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이 주일의 칼럼) 추경 반면교사 '日 잃어버린 10년'
유 병 규 < 현대경제硏·경제연구본부장 > ☞ 한국경제신문 3월26일자 A39면 '슈퍼 추경'이라 불리는 총 28조9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이 그저께 확정됐다. 저소득층 생활 안정,고용 유지 및 취업 기회 확대,중소 · 수출기업 및 자영업자 지원,지역경제 활성화,미래 대비 투자 등이 정부가 정한 5대 자금 사용처다. 추경안을 기획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명심해야 할 일은 추경이 정부가 선심을 쓰는 것이 절대 아니라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25. 전상국「우상의 눈물」
겉으로 드러난 행위뒤에 숨겨진 진실 ⊙ 우리에게 진실은 무엇인가 19세기 말에는 특정 대상이나 현상을 겉으로 드러난 대로 인식하지 않고 그 안에 내재하는 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경향이 나타났다. 사회를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로 분석했던 마르크스라든지,인간 정신을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로 보았던 프로이트 같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현대 언어학의 지평을 열었던 페르디낭 드 소쉬르(1857~1913) 역시 언어를 구조적 분석이...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17>- Step It Up !
지난 호에 이어 Integrate Essay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자. 높은 스코어를 받기 위해서는 시험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읽기와 듣기 노트를 바탕으로 강의에서 들려 준 핵심 요점을 요약하여 쓰고 이것이 독해 지문에 언급된 요점을 어떻게 반박하는지 연계하여 설명한다. 답안은 약 150~225자로 작성한다. 먼저 토픽과 강의 주제를 쓰고 이것이 읽기 지문의 주제와 어떤 관점에서 다른지를 설명한다. 그 다음에는...
-
학습 길잡이 기타
29. 시간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Step on it! Time is running out. → 서둘러! 시간이 다 돼가고 있어. ⊙ 서두름과 관련된 표현 현대인에게 있어서 시간과 관련된 영어 표현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바쁜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흔히 쓰이는 말 중의 하나가 '정해진 시간에 끝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meet the deadline이라고 표현하면 된다. 제때 끝내는 것은 done on time으로,제 시간에 끝내지 못하는 것은 ...
-
학습 길잡이 기타
③ 세기의 원숭이 속이기
朝 三 暮 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임.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 여러분! 3+4는 뭐지요? 7이라고요? 참 잘했어요. 그러면 4+3은 뭘까요? 똑같이 7 아니냐고요? 맞습니다. 혹시 지금 여러분을 놀리고 있냐고요? 하하! 아니에요. 지금의 덧셈은 다음에 설명할 조삼모사(朝三暮四)라는 고사성어와 관련이 있답니다.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30일자
1. 당의 지지세가 매우 약한 지역이거나 당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한해 경선 과정을 생략하고 당내 공천 심사위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후보를 낙점하는 방식은? ① 후보공천 ② 낙점공천 ③ 전략공천 ④ 낙하산공천 2. 환경과 엄마의 합성어로 환경보호와 자연훼손 등에 관심을 갖고 환경 친화적인 소비와 살림을 하는 주부를 뜻하는 말은? ① 네추럴맘 ② 인바이어맘 ③ 트리맘 ④ 에코맘 3. 개인 순저축률의 다른 말로 세...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91)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문학 속엔 '경제가 녹아있다'
예술은 그 시대의 경제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다. 시인과 소설가 화가 음악가들은 번뜩이는 영감으로 시대 상황을 자신의 작품에 녹여 넣는다. 역사학자들은 그래서 과거는 자신들이 설명하지만 현재와 미래를 설명하는 이는 예술가들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역사에서 위기의 시대이거나 역사 의식을 필요로 할 때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하다. 경제는 언제나 문학의 좋은 소재였고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그 자체로 문학의 주제이기도 했다. 한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