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2008학년도 고려대학교 수시모집2(인문계) 논술 문제
⊙ 논제 Ⅰ. 제시문 (1)을 400자 내외로 요약하시오.(20점) Ⅱ. 제시문 (2)의 논지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 (3)을 해설하시오.(40점) Ⅲ. (4)의 <표>에 나타난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 종사자 수의 추이를 한국 사회의 변화와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그리고 제시문들을 참고하여 이들 종사자의 사회적 삶에 관해 논하시오.(40점) ※유의사항 1. 답안에 자신을 드러내는 표현을 쓰지 말 것. 2. 답안에 ...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에도 性이 있다 ②
묘령과 방년, 그리고 약관 #20세기 초 그들 사이에는 계약결혼과 자유연애가 공존했다. 그러면서도 평생 해로한 두 사람, 그들은 바로 실존주의 거장인 사르트르와 페미니즘의 대명사인 보부아르 부부다. 세기의 사랑으로도 유명한 그들이 만난 것은 사르트르가 24세, 보부아르가 21세 때였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 못지않은, 아니 그들을 뺨치는 파란만장한 애정행각을 벌인 우리의 성춘향과 이몽룡이 남원에서 만난 것은 훨씬 어린, 두 사람 다 16...
-
학습 길잡이 기타
44. 표시와 표지, 표식
남에선 '표시', 북에선 '표식' "종로에서 길 위의 노란 동그라미를 보면 지적측량 기준점으로 생각하면 된다. 서울 종로구는 30일까지 측량 기준이 되는 지적삼각점 등에 '시각화 보호표식'을 설치해 지적측량에 활용키로 했다." 최근 일부 신문에 보도된 기사의 한 대목이다. 평범한 문장으로 보이지만 유심히 보면 좀 이상한 단어가 눈에 띈다. 바로 '표식'이다. 한자로 쓰면 '標識'인데,한자를 알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도 이를 '표식'으로...
-
학습 길잡이 기타
5. '호락논쟁'의 관점에서 풀어본 인조-소현세자의 갈등
아버지의 명분론에 가로막힌 아들의 개혁 노선 ⊙ 소현세자는 변절자가 아니다 소현세자(昭顯世子·1612~1645)는 조선 16대 왕인 인조(仁祖)의 장남이며 17대 임금인 효종의 형이다. 인조는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을 통해 광해군(光海君)을 축출하고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국익 차원에서 중립외교정책을 폈으나 인조는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내걸었고 병자호란의 결과를 초래했다. 후금족이 국호를 청으로 개칭하고 1636년 ...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⑪
이산적 변화의 이해 Ⅲ-「수열과 극한」편 ※ 2007학년도 이화여대 수시1 자연계 논술 中 어떤 정보가 여러 사람을 거쳐 전달될 때, 각 사람은 앞 사람에게서 전달받은 내용을 그대로 다음 사람에게 전하거나 정반대로 전한다고 하자. 도시 A의 시민들이 전달받은 내용을 그대로 전할 확률은 0.8이고, 정반대로 전할 확률은 0.2이다. 도시 B의 시민들이 전달받은 내용을 그대로 전할 확률은 0.6이고, 정반대로 전할 확률은 0.4이다. 갑은...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수시 전형별 대입전략 - 일반·논술우수자 전형(1)
서울 주요대학 논술 반영비율 50%넘어 건국대 경희대 등 논술로만 뽑는 학교도 적지 않아 수시 일반전형, 논술·면접 등 대학별고사가 당락결정 수시 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전형은 별도의 지원자격 조건이 없는 일반전형이다. 물론 학생부 성적이 일정부분 반영되나 올해 학생부 실질반영 비율이 대학자율화로 인해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어 논술 면접 인·적성검사 등 대학별 고사의 변별력은 지난해보다 더 커질것으로 예상된다. 이번호부...
-
경제 기타
미국 AP시험까지 요구하는 국내 대입 전형
1학기 중간고사가 끝난 우리 학교 친구들은 한숨 돌릴 틈도 없이 AP시험 준비에 여념이 없다. 5월6일부터 15일까지 경제학,통계학,미국사,세계사,물리학,화학,생물학 등 AP 시험을 치르는데 지난 겨울방학부터 많은 친구들이 어려운 원서 공부를 해왔다. 미국 유학을 위해 시험 준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대학의 글로벌 전형과 영어특기자 전형,그리고 국제학부 전형을 위한 것이다. AP는 Advanced Placement Program의 약자...
-
경제 기타
알파 걸은 알파 걸인 것뿐…
알파 걸은 알파 걸인 것뿐이다. 미국의 아동심리학자인 댄 킨들런은 공부,운동,리더십 등 모든 분야에서 남학생들을 능가하는 새로운 사회계층인 '알파 걸(Alpha Girl)'이 등장했다고 했다. 이는 그리스 알파벳의 첫 글자인 알파를 따서 만든 용어로 높은 사회성과 강한 리더십을 보이는 10대 여고생을 지칭하는 단어다. 알파 걸,남성 중심에서 양성 평등으로 가는 사회의 흐름에 딱 맞는 용어인지 각종 매체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알파 걸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