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대학·취업문 여는 열쇠 '한경 테샛'
테샛은 ‘Test of Economic Sense And Thinking’의 약자로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이다. 한국경제신문이 국내의 저명한 경제·경영학 교수들과 함께 2008년 11월 개발한 시험이다. 기업들의 채용·승진 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국민들의 경제지력(Economic Literacy)과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취지다. 국민들의 전반적인 경제지력 향상이 국가 ...
-
커버스토리
논술대회 이어 NIE·경제캠프까지…중·고생 매회 수백명 참가 '성황'
한국경제신문은 생글생글 외에도 생글 논술대회, NIE 경진대회, 경제 리더스 캠프 등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을 응원하고 있다. 대학문 열어주는 ‘경제 리더스 캠프’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는 한마디로 명문대 길을 열어주는 가이드다. 특히 상경계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인, 최고경영자(CEO), 경제·경영학자 등을 ...
-
커버스토리
"생글 본 뒤 경제이해도 높아졌다" 73.6%…"생글 2주에 한번 이상 봤다" 81.8%
고교 때 생글생글을 만나기 전과 만난 후 자신의 경제 이해력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대학생이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교 때 생글생글을 2주에 한 번 이상 읽은 대학생이 80%를 넘었다. 이 같은 분석은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가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글생글을 만나기 전에 비해 만난 뒤 경제 이해도가 어떻게 달라졌나’는 질문에 ‘높아졌다&rs...
-
커버스토리
"세상보는 안목 키우려 '생글' 활용…대입 면접에도 최고의 신문"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창간 10주년을 맞아 생글생글을 활용해 수업하고 있는 일선 중·고교 교사 880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5월13~27일)를 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48.7%가 학생들이 사회를 바로 보는 안목을 키우기 위해 생글을 활용해 수업한다고 답했다. 시사 상식을 넓히도록 하기 위해(28.85%)란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청소년 경제논술신문인 생글생글이 사회를 바라보는 제대로 된 안목을 키우는 틀로...
-
커버스토리
제주에서 서울까지…전국은 '생글 활용 중'
전국 1200 여 개 중고교가 생글생글을 논술 교재, 동아리 교재, 경제공부 교재, NIE(신문을 통한 교육) 교재로 활용합니다. ‘생글생글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글로 써서 보내달라는 요청에 제주부터 서울까지 많은 학교가 이메일을 보내왔습니다. 지면 관계상 모두 싣지 못해다음주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서울 서울외고 “커버스토리는 토론 주제” 서울외국어고교 경제 동아리 SCONOMY는 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선배들이 말하는 생글생글은…
한국경제신문은 ‘생글생글 10주년’을 맞아 생글을 꾸준히 읽으며 고교시절을 보낸 ‘생글키즈’ 대학생 8명을 초청해 좌담회를 가졌다. 한국경제신문 17층 영상회의실에 모인 대학생들은 이구동성으로 “매주 월요일마다 생글을 기다리는 것이 고교시절의 즐거움 중 하나였다”며 “생글생글 커버스토리를 활용해 논술공부를 했던 기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사회는 장두원 한국경...
-
커버스토리
사유의 틀…철학으로 생각 키우기
“애플은 언제나 기술과 인문의 교차점에 있다.” 정보기술(IT) 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가 남긴 이 말은 인문이 기술 발전의 씨앗임을 함의한다. 기술 발전은 결국 인문의 힘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인문이 꿈을 꾸고, 그 꿈을 기술이 실현할 때 인류의 진보가 빨라진다는 얘기다. 인류의 참된 진보는 정신과 물질이 균형을 맞춰야 가능하다. 물질은 넘치지만 정신이 타락하면 문명이 쇠락하고, 정신이 풍요로워도 ...
-
커버스토리
인(仁)·의(義)·예(禮)·지(智)…인간의 마음과 도리를 논하다
공자, 맹자, 순자, 장자, 한비자 등으로 대표되는 동양철학은 주로 인간의 마음과 도리를 논한다. 인간의 마음이 어떠한지, 타고난 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과 수양이 필요한지, 정치 지도자의 덕목은 무엇인지, 사람을 다스리는 근본은 무엇인지 등은 동양철학의 주된 관심사였다. 동양철학은 서양철학에 비해 정적이고 자연친화적이다. 특히 노자,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사상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임을 강조한다. 중국의 사상서 중 사서(四書)로 꼽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