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8월 27일자
1.다음 중 사이드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선물가격이 전날 종가에 비해 5% 넘게 변동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의 효력을 5분간 중단시키는 제도. ②하루 3회만 발동할 수 있다. ③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 ④지난 16일에는 증시 폭락세가 선물시장으로 이어지면서 올해 첫번째 사이드카 발동. 2.다음은 노동조합 가입및 직원채...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스도쿠 여행 (14)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골랐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라면 문제가 어려울...
-
커버스토리
디워 이무기 논쟁을 몰고오다
코미디언 출신 심형래 감독의 SF영화 '디 워(D-War)'를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영화인들은 '디 워'가 작품 자체로는 전혀 뛰어나지 않은데 애국주의 마케팅에 힘입어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미국 작품의 모방품' '엉망진창' '진짜 허술하다' '영구가 "영구 없다"고 말하는 꼴' 등의 혹평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 같은 비평은 네티즌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충무로가 맨손으로 일궈낸 심형래 감독의 성공에 배아파하고...
-
경제 기타
서브프라임 후폭풍…리스크도 글로벌화
풍부한 유동성 고금리 좇아 국경 넘나들어…美 전체 금융자산의 1%가 세계 뒤흔든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파문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검은 그림자가 갈수록 짙게 드리우고 있다. 도대체 어디까지 파장이 번질지,누구까지 피해를 입을지 모르는 불안감에 파장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파장이 '전염적·동시적·폭발적'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2000년 이후 만들어진 글로벌 금융체제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낸 것으로 ...
-
경제 기타
증시 패닉…사상 최대 폭락 外
◆증시 패닉…사상 최대 폭락 지난 16일 코스피 지수가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파문의 여파로 6.93%(125.91포인트) 급락,사상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코스닥 지수는 10.15%(77.85포인트)나 폭락했다. 이날 외국인들은 하루 기준으로 사상 최대인 1조원이 넘는 매물을 쏟아냈고,하루 동안 국내 증시에서 72조8000억원의 시가총액이 날아갔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생글생글 108호 포커스 참조)에 따...
-
논제 공모 대회 총 33개 작품 신청
생글생글 Young 한경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름방학도 이제 막을 내리고 있습니다. 이번 주부터 대부분 학교에서 개학을 하지요. 여러분 모두 방학 마무리 잘 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학기를 맞기 바랍니다. 생글생글이 지난 10일까지 전국 교사 강사 논제 공모 대회를 마감한 결과 모두 33개의 작품이 들어왔습니다. 마감 사흘 전까지만 해도 10여개 작품이 접수됐으나 마지막날 무려 20여명의 선생님이 논제를 내 주셔서 출품작이 총 33개로 집...
-
경제 기타
2차 남북 정상회담, 경협은 북한이 변화 전제돼야
남북한이 2차 남북 정상회담(8월28~30일)을 평양에서 갖기로 발표한 지난 8일 국민이 보인 관심도는 7년 전인 1차 정상회담 발표 때보다 낮았다. 시청률 조사회사인 TNS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2000년 4월10일 1차 남북 정상회담 소식을 방송한 지상파TV 3사의 4개 채널 저녁 종합뉴스 시청률 합계는 47.4%였으나 이번에는 4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의 신선함이 떨어져서였을까? 1차 정상회담이 가져다 준 학습효과 때문일런지도 ...
-
커버스토리
'디워' 무엇이 논란인가
일부 사이비 정치의식이 논란 촉발했을 가능성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심형래 감독의 SF영화 '디 워(D-War)'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논란은 충무로 영화인과 평론가들이 '디-워' 흥행이 국수적인 애국주의의 결과라는 등의 비판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반발한 일부 네티즌이 잇달아 반박 댓글을 올리며 '디 워'에 비판적인 영화인과 평론가들을 비난하면서 날카로운 대립각이 세워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업영화에 대한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