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정부 부처, 자리 늘리기 경쟁 外

    ◎ 정부 부처, 자리 늘리기 경쟁 정권 말 느슨한 분위기를 틈타, 정부 각 부처의 '자리 늘리기' 경쟁이 시작됐다. 정부는 13일 국무회의를 열어 재정경제부가 요청한 국가채무관리과, 출자관리과 등 2개 과(課) 신설안을 의결했다. 산업자원부는 지식서비스팀 등을 만들어 정원을 10명 늘렸고, 보건복지부는 국제통상협력관 등 1국(局), 3팀을 신설해 26명을 늘릴 계획이다. -공무원 수는 일의 유무,경중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율로 늘어난다는 ...

  • 경제 기타

    이건희 회장 '5~6년뒤 위기론' 제기한 까닭은?

    "세계는 뛰는데 우리는…" 미래에 대한 경고 "삼성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5∼6년 뒤에는 큰 혼란을 맞을 것이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이 회장은 지난 9일 서울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투명사회협약 대국민 보고대회' 행사에 참석,이같이 말하며 '5~6년 후 위기론'을 제시했다. 그는 지난 1월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 회장단 회의 직후 "중국은 쫓아오고 일본은 앞서가는 상황에서 우리...

  • 경제 기타

    '워키노믹스'가 부상하고 있다는데… 네티즌들이 만든 백과사전 + 경제

    외부지식과 자원 활용하는 '열린기업'이 큰 가치 창출 위키노믹스(wikinomics)가 부상하고 있다. 위키노믹스란 인터넷 이용자들이 스스로 만든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와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를 합성한 말이다. 위키피디아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질문하고 스스로 답변·첨삭해서 만든 백과사전이다. 하지만 수백만명의 지혜가 모아지면서 대기업이 만든 백과사전보다 훨씬 방대한 100만건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하루에만 900만건이 조회되는...

  • 경제 기타

    (28) 박정원 한진해운 사장

    합기도·복싱으로 단련된 '바다 사나이' "이상은 높게 마음은 넓게 가져라" 박정원 한진해운 사장(62)을 만나기 전엔 선입관이 있었다. 합기도와 복싱으로 단련한 '35년 바다 사나이'란 경력 때문에 '보나마나 남성미가 물씬 풍기는 거친 남성이겠지'란 생각이 든 것이다. 하지만 실제 접해본 박 사장은 정이 넘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단정한 옷 차림에 날카로운 눈매는 단순한 '바다 사나이'가 아닌 세계적인 해운업체를 이끄는 CEO(최고경영...

  • 경제 기타

    자발적 실업자도 실업급여 줘야할까?

    ⇒한국경제신문 3월9일자 A2면 앞으로 자발적 실업자라도 실업이 1년 이상 장기화되고 구직활동과 직업훈련에 참여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노동부는 8일 충남 천안 한국기술교육대에서 이상수 노동부 장관 등 관계 부처 장관과 구직자, 비정규직 근로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7년 국민과 함께 하는 업무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구직자 및 비정규직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

  • 경제 기타

    제3자 배정 유상증자가 뭐지?

    주주가 아닌 사람에게 자본참여 기회 주는 것 지난 3월 14일자 한국경제신문 증권면에는 최근 들어 상장 기업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는 기사가 실렸다. 유상증자란 무엇이고, 또 그 중에서도 제3자 배정 유상증자란 무엇일까. 우성 증자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기업들이 증시에 상장하는 것(기업공개)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무엇보다 주식시장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다...

  • 경제 기타

    한국사람 부동산 좋아해 재산의 76.8% 차지

    미국 36%의 두배 이상… 노후 대비 현금도 충분히 가져야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총자산은 2억8112만원이며 이 중 부동산이 3분의 2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부동산 비중이 84%에 달해 노후대비를 위한 다양한 자산유동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06년 가계자산 조사결과'를 7일 발표했다. 정부의 가계 자산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가계 자산 조사는 작년 6월 ...

  • 경제 기타

    서울 생활비 세계 11번째 外

    ◎ 서울 생활비 세계 11번째 서울이 세계에서 11번째로 생활비가 비싼 도시로 조사됐다. 미국 경제전문 조사기관인 EIU가 전세계 132개 주요 도시의 생활비 지수를 조사한 결과,서울은 지난해(13위)보다 두계단 올라 아시아에서 일본 도쿄(5위),오사카(6위)에 이어 세 번째로 나타났다.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드는 도시는 노르웨이 오슬로,프랑스 파리,덴마크 코펜하겐 순이었다. -생활비가 서울보다 더 드는 1~10위가 모두 국민소득이 우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