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 광복 70년…세계가 놀란 '한강의 기적'
[Cover Story] 광복 70주년? 광복 67주년?…왜 헷갈리나
최근 광복절 ‘주년’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서울대 이영훈 교수는 광복 70주년은 틀렸고 광복 67주년이 맞다고 지적한다. 이영훈 교수는 정부문서 등을 조사한 결과 광복절은 1951년과 1952년 사이에 헷갈리기 시작했다. 광복절은 독립기념일부터 말해야 이해가 된다. 대한민국은 총선거 등을 거쳐 1948년 8월15일 독립을 선포했다. 정부는 이듬해인 1949년 8월15일 제1회 독립기념일을 경축했다. 당시 1주년 포스터 공모전이 있었고, 동아일보 등도 1주년을 머릿기사로 보도했다. 1949년 6월 ‘국경일 제정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 회부됐고 독립기념일은 3·1절, 헌법공포기념일(제헌절), 개천절과 함께 4대 국경일이 됐다. 문제는 3개월 뒤인 9월 발생했다. 독립기념일 명칭이 광복절로 변경돼 국회에서 통과된 것이다.

국회의 명칭 변경은 큰 소란없이 이뤄졌다. 그 당시 사람들에게 독립은 광복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1951년 직전까지 제2주년 광복절이라고 제대로 썼던 언론들이 갑자기 3회 광복절을 6회 광복절로 쓰기 시작했다. 광복절의 기원을 대한민국 독립선언일인 1948년이 아닌, 일제에서 해방된 1945년을 기점으로 계산한 것이다. 이후 사람들은 부지불식간에 광복절 주년을 바꿔썼고 지금도 그렇다.

이 교수는 1945년 8월15일 해방 후 3년간 남한은 미군정 하에 있었으며 독립국가가 아니었다고 지적한다. 광복절로 명칭이 바뀌면서 우리는 독립기념일이 없는 나라가 됐다. 해방의 기쁨이 독립의 기쁨을 압도해버린 셈이다.

정희형 한국경제신문 인턴기자 horse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