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플랫폼, 획일적 규제보다 사회적 가치 먼저 따져야

    플랫폼 규제 이슈가 한창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규제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아 발의된 법안만 20건 이상이지만, 직접 규제가 능사가 아니라는 의견도 공감을 얻고 있다. 플랫폼 정책의 주체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의도 한창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작된 논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확산되더니 이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1940~1950년대 미국, 대기업에 기술 공개 강제 기업의 시장지배력을 규제해야 한다는 명분은 과...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판단 기준 많을 땐 순서도 떠올리세요

    센서 핀에서는 새롭게 생성된 전류의 양과 평상시 흐르는 전류의 양을 비교하여 새롭게 생성된 전류의 양이 더 많다면 가스 누출을 검지하고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가스 센서를 통해 검지된 가스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센서와 연결된 경보기에서는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를 내게 된다. 경보를 내는 방식으로는 즉시 경보형과 지연 경보형 등이 있다. 즉시 경보형은 가스 농도가 센서에 설정된 경보 설정치 이상이 되면 바로 경보를 내는 방식이다....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16)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명사문 보다 동사문 쓰면 문장에 힘이 실려요

    가) 9일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10일 오전 (…) 내륙을 관통해 북진하고, 11일 새벽 북한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나) 일부 국가 잼버리 대원들은 출국 일정을 미루고 한국에서 문화 탐방과 관광 일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던 2023 새만금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대회가 지난달 11일 서울에서 K-팝 공연을 끝으로 대장정을 마쳤다. 그 사이 태풍 카눈의 북상과 잼버리 대원들의 이동 과정을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가지 싹둑싹둑 '닭발 가로수' 용인할 일인가

    세계 각지의 역사가 오래된 도시에는 대개 멋진 가로수들이 있다. 더울 때는 시원한 그늘을 선사해주고, 가을에는 단풍으로 도시의 멋을 더해준다. 서울 시내에도 약 30만 그루의 가로수가 있어 밀집 도시의 삭막함을 줄이고 통행자와 시민에게 청량감을 안겨준다. 한여름에는 아스팔트 거리나 콘크리트 건물들의 뜨거운 열기를 식혀준다. 하지만 나무를 학대하는 것 아니냐고 할 정도로 가지치기를 심하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전신주 접촉으로 인한 감전 위험,...

  • 대학 생글이 통신

    달리기 같은 수험생활…포기 유혹 떨치고 완주하길

    공부와 관련한 제 루틴을 하나 소개합니다. 바로 달리기입니다. 저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혹은 자기 전에 5km가량을 뜁니다. 날씨가 좋으면 집 앞 공원에, 비가 오거나 공기가 안 좋으면 헬스장에 갑니다. 특별히 거창한 이유는 없습니다. 꾸준하게 할 운동을 찾고 싶었습니다. 빠르게 달리며 잠시 고민도 내려놓고, 턱밑까지 숨이 차오르다가도 끝내면 뿌듯했습니다. 달리다 보면 저는 그 과정이 수험생의 1년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달리기에...

  • 역사 기타

    西進 칭기즈칸, 육상 무역 독점국부터 쳤다

    헤로도토스는 부드러운 나라에서는 부드러운 남자들이 태어나는 법이어서 풍요로운 곡식과 용감한 전사들이 같은 땅에서 태어나기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파봐야 힘만 빠지는 땅과 씹을수록 허탈해지는 음식과 인간의 생존에 적대적인 기후에서 자란, 악에 받친 남자들이 전쟁에 강하다는 얘기겠다. 이 세 가지를 완벽하게 제공해 남자들을 구조적으로 전사(戰士)로 만드는 땅이 있으니 바로 몽골이다. 흔히 몽골 ‘초원’이라고 한다. 몽골의 초...

  • 대입전략

    통합수능 2년 동안 주요대 합격선 상승 추세…9월 모의평가 토대로 지원 학교·과 분석해야

    올해 수시모집 원서 접수가 시작됐다. 수시 지원 대학과 학과를 최종 결정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점검 포인트는 며칠 전 실시한 9월 모의평가 성적을 토대로 한 정시 지원 가능선 분석이다. 정시에서 지원 가능 수준을 가늠한 뒤 수시에서 적정과 상향을 적절히 섞는 것이 통상적인 지원 전략으로 꼽힌다. 정시라는 마지막 기회를 최대한 살리면서 수시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한 방책이다. 정시 지원선 분석 시 입시 결과는 가장 중요한 참고 자료다. 통합수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