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역사 기타
토지는 왕실의 공전과 귀족의 사전으로 나뉘었지요…11세기 말엔 모두 공전으로…관리는 토지 아닌 녹봉 받아
936년, 고려는 후백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신라의 귀순을 받아들여 청천강 이남의 영역에 한하지만 한반도를 다시 통일했다. 고려는 이전의 신라와 마찬가지로 전국의 토지를 국전(國田), 곧 국왕의 소유로 간주하는 이념에 기초해 토지와 백성에 대한 지배체제를 구축했다. 왕건과 호족세력 전국의 토지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으로 구분됐다. 공전은 왕실과 정부가, 사전은 귀족·관료·중앙군의 지배세력이 조(租)를 수취하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띄어쓰기가 중요한 이유
한때 수원~광명 고속도로상에 야릇한 이름의 표지판이 등장해 화젯거리가 된 적이 있었다. ‘동시흥분기점’이 그것이다. “동시흥분기점까지 6㎞ 남았다네…. 근데 이 이상한 이름은 뭐지?” 2016년 개통한 이후 운전자들에게 ‘엉뚱한 상상력’을 자극하던 이 명칭은 2017년 말께 ‘동시흥 분기점’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띄어쓰기로 엉뚱한 상상력 유발을 차...
-
학습 길잡이 기타
'열망' '갈망'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I know together we can make a pretty world For me and for you For you That’s what I’m longing to do To do To make a world with you 난 당신과 나만을 위해 함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알아요. 당신을 위해서… 내가 가장 바라던 일이고 그렇게 하기 위해 당신과 작은 세상을 만들...
-
중국 북송시대 처음 지폐 등장…원나라는 지폐만 사용, 10세기 이슬람에서 사용된 어음이 유럽 지폐의 원형
당나라 말기부터 북송 시대(960~1127)에 걸쳐 강남 지역이 활발히 개발되면서, 경제의 중심은 보리보다 생산력이 수십 배나 높은 쌀로 옮겨갔다. 이와 함께 경제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지자, 거래 시에 쓸 동전이 심각하게 부족해졌다. 북송에서 세계 최초로 지폐가 출현한 까닭 이때 변방인 쓰촨에서 민간 금융업자가 무거운 철전 대신 종이로 만든 어음을 유통시켰는데, 그 편리성에 주목한 북송의 지방 관료가 교자 발행권을 상인에게서 빼앗아 수중에 ...
-
진학 길잡이 기타
수학은 EBS수능교재특강 활용·국어는 속독력 키워야
이과학생은 수학과 과학에서 탁월해야 수능에서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국어점수가 높은 경우, 다른 이과학생과 명확히 차별화되므로 정시 지원에 유리한 면이 크다. 이번 호는 이과 학생을 위한 수능 과목별 전략에 대해 적어본다. 1. 이과생의 수학전략 포인트 이과학생의 수학은 고득점 전략이다. 수학 점수는 정시 합격의 바로미터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100점을 목표로 부족한 부분을 집중 공략하는 3단계 접근법을 소개한다. <1단계>개...
-
테샛 공부합시다
환율이란 나라마다 다른 화폐의 교환비율이죠…특정 국가가 환율에 개입하면 경제에 영향줘요
지난달 5일 중국 외환시장에서는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섰다. 이를 ‘포치(破七)’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중국 당국이 포치를 허용하자 미국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미·중 간 무역전쟁에 이어 이제 환율전쟁까지 가세한 모양새다. 중국의 위안화 환율 변동에 미국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환율이 이해 당사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환율, 국가 ...
-
테샛 공부합시다
외부효과
문제. 전염병에 걸린 사람은 주변 사람에게 병을 옮길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는 않는다. 다음 중 이와 경제학적 의미가 가까운 현상은? ①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대기를 오염시킨다. ②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였다. ③ 한여름 해수욕장의 파라솔 가격은 평소보다 비싸다. ④ 민간기업이 탁 트인 공원에서 불꽃놀이를 개최한다. ⑤ 국제 유가가 하락해도 국내 휘발유...
-
진로 길잡이 기타
파생금융상품은 실물 아닌 권리를 사고 팔죠…계약형태 따라 선물·옵션·스와프 등으로 나뉘죠
파생금융상품이란? 파생금융상품은 주식과 같이 실물을 사고 파는 것이 아니라 권리를 사고 파는 금융상품이다. 계약 형태에 따라 선도거래, 선물, 옵션, 스와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거래 장소에 따라선 장내거래와 장외거래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출제 유형 (A) 선물거래와 선도거래의 차이점을 물어보는 유형: 선물거래와 선도거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선도거래는 계약 대부분이 만기일에 실물 인수도로 정산된다. ②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