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제3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꼬~옥 도전하세요"
생글생글i 홈페이지서 신청접수 생글생글 89호(3월19일자)에서 예고했던 대로 제3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접수가 9일부터 생글생글i(www.sgsgi.com) 홈페이지에서 시작됐다. 작년 제2회 경시대회가 끝나자마자 다음 경시대회는 언제 개최되는지를 문의해 온 열혈팬들이 고대하던 날이 온 것이다. 논술에 대한 생글이(생글생글 독자) 여러분들의 관심이 커질수록 생글 논술경시대회도 그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알찬 행사가 되도록 준비에 더욱 심혈...
-
(45) 물리치료사
운동·마사지 등 물리적 방법으로 환자 치료 4월7일은 제35회 보건의 날이다. 이 날은 세계보건기구(WHO:World Health Organization)가 발족된 1948년 4월7일을 기념해 제정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부터 '보건의 날'을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보건의료는 현대인의 생활에서 떼어 낼 수 없는 중요한 서비스다. 의료 선진국인 미국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 20개 중 8개가 보건의료 분야일 정...
-
경제 기타
대학 논술 채점결과 학생들에게 통보해줘야
"논술 시험을 보고도 얻은 게 없어요." 지난해 모 대학 입시에서 논술 시험을 치른 장모양(18)의 말이다. 그의 친구도 거든다. "시험을 보고 내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야 다음에 더 발전이 있는 것 아닌가요?" 두 학생은 현재 재수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자신들의 글 쓰는 방식이나 글 수준이 괜찮은지를 파악하지 못해 논술 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아무 방식이라도 좋으니 논술답안 채점 결과를 개개인에게 알려줬으면 좋겠...
-
경제 기타
(기자수첩) 준비 소홀했던 논술대회
지난 1일 의정부 신흥대학교에서 제7회 전국 고등학생 토론·논술대회가 열렸다. 한국청소년문화진흥협회와 신흥대학이 공동 주최한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744명의 학생이 참가, 조별로 나뉘어 실력을 겨루었다. 이날 토론의 주제는 '저금리 정책, 경제의 약인가? 독인가?' 다소 어려운 주제였지만 학생들은 나름대로 자신의 주장을 펼쳤고 토론이 끝난 후 각 조에서 가장 잘한 학생을 투표를 통해 점수를 매겼다. 아쉬웠던 점은 자료를 준비해 온 학생들...
-
경제 기타
유행에 휩쓸린 성형은 곤란
자기 성찰후 신중히 결정을 새 학기가 한 달이 지난 지금 새 짝지와 서슴없이 지내고 있는 친구들이 많아졌을 거다. 근데 그 친구들의 얼굴을 살짝 의심해 보라! 1년 전과 다른 친구들의 모습, 겨울방학을 통해 많이 달라진 모습. 성형 수술을 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부산 S여고 2학년 S양은 고1 겨울방학 때 고3 언니와 함께 성형 수술을 했다. 그는 쌍커풀 시술과 눈 앞트임 두 가지 수술을 했는데 처음에는 약간 무섭고 당황스럽기...
-
학습 길잡이 기타
방황하는 말들 ①
'우리 교육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공교육의 경쟁력 강화와 대학 교육의 수월성 확보다.' 교육에 관해서는 누구나 전문가처럼 말한다. 공교육 경쟁력 강화와 수월성 문제도 흔히 거론되는 명제다. 그런데 도대체 '교육의 수월성'이란 게 무얼 말하는 걸까. 수월성이란 말은 어디서 왔고 무슨 의미일까. 우리는 이 말의 뜻도 잘 모르면서 매일같이 이 말을 듣고 말하고 있다. '수월성' 못지않게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게 '진정...
-
학습 길잡이 기타
25. 슈퍼와 게놈‥수퍼맨은 없다
외래어표기법도 법 2004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미국의 영화배우 크리스토퍼 리브가 주연한 '슈퍼맨' 시리즈는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끈 영화다. 만화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1978년에 1탄이 나온 이후 2006년 5탄(슈퍼맨 리턴즈)이 나올 때까지 30여년간 변함없이 사랑받아왔다. 불사불멸인 이 슈퍼맨(superman)은 우리 말로 하면 초인(超人)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슈퍼맨뿐만 아니라 수퍼맨도 있다. 이는 물론 외래어 ...
-
학습 길잡이 기타
한·미 FTA 찬반론
지난 2일 한·미 FTA 협상이 타결되었는데, 이에 대한 여론은 찬반으로 엇갈리고 있습니다. FTA의 이해득실에 따라 지지와 반대가 엇갈리는 것은 당연한 반응일 것입니다. 하지만 토론의 쟁점은 한·미 FTA가 국가 전체적으로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 따져보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자유무역의 가치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FTA가 장기적으로 국가 전체에 큰 이익이 될 거라고 말합니다. 세계 경제발전 사에서 시장개방과 자유경쟁의 확대가 성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