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영어 이야기
어떤 일이 탄력을 받을땐 'gain traction'
LG Uplus Corp.’ platform push is gaining traction with active venture funding. LG is beefing up investments in startups to hunt for new drivers that can accelerate its push to transition into a platform company. LG Uplus early this month inves...
-
경제 기타
'용돈 관리' 스스로 해요
제79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용돈 관리’입니다. 어린 시절의 금융 교육은 성인이 된 후 현명한 경제적 선택을 하는 밑바탕이 됩니다. 금융 교육의 기초로서 용돈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국내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시장을 개척한 김석원 전 쌍용그룹 회장의 생애를 다뤘습니다. 음식점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늘어난 배경을 최신 뉴스와 함께 설명했습니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
▶ 한자풀이 過: 허물 과 則: 곧 즉 勿: 말 물 憚: 꺼릴 탄 改: 고칠 개 잘못이나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 - <논어> 공자는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이 더 큰 허물이라고 했다. 누구나 잘못과 허물이 있지만 이를 알고도 고치기를 주저하면 더 큰 잘못, 더 큰 허물이 된다는 것이다. <논어> 학이편에는 공자가 군자의 수양에 대해 말하는 대목이 나온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
경제 기타
정보 부족하면 시장 효율적으로 작동 못해
지금까지 설명한 경제이론은 가계·기업과 같은 경제주체가 모든 정보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선 정보가 완전하지 않을뿐더러, 설사 정보가 완전하게 존재한다고 해도 모든 경제주체가 그런 정보를 동등하게 다 가지고 있기란 쉽지 않다. 무수히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고, 동질의 상품이 판매되며,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하더라도 시장 관련 정보가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완전하게 제공되고 있지 ...
-
교양 기타
'권토중래'라는 말의 유래가 된 시 [고두현의 아침 시편]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두목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는 법 수치 견디고 치욕 참는 것이 진정한 남아. 강동의 청년 중에는 호걸이 많아 권토중래했다면 결과를 알 수 없었거늘. * 두목(杜牧, 803~852) : 당나라 시인 당나라 시인 두목의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제오강정)’ 마지막 구절입니다. 이 시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라는 고사성어가 나왔지요. 31세에 스스로 마감한 풍...
-
숫자로 읽는 세상
노조 간부, 출근 안하고 월급 받아…대기업 노조 13% 타임오프제 위반
대기업 노조의 13%가 법정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한도를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임오프제를 악용해 기업에 과도한 지원을 요구하거나 일을 안 하면서 월급을 타가는 부당한 관행이 노동 현장에 만연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5월 31일부터 3개월간 근로자 1000명 이상 사업장 가운데 노조가 있는 480곳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63곳(13.1%)에서 위법 사례를 확인했다고 3일 발표했다. 고용부는 근로시...
-
사진으로 보는 세상
킬러 문항 배제된 올해 마지막 모의평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 마지막 모의평가가 지난 6일 전국 2139개 고등학교(교육청 포함)와 485개 지정 학원에서 치러졌다. 정부가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방침을 밝힌 후 모의평가여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모의평가 지원자(원서 접수자 기준)는 47만5825명으로, 작년 9월 모의평가 때보다 1만3545명 줄었다. 재학생은 같은 기간 2만5671명 감소한 37만1448명(78.1%)으로 집계됐다...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 빈출 작품, 전문 찾아볼 여유 가져야
2024학년도 수능시험이 두 달 남짓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제 수험 생활을 바탕으로 남은 기간 효율적인 국어 공부 방법에 대해 조언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연계 교재는 필수입니다. EBS 수능 특강, 수능 완성 교재의 수능 연계율이 떨어지고 있다 보니 그 중요성을 간과하고 사설 문제를 푸는 데 급급한 학생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설 문제는 부가적인 것이며, 해당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스스로 확인하기 위한 도구일 뿐 공부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