뉴질랜드, 포르투갈, 아이슬란드, 아르헨티나, 덴마크, 우루과이, 프랑스, 브라질, 영국, 룩셈부르크 등에 이어 21번째로 동성결혼을 허용한 국가가 됐다. 에스토니아와 핀란...

  • 커버스토리

    '동성결혼'은 신·인간·진화의 충돌…인도주의 확장 vs 자연질서 위배

    1952년 영국 정부는 서구문명이 배출한 ‘천재 중의 천재’ 앨런 튜링을 체포했다. 앨런 튜링은 2차 세계대전 중 영국 암호 해독팀에서 일하면서 독일 나치 잠수함이 교신할 때 쓰던 암호를 해독, 전쟁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디지털 컴퓨터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실용적 버전을 설계한 것도 그였다. 하지만 영국의 영웅은 체포돼 화학적 거세를 당했고, 42살 때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튜링은 당시 영국에선 ...

  • 커버스토리

    동성 부부가 아이 입양하겠다면?

    동성결혼과 관련한 논술 포인트 중 하나는 입양 문제다. 입양과 동성혼 부부를 연계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다. 동성혼 남남 부부나 여여 부부도 자식을 기르고 싶어 입양을 원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국가는 입양을 허용해야 할까.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나라 중 포르투갈을 제외한 나라들은 입양권을 보장한다. 물론 입양할 권리가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입양될 아이의 이익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동성혼 입양을 찬성하는 사람들의 주장은 다른 입양...

  • 커버스토리

    고려대·연세대 경영대 100년 전쟁

    기업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경제주체다. 일정한 자본을 투자해 재화·서비스를 생산하고, 이를 판매해 이익를 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기업은 생산·영리 조직의 특성을 갖는다. 경영학은 그런 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운영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영학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이윤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한다. 인사관리, 생산관리, 재무, 회계, 마케팅 등은 경영학의 주요 분야다. 경영학의 ...

  • 커버스토리

    허창수·조남호·구자열·정의선…오너경영인 많은 고려대

    고려대 경영대학은 오너경영인과 전문경영인을 가장 많이 배출한 ‘CEO의 산실’이다. 경영대 출신 장관급 인사만 10여명에 달할 정도로 정부 인맥도 탄탄하다. 김동원 고려대 경영대학장은 “고려대 경영대학은 경영인맥의 산실이면서도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개척정신을 지속해서 강조하는 대학”이라며 “오너경영인, 전문경영인 구분 없이 모든 경영인의 ‘요람’이 된 배경이 ...

  • 커버스토리

    김창근·김영진·유상호·김경배…전문경영인 요람 연세대

    연세대 경영학과는 경제계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 경영인의 산실이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81학번) 등 오너경영인도 적지 않다. 국내 주요 기업의 경영진에 연세대 경영학과 동문이 대거 포진해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70학번) 역시 경영학과 동문이다. 경영학과 동문의 활약으로 ‘연세대 상대 전성시대’라는 얘기가 나온다. 경영학과 동문은 오는 8월 완공 예정인 경영관 신축에 거액을 쾌척하면서 모교 발전에도 힘을 ...

  • 커버스토리

    행복은 소득의 함수…곳간에서 인심난다

    “옛날이 좋았지”, “옛날이 더 행복했어”라는 말은 오래된 푸념이다. ‘옛날 행복가설’은 30년 전, 50년 전, 100년 전, 수백년 전에도 유행했다. 200여 년 전 애덤 스미스도 “과거가 좋았다는 사람은 머리가 나쁜 사람이다”라고 꾸짖은 것을 보면…. 옛날이 지금보다 정말로 좋았고, 행복했을까? 대답은 물론 “무슨 말씀을&rd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