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타인에 대한 관심, 건전하게 풀어낸 TV 예능

    최근 <하트시그널> <나는 솔로> <솔로지옥> 등 연애 소재 TV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고 있다. 배경에는 우리 삶 깊숙이에 자리 잡은 ‘경쟁’이 있다. 경쟁이 심한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서로를 ‘적’으로 인식한다. 이는 경쟁 상대, 즉 주위 사람들과 스스로의 삶을 비교·분석하려는 관심으로 이어진다. 소셜네트워크 프로필 등으로 타인을 은밀하게 관찰하는 습...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내신 공부 동시에 하면 시너지 효과 생겨요

    수능에만 집중하는 ‘정시러’, 내신에만 집중하는 ‘수시러’가 있다면 수능과 내신 두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는 후자에 속했습니다. 정시와 수시를 병행했고, 수시 전형에서 서울대 경제학부에 떨어지더라도 정시로 갈 수 있는 성적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죠. 물론 쉽지 않은 선택이었습니다. 하나만으로도 벅찬데 둘을 병행하기란 정말 힘들었습니다. 그렇지만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사실은 불...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디플레이션

    [문제] A국에서 디플레이션이 지속한다고 하자.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질이자율은 높아진다. ② 중앙은행은 확장 통화정책을 시행한다. ③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해서 하락한다. ④ 빚 상환 부담이 줄어들어 가계부채 문제가 개선된다. ⑤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 및 생산을 줄인다. [해설] 디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실질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身外無物 (신외무물)

    ▶한자풀이 身: 몸 신 外: 바깥 외 無: 없을 무 物: 만물 물 몸 외에는 다른 것이 없다는 뜻으로 무엇보다 몸이 가장 소중함을 이름 - <도덕경> 나이가 들면 건강한 사람이 부자라는 말이 있다. 어디 나이 든 사람뿐이겠는가. 행복으로 가는 길에도, 성공으로 가는 길에도 건강이라는 디딤돌이 놓여 있다. 신외무물(身外無物)은 ‘몸 외에 다른 것이 없다’는 뜻으로, 다른 어떤 것보다도 몸(건강)이 ...

  • 테샛 공부합시다

    기업이든 국가든 경쟁 외면하면 도태돼

    1860년 아편으로 촉발된 전쟁으로 중국(당시 청나라)은 영국과 프랑스의 연합군에게 수도인 베이징을 점령당했습니다. 이전까지 중국은 세계 4대 발명품(종이, 인쇄술, 나침반, 화약)을 먼저 만들 정도로 과학기술이 발전했었죠. 그런 중국이 어떻게 얕잡아보던 유럽에 뒤처지고 무릎을 꿇게 된 것일까요? 유럽이 중국을 극복한 요인은? 중국은 진시황제로 유명한 진나라를 시작으로 많은 시간 통일왕조를 세우고 발전해갔습니다. 넓은 땅과 많은 인구를 바탕...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디자인 감각과 소재에 대한 전문 지식 갖춰야죠"

    최근 일상복과 등산복의 경계선을 허문 ‘고프코어(gorp core) 룩’이 인기를 얻으면서 아웃도어 브랜드가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아재 패션’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아웃도어 트렌드를 이끄는 아웃도어 전문 디자이너를 만났다. 대학 시절 산악부 경험을 밑거름으로 아웃도어의 기능성과 스타일 두 마리 토끼를 잡아낸 이유리 블랙야크 디자이너에게 직업의 세계를 들어봤다. ▷아웃도어 전문 디자이...

  • 생글기자

    질병 치료용 '유전자조작'은 일부 허용해야

    사람들은 ‘유전자조작’을 대개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인간 존엄성을 해치거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TSD)이란 질환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변화 조짐이 일고 있다. 이 질병의 치료 방법으로 유전자조작 기술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PTSD란 전쟁·대형 참사·고문 등 심각한 사건을 겪은 뒤 극심한 공포감, 즉 트라우마를 겪는...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꿈을 쓰고, 꿈을 향해 질주하면 길이 열린다

    매년 수능 광풍이 몰아닥치고, 점수에 맞춰 대학을 선택한다.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 세상’이라는 말은 마뜩잖으나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교육을 전혀 받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학교에 너끈히 합격한 이들이 있다. 방황하느라 한참 뒤처졌다가 마음먹고 자신의 앞날을 개척한 흙수저도 얼마든지 있다. <멈추지 마, 다시 꿈부터 써봐>를 쓴 김수영 작가를 보면 ‘꿈을 꾸고, 꿈을 향해 질주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