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팔고 싶어도 물건이 없네…세계적 물류대란에 조용해진 '블프'
해외 직구가 대중화하면서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는 한국인들에게도 익숙한 쇼핑 축제가 됐다. 블랙 프라이데이는 매년 추수감사절 다음날, 즉 11월 마지막주 금요일에 열리는 대대적인 할인 행사다. 평소 적자(red)를 보던 상점도 이날만큼은 흑자(black)를 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미국소매협회에 따르면 해마다 블랙 프라이데이에 미국인은 1인당 1000달러 이상을 쓴다. 미국 오프라인 매장마다 최대 80~90% 싸게 ...
-
숫자로 읽는 세상
쪽파·마늘도 잇따라 올라…김장배추發 애그플레이션 올까
김장용 배추 가격이 많이 오르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요즘 가정들은 옛날만큼 김장을 많이 하지 않지만, 배추 가격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 그때나 지금이나 같답니다. 가격이 정말 많이 올랐군요. 배추 10㎏ 도매 가격이 1만1880원이라고 합니다. 별일 없을 때 거래되는 가격이 대충 6887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많이 오른 셈입니다. 거의 73% 상승했으니까요. 김장 김치를 많이 담그는 가정이라면 부담을 느끼겠습니다. 차라리 사서 먹는 게 ...
-
테샛 공부합시다
시장의 종류
[문제] 시장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게임이론으로 과점시장을 설명할 수 있다. ② 자연독점은 범위의 경제가 존재할 때 발생한다. ③ 시장은 판매자의 수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④ 독점적 경쟁시장은 기업들의 제품 차별화와 관련이 깊다. ⑤ 독점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정해진다. [해설] 과점시장에서 한 기업의 가격(생산량) 조정은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
생글기자
How to Reduce Homophobia in Korea
Since the WHO removed homosexuality from its list of diseases in 1990, the developed world has been exhibiting more tolerance to the LGBTQ community than ever. However, South Korea remains LGBTQ-unfriendly despite its recent UNCTAD classification as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15일 (730)
1. 미국 중앙은행(Fed)에서 열리는 경제정책회의로, 우리말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라 한다. 미국의 통화·금리 정책을 결정해 경제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이것은? ①FOMC ②ESG ③TPP ④G20 2.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대형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공동 개발해 판매하는 ‘자체상표’를 가리키는 용어는? ①IB ②DB ③NB ④PB 3. 한 여성이 평생에 걸쳐 낳을...
-
디지털 이코노미
재난상황 속 '강한 유대'…트위터를 띄웠다
흑사병이 유럽 전역을 점령하는 데 수년이 필요했지만, 코로나는 몇 주면 충분했다. 운송 네트워크의 발달 정도가 그 원인이다. 프랑스 마르세유에 흑사병이 처음 상륙했던 1347년과는 달리 코로나19가 활동을 시작한 2020년은 빠르고 효율적인 운송 네트워크가 존재했다. 엄밀하게 흑사병의 병원균은 세균이고, 코로나19는 바이러스지만 적절한 운송수단만 있다면 퍼져나가는 방식은 모두 동일하다. 강한 유대와 약한 유대 하지만 흑사병과 코로나19의 확...
-
시네마노믹스
油레카! 오일러시는 무한한 탐욕을 낳고…'석유사냥꾼'에게 자원은 축복일까, 저주일까
영화 ‘데어 윌 비 블러드’는 1900년대 초반 미국의 석유 개발업자인 대니얼(대니얼 데이 루이스 분)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다. 타고난 사업수완과 추진력으로 초창기 석유 시장에 뛰어든 진취적인 사업가. 동시에 늘 가족이란 존재에 목말라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화면에 내내 보이는 것은 검은 석유, 황량한 자갈밭이지만 펄펄 끓는 열기가 느껴지는 영화다. 한정된 자원을 둘러싼 기업 간의 경쟁, 생산과 파괴라는 개발사업의 양면성,...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주택 공급, '민간확대' 아닌 '공공강화'로 효과 낼 수 있나
대통령선거에서 여야 정당별 후보가 확정되면서 여러 이슈에서 논쟁점이 선명해지고 있다. 포퓰리즘 선심공약들로 인한 논란이 심상찮지만, 관점과 지향점이 확실히 구분되는 정책 차별화도 나타난다. 부동산이 대표적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을 비롯해 2배 이상 급등한 지역이 속출한 집값 문제는 전 국민적 관심사가 됐다. 전 세대에 걸친 뜨거운 이슈가 됐다. 집값 문제에 관한 한 물러나는 정부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게 됐다. 무능에 대한 쏟아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