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입전략

    국수탐 기준…의대 292~273, 약대 273~257점, SKY 인문 합격선 286~264, 자연 278~257점

    올해는 통합 수능 3년 차로 문·이과 유불리, 교차지원 등 변수가 여전히 많아 합격선 예측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또 수능이 어렵게 출제되면서 상황은 더 복잡하기만 하다. 남은 기간 논술, 면접 등 수시 대학별고사에 최선을 다하면서 정시 지원 전략을 꼼꼼하게 점검해야 할 때다. 올해 수능 가채점 기준 주요대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 올해 수능은 국어, 수학, 영어 모두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수...

  • 생글기자

    ESG 경영, 이젠 투자자도 신경쓸 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은 환경친화적이고 사회 기여도가 높은 기업을 만든다는 생각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ESG 경영에 집중하다 본업에 충실하지 못하고 수익이 줄어드는 기업 문제가 나타나면서 부정적 인식이 생겨나고 있다. 미국에선 반(反)ESG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환경 영역에서 전문가들은 기업의 실천 기준이 모호하고 이상적이며, 중소기업은 그런 지침을 모두 지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자연실업률

    [문제] 자연실업률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업구조의 변화는 자연실업률에 영향을 미친다. ② 자연실업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실업률이 0이 될 수는 없다. ③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적 실업은 자연실업률의 일부다. ④ 구직자와 구인자 사이에 정보망 확충은 자연실업률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⑤ 대공황과 같은 경기침체로 발생하는 실업의 증가는 자연실업률에 포함된다. [해설] 자연실업률은 경제의 산출...

  • 생글기자

    반려동물 인구 1500만…생명 존엄성 인식 가져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양서 파충류, 절지동물과 같은 희소성 있는 특수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특수 반려동물을 과자 봉지나 장난감 상자에 넣어 국제택배로 부치는 불법 밀수가 횡행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많은 동물이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질식사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불법 밀수는 또 국내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크다. 애완용으로 수입되던 외래 생물 늑대거북은 강에 무단 방생되면서 최상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27일 (823)

    1. 실업률이 0%는 아니지만, 일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원하는 때 모두 취업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 말은? ① 직접고용 ② 간접고용 ③ 완전고용 ④ 불완전고용 2. 살인적 고물가에 시달려온 이 나라에서 급진적 자유주의 성향의 하비에르 밀레이가 새 대통령에 당선됐다. 화폐로 페소를 쓰는 이곳은? ① 브라질 ② 필리핀 ③ 아르헨티나 ④ 룩셈부르크 3. 세계 원유 가격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는 ‘석유...

  • 테샛 공부합시다

    양면성 있는 독점,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

    조선의 개혁 군주로 유명한 정조는 1791년 신해년에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금지하는 ‘신해통공’을 시행합니다. 당연히 시전 상인, 이들과 결탁한 조정 대신들의 반발은 극심했습니다. 그런데도 왜 정조는 이를 밀어붙였을까요? 나라에서 부여한 독점판매권 조선은 상업을 가장 아래로 보았지만, 도성인 한양의 인구가 늘어나고 필요한 물품이 많아지면서 상인의 역할이 필요해졌지요. 그래서 도...

  • 키워드 시사경제

    대만인 44% "반도체 기업 TSMC가 나라 지켜줄 것"

    “TSMC는 미국 입장에서 중요한 존재이며, 유사시에는 미국이 대만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할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대만중앙연구원 산하 유럽·미국학연구소(IEAS)가 지난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대만 성인의 44.6%가 이같이 답했다. TSMC는 1987년 대만에서 설립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회사다.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유...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각박한 세상 위로해줄 따뜻한 꿈 팝니다

    “책이 안 팔린다.” 출판계, 서점, 작가들이 입을 모은다. 1990년대 출간된 국내 창작 소설 가운데 100만 부를 돌파한 책은 17권이었다. 2000년대에 좀 줄었다고는 하지만 10권이나 됐다. 그러던 것이 2010년대는 <정글만리>(조정래), <82년생 김지영>(조남주) 단 두 권으로 쪼그라들었다. 그런데 2020년대 들어서서 3년이 지났을 뿐인데, 벌써 3권의 밀리언셀러가 탄생했다. <달...