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힘 있는 문장은 어디서 나오나?
신문언어가 이 땅에 선보인 지 벌써 125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한글 전용으로 발행된, 최초의 민간 일간지 독립신문이 1896년 창간된 것을 기준으로 할 때 그렇다. 그 오랜 세월 저널리즘언어는 간단없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에 비해 독자들의 ‘신문언어 독법(讀法)’은 그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판단어법과 전달어법의 차이 이해해야 지난 호들에서 소개한 ‘단어의 선택’도 실은 신문언어를 ...
-
생글기자
문화상품, 감성이 먼저일까 혁신이 먼저일까
한 천재가 있었다. 그는 자신이 만든 회사에서 쫓겨났고, 배신감에 새로운 사업을 펼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업은 순탄치 않았다. 한때 몰락한 것으로 보였으나 혁신적 생각으로 결국 크게 성공했다. 이 회사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었고, 그에게는 부와 명예가 돌아갔다. 스티브 잡스 얘기다. 애플을 창립한 뒤 쫓겨나와 그가 만든 넥스트가 그를 다시 애플로 불러들였다. 그의 행적은 가히 혁명적이었고, 그 흔적은 지금도 우리 곁에 남아 있다. 우리가 알아...
-
생글기자
장마가 늦고 게릴라성 호우가 잦은 이유는
7월 초부터 제주도와 남해안을 시작으로 전국에 때늦은 장마가 시작됐다.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권의 확장에 따라 남쪽에서 장마전선이 서서히 북상했는데, 여기에 동반돼 발달한 저기압이 서해상을 따라 동진하며 남부와 중부지역에 동시에 장맛비가 내렸다. 특히 발달한 저기압은 우리나라 서해상을 통과할 당시 995hpa의 해면기압을 보였고, 일본 홋카이도 부근에 위치한 고기압과의 기압차가 커지면서 해안가를 중심으로 강한 비바람이 몰아친 곳이 많았다. 올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군자표변(君子豹變)
▶ 한자풀이 君 : 군자 군 子 : 아들 자, 어르신 자 豹 : 표범 표 變 : 변할 변 표범이 털가죽 색깔을 자주 바꾸듯 군자는 잘못을 고치는 데 매우 신속함 - 《주역》 주역(周易)은 중국 지식인의 필독서로 꼽히는 오경(五經)의 하나다. 효(爻)는 주역의 바탕이다. 우리나라 태극기 네 모서리에 그려진 형상이 효다. 끊어지지 않고 긴 것이 양효, 중간이 끊어진 것은 음효다. 효의 조합이 괘(卦)다. 그러니 태극기에는 4개의 괘가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7월 26일 (717)
1. 우리나라 총인구 가운데 만 15세 이상의 인구를 가리킨다. 한국은 급격한 감소가 예상되고 있는 이것은? ①경제활동인구 ②비경제활동인구 ③생산가능인구 ④주민등록인구 2. 지방자치단체의 총수입에서 자체수입의 비중이다. 지자체의 세입 징수 기반이 좋을수록 올라가는 이 지표는? ①재정건전성 ②재정자립도 ③조세부담률 ④국민부담률 3. 국내총생산(GDP)에서 국세와 지방세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특정국 국민의 세금 부담 정도를 보여주...
-
디지털 이코노미
로봇은 '인공적인 노동자'일까 '자본설비'일까
영화 '시민케인'의 감독이자 주연배우로 유명한 오슨 웰스는 1938년 허버트 조지 웰스의 미래주의 소설 《우주전쟁(The War of the Worlds)》을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해 방송했다. 화성에서 온 외계인들이 뉴저지를 침공했다는 내용이다. 이 방송으로 수천 명의 미국인들이 공포를 느꼈으며, 일부 사람은 총을 들고 거리로 뛰쳐나오거나 피란을 떠났다. 로봇·AI 무비판적 수용 오슨 웰스의 우주전쟁 사례는 정보의...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97)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막말하는 北, 남한에 '호통쳤다'고?
‘단어의 선택’은 글쓰기의 시작이나 다름없다. 우리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살펴본 사례들도 바로 이 단어 용법에 관한 것이었다. 글 쓰는 이가 구사하는 단어의 폭에 따라, 여기에 최적의 단어를 골라낼 수 있는 능력 여하에 따라 글의 품질이 결정된다. 그중에서도 글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문장론적 방법은 무엇일까? ‘호통치다’는 ‘꾸짖다’는 뜻…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