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실현되나...좌절되나...
유럽 통합은 유럽인들의 오랜 꿈이다. 유럽 지역의 패권을 놓고 다퉜던 2차 세계대전이 끝난지 6년째가 되던 1951년 4월.독일과 프랑스,이탈리아,베네룩스 3국(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은 석탄과 철강의 자유무역을 통한 유럽 통합의 새로운 깃발을 내걸었다.정치와 무력을 통한 지역 통합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단일한 공동체를 이루겠다는 노력이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유럽연합(EU)의 12개 회원국은 2001년1월부터 자국 화폐를 버리고 ...
-
경제 기타
"로마 재건 大유럽 건설하자"..통합 왜 나섰나
로마제국이 멸망한 이후 유럽 지역의 강력한 통치자들은 저마다 대륙 통일의 야심을 불태웠다. 신성로마제국을 건설한 오토 대제(912~973)와 절대왕정을 수립한 프랑스 루이14세(1638~1715)를 비롯 나폴레옹(1769~1821년)과 히틀러(1889~1945)가 통일 유럽의 꿈을 이루려 했지만 번번이 물거품이 됐다. 총칼을 앞세운 인위적인 통일 시도는 모두 좌절됐다. 대신 유럽인들은 총 한 방 쏘지 않고 대륙을 통일하는 방법을 찾게 된다. ...
-
경제 기타
1950년 석탄철강 공동체 설립..유럽통합 '첫단추'
유럽 국가들이 통합을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독일과 프랑스 간 경쟁이 단초가 됐다는 시각이 있다. '유럽 통합의 아버지'라 불리는 프랑스의 장 모네(Jean Monnet)는 1950년 초 유럽에서 석탄과 철의 자유무역을 주창했다. 프랑스 외무장관이었던 로베르 슈만은 장 모네의 의견을 받아들여 1950년 5월 모든 유럽국가에 석탄철강공동체 설립을 제안했다. 공동체 협약에는 프랑스와 독일이 제일 먼저 참가했다. 로베르 슈만과 독일 총리였던 콘라...
-
경제 기타
일자리 감소 우려..프랑스등 통합부결 이유는
EU는 미국과 같은 합중국(United States)을 만들기 위해 헌법을 제정하려 하고 있다. 회원국 만장일치로 헌법이 발효되면 회원국은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뉴욕주처럼 하나의 주(州) 단위로 바뀐다. 회원국이 번갈아가며 의장을 맡는 현행 제도를 바꿔 EU를 대표하는 대통령과 외무장관을 신설하는 게 헌법 제정안의 핵심이다. 하지만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헌법비준 부결로 유럽 합중국(United States of Europe)의 꿈은 깨지기 일...
-
경제 기타
독일등 "금리 내려야" 스페인 "금리 올려야"..고민
EU 회원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금리를 결정하는 곳은 유럽중앙은행(ECB:European Central Bank)이다. ECB는 2003년 6월 기준금리를 2%로 내린 이후 2년 동안 한번도 금리를 바꾸지 않았다. 회원국마다 경제상황이 다른데도 금리를 손대지 못하니 EU 회원국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독일과 이탈리아는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기회복에 불을 지피기 위해서다. 독일 정부는 당초 올해 2% 안팎의 경제성장을 전망했었다...
-
경제 기타
아세안 "우리도 EU처럼"
유럽연합(EU) 방식으로 아시아 시장을 통합하자는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 정상들은 지난해 11월 말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회담을 갖고 2020년까지 아세안 시장을 EU처럼 단일시장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ASEAN 회원국들과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은 장기적으로 경제공동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ASEAN과 한·중·일 3국을 아우르면 20억 인구의 세계 최대시장이 된다. 2003년 기준 국내...
-
경제 기타
기존 조약 대체..EU헌법 어떤 내용 담았나
EU는 지금까지 회원국 간 조약을 맺는 방식으로 통합 작업을 해왔다. 2000년 12월 EU 15개국 정상들이 프랑스 남부도시 니스에서 신규 회원국의 가입과 EU의 확대에 따른 제도 개혁에 관해 합의한 니스 조약을 토대로 회원국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유로화 사용은 1991년 12월10일에 체결된 마스트리히트 조약으로 가능해졌다. 그런데 회원국 수가 늘어나면서 사사건건 조약을 체결하는 일이 늘어남에 따라 정책을 집행하는 데 어려움이 생겼다...
-
생글+ 기타
중앙대학교 법과대학..'법과 정의' 꿈 펼친다
중앙대학교 법과대학(학장 임중호)은 1949년에 설립됐다. 50여년의 역사에 걸맞게 졸업생들은 법조계를 비롯해 학계와 행정기관,기업 등 사회 각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중앙대 법대는 설립 후 5년 만인 1954년 최초의 법조인을 배출했다. 제6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한 길기수 변호사(50학번)가 그 주인공이다. 이상경 전 헌법재판소 헌법재판관(64학번)과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기문 인천지방변호사 회장(71학번),이경철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