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진로 길잡이 기타
은행 등 금융업체 취업, 한경금융NCS로 대비를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업이 채용시험에서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 경제시사상식 시험을 잇따라 도입함에 따라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한경금융NCS시험이 주목받고 있다.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인 한경테샛(TESAT)을 지난 10여 년간 주관해온 한경이 금융권 취업을 희망하는 취업준비생들을 위해 마련한 NCS시험이 바로 한경금융NCS다. 한경금융NCS시험은 지난 8월 12회 시험을 치렀으며 11월 23일(토) 제13회 시험을 앞두고 출제위원회를 구...
-
생글기자
대규모 집회와 '프랙토피아'
교통·통신 수단의 발전과 인구 과밀화 현상으로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며, 동일한 의사를 가진 사람들이 집회를 열어 진행하는 결사 행위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공통된 주장을 표출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헌법에서는 집회·결사를 통해 그들의 공통된 의견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인간 본래의 자연적인 행동 양식이기 때문에 집회·결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의도가 왜곡된 일부 부정적 외부효과를 발생시키...
-
생글기자
50번째 생일을 맞은 비틀즈의 '애비 로드'
1969년, ‘세계에서 제일 유명한 밴드’ 비틀스는 멤버들의 불화로 해체 위기에 놓인다. 비틀스 멤버들은 해체 전 마지막으로 앨범을 만들기로 한다. 그해 9월 26일, 비틀스는 해체 전 마지막 앨범 ‘Abbey Road’를 발매한다. 이후 애비 로드는 불후의 명반으로 불리며 50년간 수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아 왔다. 애비 로드의 앨범 커버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앨범 커버로 알려져 있다. 해체를 앞둔 ...
-
생글기자
알기 쉬운 법, 지키기 쉬운 법을 만들어야
우리나라의 법령은 한자 문화와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어려운 한자어와 일본어식 표현이 많았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법령을 보다 보면 ‘개피(開披)하다’ ‘사위(詐僞)’와 같이 어려운 말들이 나왔다. 그렇다 보니 국민에게 ‘법은 어려운 것’이라는 인식이 심어졌다. 법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법령을 이해하기 어렵다 보니 대부분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어떻게 ...
-
생글기자
일본 상품 불매 운동, 얼마나 알고 있나
‘너 OOO 브랜드 쓰지? 그거 일본 브랜드인 거 몰랐어?’ 학교 교실, 친구들의 대화에서 자주 들리는 대화다. 요즈음 뉴스, SNS 등 일본 상품 불매 운동에 대한 이슈가 수시로 불거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와 같은 청소년들은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을 어떻게 생각할까? 이를 알기 위해 우리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본 상품 불매 운동 인식도 및 불매 운동 참여도 조사를 했다. 먼저, 학생들에게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의 원인...
-
생글기자
'곡물 메이저'를 생각한다
일반 10대 청소년에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높은 기업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면 대부분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널리 알려진 기업이라고 답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잘 모르는, 그러면서도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며 국민의 식탁을 좌지우지하는 기업들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곡물 메이저’다. 10대 청소년들에게는 ‘곡물 메이저’라는 표현이 낯설 것이다. 그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문일지십 (聞 一 知 十)
▶ 한자풀이 聞:들을 문 一:한 일 知:알 지 十:열 십 세계 4대 성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자는 인(仁)을 강조한 유가(儒家)의 창시자다. 그의 유가적 사상은 동양적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 주역 시(詩) 등에도 두루 조예가 깊었다. 제자만도 3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자들의 재주도 각자 달랐다. 누구는 학문에 뛰어나고, 누구는 장사에 밝았다. 자공(子貢)은 재산을 모으는 데 남다른 재주가 있어 공자...
-
생글기자
자랑스런 우리말 한글을 바로 알자
“한 나라가 잘되고 못 되는 열쇠는 그 나라의 국어를 얼마나 사랑하느냐에 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에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우리말 체계를 정립해 보급한 국어학자 주시경 선생이 한 말이다. 주시경 선생이 한글 체계를 정리하고 널리 보급한 덕분에 수많은 것을 이루었다. 그리고 비로소 우리는 자기 생각을 글로 적어 남과 공유하기까지에 이르렀다. 그러나 우리가 국어를 사랑한다고 하기에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